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태풍의 눈' 헌재 어떤 곳일까요

    지난해 12월 3일 갑작스러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회의 해제 의결과 대통령 탄핵 소추로 이어졌습니다. 그 과정에서 큰 불상사는 없었지만,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거대 야당 주도로 탄핵 소추되면서 정부가 온전히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렀죠.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새 행정부가 이른바 ‘관세전쟁’을 시작하고, 일본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국익 외교를 전개하는 사이 우리는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에만 목을 매고 있는 실정입니다.일각에선 대통령의 인권도 중요한 만큼 충분한 변론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때엔 헌법재판소가 소추안 접수부터 선고 때까지 91일이 걸렸는데, 그에 비해 재판 진행이 너무 빠르다는 겁니다. 이런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변론 장면이 TV로 전해지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 헌법재판의 의미와 절차 등에 관심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학생들로선 대법원이라는 최고재판소가 있는데 왜 헌법재판소라는 기관이 생겨났는지 궁금할 수 있죠. 물론 대법원에서 헌법 관련 재판을 하는 나라도 많습니다. 한 번쯤 공부하며 정리해볼 필요가 있겠죠? 이어지는 4면과 5면에서 헌법재판소의 유래와 제도별 유형, 우리나라의 도입 과정, 헌재의 기능과 일반 법원과의 차이점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헌법과 국민 기본권 지키기 위한 헌법재판 대법원 아닌 독립기관이 맡는 나라 많아요일반적으로 사람들 간의 생활 관계나 경제적 거래로 인해 법적 다툼이 생기면 법원에 재판을 청구해 누구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 판정받을 수 있습니다. 또 법률에 반하는 행위

  • 대학 생글이 통신

    오늘 하루만 최선 다하자 생각…합격 원동력 됐죠

    대학 진학을 앞둔 지금, 길고 힘들었던 수험 생활이 마치 한순간처럼 짧은 시간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 순간엔 몰랐지만, 지나고 보니 수험 생활을 통해 많은 것을 얻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처음에는 불안하고 걱정스러웠습니다. 나는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일까, 이렇게 하는 것이 맞을까 매일같이 의문이 들었고, 공부에 몰두하면서도 내가 잘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씩 깨달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결과보다 과정이며, 매일 조금씩이라도 노력하고 앞으로 나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눈에 띄는 큰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입니다.모든 하루가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꾸준한 노력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실수도 있었고 좌절할 때도 있었지만, 그럴 때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최선을 다하자는 마음가짐으로 계속 나아갔습니다.수험생활을 하면서 수없이 남과 비교하고 불안감을 가졌습니다. 대부분 학생이 비슷할 것입니다. 남들은 다 잘하는 것 같고, 나는 뒤처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런 생각은 나를 더 지치게 할 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남과 비교하지 않고, 나만의 공부 방법과 속도를 찾는 것이 더 현명합니다. 나에게 맞는 방법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을 때 비로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을 믿는 것입니다. 수험 생활을 하다 보면 어려운 순간이 찾아옵니다. 그럴 때마다 나를 의심하지 말고, 그동안 해온 노력이 절대 헛되지 않다는 점을 믿어야 합니다.바쁜 수험 생활 중에도 건강을 꼭 유념해야 합니다.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해야 공부도 잘할 수 있

  • 영어 이야기

    내기 싫은 돈을 억지로 낼 때 'cough up'

    해설자판기에 돈을 넣었는데, 음료나 과자가 나오지 않거나 거스름돈이 나오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나요? 그럴 때 우리는 흔히 “자판기가 내 돈을 먹었다” 또는 “돈을 꿀꺽했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영어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습니다. The vending machine ate my money(자판기가 내 돈을 먹어버렸어)라는 말이죠. 이처럼 eat money는 주로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취득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반대로 받은 돈을 강요에 의해 돌려주거나 내기 싫은 돈을 억지로 지불할 때는 어떤 표현을 사용할까요? 우리는 흔히 ‘돈을 토해내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영어에서도 ‘토해내다’라고 표현해요. ‘기침’을 의미하는 cough를 활용한 cough up money죠. 기침해서 무언가를 밖으로 내보낸다는 의미에서 ‘토하다’는 의미가 되었습니다. 기침을 심하게 하면 배가 아프거나 심지어 피가 나오는 경우도 있어 그리 유쾌한 경험은 아니지요. 이런 이유로 cough up은 ‘내기 싫은 돈을 억지로 내다’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물론 cough up money 대신 pay money나 give money라고도 쓸 수 있지만,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He reluctantly coughed up money he owed his friend(그는 마지못해 친구에게 빌린 돈을 갚았다). 친구가 독촉해서 결국 돈을 돌려줬다는 의미지요.The ruling party has proposed a bill to require banks to cough up a maximum 40% of a bank’s net interest income exceeding 120% of the past five years’ average(여당은 지난 5년 평균의 120%를 초과하는 순이자 소득의 최대 40%를 내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제안했습니다).예문에 나온 short selling(공매도)은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주어진 기간 내에 증권사에서 빌려

  • 숫자로 읽는 세상

    한국 오는 나델라 MS 최고경영자, 현대차·포스코·KT와 'AI 동맹' 맺나

    2년 만에 한국을 찾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가 현대자동차, 포스코, 신한금융, KT 등 국내 간판 기업 경영진과 회동을 추진한다. 전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과의 협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나델라 CEO가 딥시크 출현으로 주목받는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에 맞선 MS의 AI 기술 청사진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11일 업계에 따르면 나델라 CEO는 다음 달 26일로 예정된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 행사에 참석한다. 그가 한국을 찾는 것은 2022년 11월 이후 2년여 만이다.세계 각국을 돌며 여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는 자사 신기술과 AI 시장 전망 등을 공유하는 자리다. 나델라 CEO가 전 세계에서 진행하는 AI 투어 가운데 특별히 서울 행사를 택한 것은 급성장하는 한국 시장에 공을 들이기 위해서다. 이 행사는 작년 4월에도 한 차례 열렸다. 당시에는 AI 업계 관계자 및 개발자들이 참석해 신기술 소개, 체험형 워크숍 등의 행사만 진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서울 행사를 통해 MS의 AI 기술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성공 사례를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나델라 CEO가 직접 기조 연설자로 나서 AI 기술이 전 세계 산업에서 일으킨 변화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MS는 나델라 CEO의 전격 방한을 계기로 국내 기업인들과 타운홀 미팅을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김영섭 KT 대표 등에게 만남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대표 제조·금융·통신사와 MS 간 협력 방안 및 AI 기술 전망

  • 숫자로 읽는 세상

    무전공 경쟁률 1위…수시 한양대, 정시 고려대

    무전공(전공자율선택제) 선발이 대폭 확대된 2025학년도 대입에서 한양대와 고려대의 무전공 학과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전공은 입학 때 전공을 정하지 않고 2학년에 진학할 시기에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다.9일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에 따르면 2025학년도 대입 무전공 학과 수시 전형에서 한양대 한양인터칼리지학부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주요 대학 중 가장 높았다. 경쟁률은 인문계열 141.13 대 1, 자연계열 164.34 대 1이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무전공 선발을 실시한 대학이 기존 6곳에서 15곳으로 크게 늘어 지원자가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모집 단위도 기존 7개에서 23개로 늘었다.경희대 자율전공학부의 논술전형 경쟁률은 111.13 대 1로 한양대의 뒤를 이었다. 성균관대 자유전공계열 논술전형의 경쟁률은 95.73 대 1이다. 대부분 대학이 수시 교과전형보다 종합전형에서 경쟁률이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정시 모집에선 고려대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다군에서 고려대 학부대학 일반전형 경쟁률은 69.56 대 1을 기록했고, 교과우수전형에서도 35.0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서강대는 다군에서 AI(인공지능)기반자유전공학부의 경쟁률은 22.64 대 1,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의 경쟁률은 21.85 대 1로 집계됐다.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2025학년도 정시 모집에서는 기존 6개 대학의 다군 모집 단위에 무전공 모집 단위까지 추가돼 수험생의 입시 지원 패턴은 이전보다 다양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이미경 한국경제신문 기자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성년례와 함께 열린 한복 졸업식

    지난 11일 서울 대조동 동명여고에서 열린 102회 졸업식 및 성년례에서 형형색색의 한복을 차려입은 졸업생들이 환하게 웃고 있다. AP연합뉴스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비교우위

    [문제] A국과 B국이 비교우위에 따라 무역을 하면 해당 국가에 미칠 영향과 관련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면?ㄱ. 외국 상품이 국내 시장을 왜곡한다.ㄴ. 다양한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ㄷ. 모든 산업의 근로자는 고용, 실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ㄹ. 국내 독점 산업의 진입 장벽이 제거되면서 국내 소비자 잉여가 증가한다.① ㄱ, ㄴ② ㄱ, ㄷ③ ㄴ, ㄷ④ ㄴ, ㄹ⑤ ㄷ, ㄹ[해설] 한 생산자가 다른 생산자보다 낮은 기회비용으로 어떤 재화를 생산할 수 있을 때 그 재화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고 말한다. 비교우위에 따라 자유무역을 하면 해외의 저렴하고 품질 좋은 물건이 들어오고 독점인 국내 산업 분야의 진입장벽이 제거되면서 국내 소비자잉여가 증가한다. 하지만 교역 과정에서 비교열위에 있는 국내 산업의 실업자가 늘어나면서 일부 산업과 근로자들이 영향을 받는다. 정답 ④[문제] 금융 산업에서 도덕적 해이의 사례가 아닌 것은?① 거래 당사자 사이에 정보 비대칭이 없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② 금융거래가 이뤄지기 전에 대부자가 차입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할 수 없다.③ 금융거래 계약 후 차입자가 자금을 원래의 목적대로 이용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④ 금융기관의 경영에 대해 주주와 경영자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한다.⑤ 금융거래 계약 후 대부자가 차입자의 행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면 도덕적 해이가 줄어들 수 있다.[해설] 도덕적 해이란 감춰진 행동의 상황에서 어떤 거래가 이뤄진 이후 정보를 가진 측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현상이다. 도덕적 해이는 주인-대리인 문제로 연결된다. 주주와 경영자의 관계처럼 주인은 대리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17일 (880)

    1. 네이버 창업자인 ‘이 사람’이 8년 만에 이사회 의장을 맡아 경영에 복귀하기로 했다. ‘은둔의 경영자’라는 별명이 붙은 이 사람은?① 이해진 ② 김범수③ 김택진 ④ 방시혁2.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자국 사정에만 맞춰 기술을 발전시키다가 세계 시장에서 고립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① 스태그플레이션 ② 디폴트③ 갈라파고스 ④ 모라토리엄3. 다음 중 적대적 인수합병(M&A)으로부터 기존 경영진의 경영권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은?① 공모주 ② 황금주③ 동전주 ④ 주도주4. 상장사들이 주가 관리를 위해 ‘이것’을 매입 후 소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회사가 취득해 보유 중인 이것은?① 우선주 ② 자사주③ 황제주 ④ 실권주5. 세율이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경제주체들의 의욕이 감소해 세수가 오히려 줄어든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은?① 수요공급곡선 ② 필립스곡선③ 로렌츠곡선 ④ 래퍼곡선6. 대만에 본사를 둔 파운드리 기업으로, 대만 내에서 일명 ‘실리콘 실드’ 역할을 하는 기업의 이름은?① 폭스콘 ② ASML③ TSMC ④ 엔비디아7. 국내 주요 은행이 정기 예·적금, 금융채, 양도성예금증서 등으로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평균비용을 보여주는 지표는?① COFIX ② NIM③ ATS ④ ROA8. 다음 중 ‘죄수의 딜레마’ 원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운영되고 있는 제도는?① 네거티브 규제 ② 기업결합심사③ 국부펀드 ④ 리니언시▶정답 : 1 ① 2 ③ 3 ② 4 ② 5 ④ 6 ③ 7 ① 8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