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곡선과 빛의 관계 ①

신장결석에 걸린 사람의 몸속에 생긴 결석을 수술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타원과 빛의 성질에 관한 수학적 원리가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면서 수학의 유용성에 대해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얼마 전 지인이 신장결석으로 고생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신장의 결석을 빼내기 위해 수술을 해야 하느냐고 물었더니, 체외충격파 쇄석술이라는 치료를 하면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습니다. 그 방법이 신기해 알아보니 이 치료법에 이차곡선 중 타원과 빛의 성질에 관한 수학적 원리가 담겨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이 치료법에는 체외충격파 쇄석기라는 장치가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몸속에 생긴 결석을 수술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 장치에서 반사경의 단면 모양은 타원의 일부분입니다.

타원은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F와 F에서의 거리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고, 두 점 F와 F′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합니다. 결석이 타원의 한 초점에 오도록 맞추고 다른 초점에서 충격파를 발생시키면 반사경에 반사된 충격파가 결석에 모여 신체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결석을 분쇄합니다. 이에 관한 수학적 원리를 알아봅시다.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F, F인 타원 위의 한 점 P에서 접선 ℓ을 그을 때 접선 ℓ이 두 선분 FP, FP와 각각 이루는 각 θ1과 θ2가 같아짐을 보이면, 초점 F를 출발하여 점 P에서 반사되는 빛은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지므로 초점 F을 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초점 F를 접선 ℓ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F이라 하고, 접선 위의 또 다른 점 Q를 잡읍시다. 이때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이고, 두 초점에서 타원 위의 점까지 거리의 합은 항상 일정하므로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입니다. 따라서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 ①이 성립합니다.

한편 점 F은 점 F을 접선 ℓ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이므로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이고, 이를 식 ①에 대입하면
[재미있는 수학] 수술 없이 몸 속 결석 분쇄, 타원의 성질 이용했죠
입니다. 즉 두 정점 F과 F에서 접선 위의 임의의 점까지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점은 접점 P입니다.

따라서 세 점 F, P, F은 같은 직선 위에 있게 되고, 직선 PF과 접선이 이루는 각은 θ2와 맞꼭지각이므로 θ2와 같아집니다. 따라서 θ1과 θ2는 같게 되고 점 P를 지나는 접선 ℓ에 대하여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집니다.

타원의 두 초점 F와 F을 지나는 직선을 축으로 하여 타원을 회전시키면 럭비공과 비슷하게 생긴 타원면을 얻습니다. 이때 축을 포함하는 어떤 평면으로 잘라도 그 단면은 타원이며, 이렇게 얻어진 타원의 두 초점은 항상 F와 F이 됩니다.

중앙대병원 체외 충격파 쇄석기.   한경DB
중앙대병원 체외 충격파 쇄석기. 한경DB
이 외에도 이러한 수학적 원리가 적용된 사례는 많습니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조명을 사용하면 입안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타원을 회전시켜 만든 반사경을 통해 타원의 한 초점에서 출발한 빛이 타원면에 반사되어 다른 한 초점에 빛이 모이는 성질이 이용됩니다. 또한 영국 런던의 성바오로대성당에 있는 ‘속삭이는 회랑(Whispering Gallery)’(회랑이란 원형 모양의 복도를 의미함)에서는 이 성당 돔 아래의 회랑 한쪽에서 속삭이는 소리가 회랑의 건너편 한 지점에서 더 잘 들립니다. 이것도 돔을 이루는 천장이 타원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타원의 한 초점에 해당하는 곳에서 소리를 내면 이 소리는 사방으로 퍼지지만 타원형 천장에 도달해 반사된 소리가 모두 건너편 초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다시 모이게 되므로 그 소리가 또렷하게 들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신비한 현상이 일어나는 곳은 미국 국회의사당의 조각홀(Statuary Hall), 튀르키예 블루모스크, 중국 천단공원 등이 있습니다.

홍창섭 경희여고 교사
홍창섭 경희여고 교사
지금까지 타원과 빛의 성질에 관한 수학적 원리를 알아보았는데, 참 신기하고 유용한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는 이차곡선 중 포물선에 관한 수학적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