www.tesat.or.kr
[문제] 아래 지문을 읽고,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면?
가난해서, 늙어서, 잘 알지 못해서 등 여러 이유로 자신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보험을 갖고 있지 못한 사람들이 꽤 있다. 그래서 아주 기초적인 성격의 몇 가지 위험은 가난한 사람이든 무지한 사람이든 상관없이 모든 국민이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정부가 몇 가지 보험을 직접 책임지고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보험을 ( ㉠ )이라고 한다.

① 고용보험
② 손해보험
③ 건강보험
④ 국민연금
⑤ 산업재해보상보험

[해설] ㉠에 들어갈 용어는 사회보험이다. 사회보험이란 사회적 위험에 대비해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 국가가 나서서 운용하는 공적 보험을 말한다. 사회구성원인 국민의 질병·고령·실업 등 생활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여러 사고에 대해 일정의 보험 혜택을 줌으로써 생활 안정을 꾀하기 위해 만든 각종 보험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회보험으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험 등이 있는데 이를 4대 사회보험이라고 한다. 정답 ②

[문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때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① 기업의 투자가 증가한다.
②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민간 소비가 증가한다.
③ 해외 자본이 유출돼 국내 통화의 가치가 상승한다.
④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해 수출이 감소한다.
⑤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해 은행의 대출금리가 상승한다.

[해설]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실물경제와 외환시장 등이 영향을 받는다. 은행에선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 조달 비용의 상승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이나 가계는 대출 비용이 커지므로 자금 수요를 줄인다. 대출 수요가 줄어들면 부동산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투자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부동산 가격 하락 및 각종 경제활동이 위축된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외국인투자자는 더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어 자본이 한국으로 유입된다. 그래서 원화 가치가 상승하여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하락한다. 정답 ⑤

[문제] A국과 B국은 자국 통화를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 조건과 시점에 상대국 통화와 교환한다는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A국은 필요할 때 자국 화폐를 맡기고 B국 통화를 확보할 수 있어 외환 위기 시 방어 수단을 마련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콜옵션
② 콘탱고
③ 공개매수
④ 공매도
⑤ 통화스와프

[해설] 통화스와프는 말 그대로 통화를 교환(swap)한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한 시점에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다. 기업은 물론 국가도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거나 외화 유동성 확충을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 간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돼 있으면 양국은 필요할 때 자국 통화를 상대방 중앙은행에 맡기고 그에 상응하는 외화를 빌려 올 수 있다. 외환위기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콜옵션이란 기초자산을 정해진 기간 내(또는 정해진 일시)에 일정한 행사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