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내신과 모의고사, 균형잡힌 준비가 필요해요

    고등학생은 두 가지 유형의 시험을 준비해야 합니다. 내신과 모의고사죠. 두 시험 간 공부 밸런스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말씀드리려 합니다. 당장은 중간고사를 앞두고 있으니 내신은 중간고사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우선 모의고사와 중간고사 준비의 비율을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시 준비생일수록 모의고사 집중도를 조금 더 높여야 합니다. 다만, 1학년이라면 균형을 잘 잡아야 합니다. 모의고사를 소홀히 하면 나중에 수능 감을 잡기 어렵고, 내신에서도 모의고사를 일부 다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의고사에만 집중하다 보면 중간고사에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하루 또는 1주일 단위로 모의고사와 내신 공부 비율을 적절히 배분하는 게 좋습니다. 제 경우 모의고사 2주 전까지는 내신 공부만 하고, 이후부터는 5 대 5 비율로 공부했습니다. 그중 선생님께서 중간고사에 모의고사를 많이 반영하겠다고 하신 과목은 내신 공부하듯 모의고사를 공부했습니다.사실 저는 1학년 때는 모의고사를 잘 보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중간고사를 잘 본 편도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좌절하기도 했지만 중간고사가 더 중요했기에 1학년 때는 1년 내내 내신 시험에 90%를 쏟았습니다. 2학년 때도 비슷한 비율을 가져갔고, 그 결과 내신은 나아졌지만 3학년 때 수능 감을 찾는 과정이 힘들었습니다.꼭 내신 시험에 집중해야겠다면, 수학과 영어만이라도 모의고사 공부를 해두길 바랍니다. 국어는 3학년 때부터 해도 늦지 않다는 주변 친구들이 많았고, 탐구 과목은 보통 모의고사를 상당 부분 반영하기에 따로 신경쓰지 않아도 모의고사 유형을 익히게 되더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시,

  • 사진으로 보는 세상

    경매 나온 티라노사우루스 화석…81억원에 팔려

    지난 18일 스위스 취리히 경매회사 콜러가 진행한 경매에 6700만 년 전 생존했던 백악기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화석의 두개골이 나왔다. 2008~2013년 미국에서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 세 마리 뼈를 조합해 만들어 ‘트리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이 화석은 이날 유럽의 한 개인에게 555만스위스프랑(약 81억5000만원)에 팔렸다.  연합뉴스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기준제시문의 논의에서 벗어나지 말자

    지난 시간 문제(생글생글 4월 10일자 16면)는 (다)를 바탕으로 (가)와 (나)의 인간본성론의 문제를 지적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우선 (다) 지문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며 논리가 무엇인지 정리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다)의 한계를 지적하는 학생이 있는데, 문제의 요구사항에 따라 기준 제시문의 범주 내에서 대상 지문을 비판해야 합니다. 또한 (가)와 (나)처럼 일반적인 주장과 근거를 가진 제시문을 비판할 때는 근거의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논리적으로 지적하는 답안을 구상해 보세요.(다)에서 말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다)의 실험은 인간의 도덕성이 사회적 지위나 역할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을 알려줍니다. 짐바르도의 실험에서 무작위로 모집했다는 것은 보편적인 인간을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는 뜻이므로, 교도관들이 했던 악한 행위는 평범한 이라면 누구나 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가)와 (나)의 인간본성론은 모두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가)의 성선설은 인간 본성을 오해하고 있었네요. 짐바르도의 실험에서 볼 수 있듯 인간은 타자를 측은하게 여기고 동정하기보다 자기 지위와 역할에 의해 언제든 타자를 짓밟을 수 있는 존재입니다. (여러분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다)의 결론이 그렇게 나왔다면 그 결론을 전제하면서 비판해야 합니다.) 답안을 쓰면 아래와 같겠죠?[답안]<다>의 두 실험은 인간의 도덕성이 사회적 지위나 역할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짐바르도의 실험에서 무작위로 모집했다는 것은 보편적 인간을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는 뜻이므로, 교도관들이 했던 악한 행위는 평범한 이라면 누구나 하게 될 것이다.이를 바

  • 생글기자

    시대 뒤떨어진 교육으론 학교폭력 예방 어렵다

    연예계, 스포츠계, 정계를 가리지 않고 학교폭력 이슈가 쏟아지자 교육부가 뒤늦게 학교폭력을 대학입시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고1 학생들이 대입을 치르는 2026학년도부터 학교폭력 관련 내용을 의무적으로 따져 묻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교폭력에 대한 조치와 처벌도 강화하기로 했다.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조치다. 그러나 사후 조치보다 더 중요한 게 사전 예방이다.그러나 사전 예방 쪽에서는 이렇다 할 조치가 없는 것 같다. 현행 학교폭력 예방교육은 교과서 같은 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학교폭력은 나쁘다’는 인식만 강조할 뿐, 폭력이 벌어질 때와 그 이후 상황에 학생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 학생 대상 설문에서도 “작년에 봤던 거랑 똑같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예방 교육시간은 잠자는 시간”이 될 정도면 예방교육 자체가 무의미하다. 실질적인 예방 효과를 높이려면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 되짚어봐야 한다.학교폭력은 갑자기 생겨난 문제가 아니다. 오랫동안 교육현장에서 빚어지고 있는 폐습이다. 시대에 따라 그 유형도 변한다. 따라서 학교폭력 교육 때는 이런 변화상이 잘 반영돼야 한다. 그래야 학생들이 교육에 공감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호 공감형 교육방식이 필요하다. 강사 혹은 선생님이 일방적으로 이끄는 수업방식은 학생들을 지루하게 할 뿐이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학생들이 예방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조예준 생글기자(관저고 1학년)

  • 생글기자

    건강한 모바일 사용 습관이 부작용을 막는다

    스마트폰이 우리 일상을 엄청나게 바꿔놓고 있다. 컴퓨터로 하던 게임을 이젠 스마트폰으로 한다. 근접무선통신(NFC) 기능 덕택에 실물 카드 없이도 교통카드로 버스나 전철을 탈 수 있게 된 지 오래다.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은행 업무를 보는 것은 물론, 일반 가게에서 계좌이체로 결제도 할 수 있다. 운전면허증에 이어 내년부터는 주민등록증도 모바일로 발급받아 본인 인증을 할 수 있게 된다.스마트폰은 일상을 긍정적으로 바꾸기도 하지만 단점도 적지 않다. 가장 심각한 게 개인정보 유출이다. 많은 앱을 사용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개인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다. 그로 인해 보이스 피싱이나 메신저 피싱 범죄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오픈채팅이란 가상공간에선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불순한 목적에 활용하는 범죄가 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기관 사칭 피싱 범죄 발생이 2016년 3384건에서 2020년 7844건으로 4년 새 4460건(132%) 증가했다고 한다.문제는 편리성만 따지는 습관일 수 있다. 스마트폰에 너무 많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것, 수많은 앱을 사용할 때 약관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동의를 남발하는 것 등이 이용자를 스스로 범죄에 노출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모바일 범죄는 대개 해외에 거점을 두고 행해지기 때문에 처벌과 근본적 해결이 쉽지 않다. 그래서 예방이 더 중요하다. 무엇보다 앱 등의 약관동의서를 꼼꼼히 살피고 동의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출처를 모르는 링크나 정보를 알 수 없는 사용자의 연락은 받지 않는 게 좋다.양채림 생글기자 (동구마케팅고 3학년)

  • 경제 기타

    경기 상황에 맞춰 돈의 흐름을 조절하죠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 중앙은행(Fed)의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 없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여파로 은행의 대출 기준이 강화되면서 금리 인상과 같은 긴축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얘기다. Fed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을 깬 발언이라 주목된다. 반면 월가 거물들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여전히 높아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023년 4월 17일자 한국경제신문 기사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국 기준금리가 지금이 꼭대기여도 괜찮다고 이야기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옐런 장관이 근거로 든 건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으로 촉발된 은행들의 위기가 금리인상과 같은 효과를 냈다는 건데요. 대체 은행의 위기와 금리인상 효과가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요?지금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은 지난해 초부터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뭘까요? 바로 물가 상승, 영어로는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하는 겁니다.그렇다면 물가는 왜 오를까요? 물건이 부족하거나, 돈이 너무 많거나 할 때 물건 가격이 오릅니다. 지금의 문제는 코로나 이후에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돈이 너무 많이 풀려서 물가가 올랐던 영향이 컸던 겁니다. 그래서 금리를 올려서 시장에 있는 돈을 은행 안으로 모이게 하려는 게 중앙은행들의 목적입니다.시장에 흩어져 있는 돈을 은행 안으로 모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은행에 들어오는 예금이 많아지고, 대출은 줄어들면 됩니다. 그런데 실리콘밸리뱅크 사태 이후 은행들은 대출 기준을 엄격하게 세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이비인후과 전문의 눈으로 본 훈민정음 제자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과학적인 문자는 한글’이라는 자부심은 ‘손 안의 컴퓨터’ 휴대폰이 보편화되면서 완전히 증명됐다. 배우기 쉬운 문자에서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문자라는 평가까지 한글에 대한 칭송은 나날이 높아만 간다.문창살을 보고 만들었다는 말도 있었지만, 언어학과 음성학의 대가인 세종대왕이 혀뿌리 모양을 바탕으로 만든 과학적인 문자가 바로 한글이다. 예를 들어 어금니 소리글자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이며, 입술소리 글자 ㅁ은 입 모양을 본뜬 것이다.한글 창제의 원리에 대해 많은 것이 확인됐음에도 한글 원리에 대한 해석에서 합의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자음 글자는 혀나 입술 같은 발성 기관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건 이해하지만, 모음 글자는 성리학 이론과 관련된 천지인을 가져와서 만들고 조합했다는 것을 두고 학계 의견이 분분하다. 천지인을 명확히 입증한 책<훈민정음 음성학>은 ‘천(·)지(ㅡ)인(ㅣ)이 소리 조음 시 공명강의 특징적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한 책이다. 과학적으로 훈민정음을 분석한 책의 내용도 놀랍지만, 저자가 이비인후과 전문의라는 점이 더 놀랍다.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한 최홍식 작가는 후두질환과 음성 장애·두경부암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EBS ‘명의’에 두 차례 선정됐다. 김대중·박근혜 전 대통령의 이비인후과 자문의를 지내기도 했다.연세대 의대 명예교수와 제일이비인후과의원 대표원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는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인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다. 그 인연으로 외솔회 이사장에 이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대표이사를 맡

  • 2022학년도 대입 전략

    SKY 지원 국수탐 백분위 합 인문 273·자연 287점…의대 295, 치대·한의대 292, 수의대 290, 약대 289

    3월 시행되는 고3 학력평가는 통합수능으로 치르는 첫 전국 모의고사다. 자기 실력으로 어디까지 목표할 수 있을지 점검하고, 목표에 맞춘 입시 전략의 밑그림을 그려야 할 때다. 종로학원이 3월 학력평가 성적을 기준으로 주요 대학 및 의약학 계열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했다.정시 지원 가능 점수는 시험 난이도에 따른 변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백분위로 기준으로 한다. 국어, 수학 탐구(2) 백분위 합(300점 만점) 기준으로, SKY 인문의 지원 가능 최저 점수는 273점으로 분석된다. 의약학 계열을 제외한 자연은 287점으로 전망됐다. 주요 10개 대학 인문 최저 지원 가능 점수는 247점, 자연은 277점, 주요 15개 대학 인문은 235점, 자연은 271점으로 분석됐다. 주요 21개 대학 인문은 223점, 자연은 258점이 최저 지원선으로 예상된다.인문계열 학과를 대학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평균 288.9점(학과별로 295~286), 연세대는 280.2점(287~273), 고려대는 280.1점(287~273점) 수준에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성균관대 269.6점(278~257), 서강대 273.4점(277~272), 한양대 266.0점(277~257), 중앙대 260.4점(273~254), 경희대 253.9점(261~247), 이화여대 257.8점(274~254), 한국외국어대 253.6점(267~247)으로 분석된다.의약학을 제외한 자연계열 학과의 경우 서울대 평균 294.0점(298~291), 연세대 289.6점(292~288), 고려대 289.2점(292~287)으로 전망된다. 성균관대 285.4점(291~280), 서강대 285.1점(289~283), 한양대 284.4점(289~280), 중앙대 281.3점(284~278), 경희대 279.3점(283~277), 이화여대 280.7점(283~279) 수준에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의대는 최고 300점(서울대)에서 최저 295점(강원대 등), 치대는 최고 299점(서울대)에서 최저 292점(조선대), 한의대는 최고 295점(경희대)에서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