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챗GPT와의 대화가 내 공부법을 바꿨다

    2022년 11월 챗GPT가 출시됐을 때 학교에서는 혼란과 긴장감이 가득했다. 많은 학교가 챗GPT가 학생들의 과제를 대신해주는 일을 막기 위해 검열 프로그램까지 도입했다. 부모들은 챗GPT를 섣불리 사용하면 표절 위험이 있다며 이용을 만류하기도 했다. 그 후 2년이 지난 지금 챗GPT에 대한 평가는 전혀 다르게 바뀌었다. 부모님이 활용을 권장할 정도다. 챗GPT는 더 이상 단순히 숙제를 해결해 주는 도구가 아니라 학생의 생각과 학습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주는 존재가 돼가고 있다.챗GPT의 가치는 사용자가 질문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 가볍고 피상적인 질문을 던지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평범하고 뻔한 답만 돌아온다. 충분히 고민해 깊이 있는 시각을 담아 정교하게 질문할수록 챗GPT는 더욱 구체적이고 수준 높은 정보를 알려준다. 챗GPT를 통해 양질의 답변을 얻으려면 사용자가 더 깊이 공부해야 한다는 역설이 생긴다.챗GPT는 글쓰기 과정에서 마치 빨간 펜을 든 선생님처럼 부족한 부분을 즉각적으로 지적하고 수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면 나는 다시 더 깊이 고민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질문을 던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글쓰기 능력과 사고력이 확장되는 것을 경험한다.결국 중요한 것은 챗GPT라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이를 활용하는 사람의 태도와 질문의 수준이다. 질문을 던지고 답을 얻는 과정에서 진정한 배움이 일어난다. 이제 우리는 챗GPT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더욱 열심히 공부하고 고민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이동훈 생글기자(Seoul Scholars International 11학년)

  • 영어 이야기

    전력을 다하다 'Go all out'

    Korean Air unveiled its new brand typography, “KOREAN AIR,” in a cleaner and more contemporary font in a solid navy color. The “KOREAN” on the fuselage is almost twice as big as the previous version.The new badge retains the iconic taegeuk, the traditional Korean symbol that has represented the airline since its founding, but now features a sleeker and more modern design.With Asiana Airlines under its wings, the No. 1 Korean flag carrier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11th largest airline by annual passenger volume. It will also operate a total of 238 aircraft and employ some 27,000 staff.“My heart was heavy with responsibility rather than joy when the final EU approval came through,” said Chairman and CEO of Korean Air Cho Won-tae. “As we are poised to become global No. 11, we will go all out to become an airline that is fully embraced by our customers.”대한항공이 새롭게 선보인 로고는 이전보다 깔끔하고 현대적인 서체와 짙은 푸른 색상을 사용했다. 기체에 표기된 “KOREAN” 글자는 이전 버전보다 거의 두 배 커졌다.새로운 로고는 한국의 전통적 상징이자 대한항공 창립 이래 항공사를 대표해온 태극 문양의 원형을 보존하되 더욱 세련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대한항공은 연간 여객 수송량 기준 세계 11위 규모의 항공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총 238대의 항공기를 운영하며 직원 2만7000여 명을 고용하게 된다.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은 “최종적으로 EU의 승인을 받았을 때 기쁨보다 막중한 책임감이 더 크게 다가왔다”며 “세계 11위 항공사로 도약하는 만큼 고객에게 사랑받는 항공사가 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해설지난해 대한항공은 30여 년간 경쟁사였던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 대학 생글이 통신

    나에게 유리한 대입 전형 찾는 방법은?

    대입 정시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입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입니다. 정시 전형에서도 내신 성적과 생활기록부, 면접 평가를 하는 대학이 있지만, 대부분 대학이 수능 점수에 매우 높은 비중을 두고 평가합니다. 따라서 정시 전형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무엇보다도 수능에 역점을 두고 공부해야 합니다. 반대로 내신이나 생활기록부보다 수능에 자신이 있다면, 정시 전형을 중심으로 본인이 목표로 하는 대학과 학과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정시 전형은 수시에 비해 지원 기회가 제한됩니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면 수시 전형에선 총 6곳에 지원할 수 있지만, 정시에서는 가군, 나군, 다군 등 총 3곳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군에 따라 학교와 학과가 다르고, 1개 군에서는 1곳밖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내가 가고자 하는 학교와 학과가 어느 군에 있는지, 다른 군에서는 어느 학교 또는 학과를 갈 만한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즉 원서를 작성할 때 전략도 중요합니다.성적 외에 수험생의 제반 조건을 함께 평가하는 대입 전형도 있습니다. 먼저 지역인재 전형입니다. 지역인재 전형은 해당 대학의 소재지 출신 수험생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북대학교 지역인재 전형은 대구와 경상북도 지역에서 고등학교 전 과정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지역인재 전형은 수시, 정시와는 다른 평가 기준을 적용합니다. 조건을 충족하는 수험생이라면 도전해볼 만합니다.다음으로 농어촌학생 전형이 있습니다. 고른 기회 전형, 기회균형 전형으로도 불리는 선발 방식입니다. 이 전형은 도시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농어촌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농어촌학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대치맘 패러디' 영상 괜찮은가

    개그우먼 이수지가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 ‘핫이슈지’에 올린 대치맘 패러디 영상이 논란을 불러왔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교육열 높은 학부모를 패러디한 이 영상은 단시간에 조회수 1000만 회를 넘기며 폭발적 반응을 얻었다. 차 안에서 식사를 때울 정도로 바쁘게 자녀의 학업 스케줄을 챙기고, 스펙을 관리하는 강남 지역의 교육열 높은 어머니들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내 웃음과 공감을 끌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일각에선 “열심히 자기 삶을 사는 엄마들을 희화화했다” “강남의 학부모라는 특정 집단을 향한 부당한 조롱”이라는 비난도 제기된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웃음을 담은 콘텐츠의 의미를 넘어 코미디와 풍자의 경계, 표현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찬성] 건강한 풍자의 가치 보여줬다, 문제 공론화…사회적 담론 풍부해져이 패러디 영상은 우리 사회의 큰 논란거리 중 하나인 사교육 열풍의 단면을 묘사했다. 자녀의 성공을 위해 모든 것을 투자하는 학부모, 치열한 입시 경쟁, 이로 인한 사회적 압박과 스트레스는 한국 사회의 특이한 문화·사회적 현상이다.이번 영상이 큰 호응을 얻은 표면적 이유는 현실을 매우 정확하게 반영했기 때문이다. 수백만 원대 패딩을 입은 채 포르쉐 차량으로 아이를 학원에 데려다준 뒤, 차 안에서 김밥 한 줄로 끼니를 때우고, 자기 아이를 “그 친구”, “이 친구” 이런 식으로 지칭하는 등 강남 지역의 교육열 높은 어머니들의 모습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디테일하게 묘사해 감탄에 가까운 반응을 이끌어냈다.하지만 진짜 인기 비결은 이런 현실적 묘사와 재치 있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88)

  • 시사·교양 기타

    초고령사회가 가져오는 변화

    주니어 생글생글 제153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초고령사회입니다. 한국은 작년 12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선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고령화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바꿔 놓고 있는지,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대우그룹 창업자 김우중 회장입니다. 세계 경영을 외치며 도전을 멈추지 않았던 김 회장의 발자취를 더듬어 봅니다.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동양, 윤리·질서에 초점…서양, 이성·계약 중시

    인간 본성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도덕’과 사회제도의 성립 방향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성에 관한 이론의 이해는 사회구조와 운영 원리를 이해하는 기반이 됩니다. 이에 대해 동서양에서는 다양한 이론이 나타납니다. 동양철학은 서양철학에 비해 윤리와 사회질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양에서 사회적 조화를 이룰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가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맹자는 인간의 선한 본성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은 네 가지 선한 마음인 사단(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갖고 있으며 양지와 양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잃어버린 본심을 되찾고 선한 본성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사회를 바람직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반면 순자는 인간의 타고난 성정이 악하며 선함은 인위적 노력의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예치와 법치 사상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노자와 장자는 인간 본성에 선악이 없으며 흐르는 물과 같이 외적 환경에 따라 흘러갈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는 인간의 무지함이 아니라 인위적인 사회질서의 부자연스러움을 지적하는 논리입니다.한편 서양에서는 존재론과 인식론이 주되게 다루어지며 근대에 들어서도 본성보다 사회계약과 자유, 이성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룹니다. 하지만 본성에 대한 논의가 적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홉스는 인간의 이기성을 강조했습니다. 본성에 관한 고대철학에서의 사상으로부터 여러 철학적 계보를 거치며 데카르트, 흄, 칸트 같은 철학자들이 인간을 분석하는 철학을 발전시켜왔습니다.인간 본성에 관한 고민은 철학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테샛 공부합시다

    "경제 공부 갈증, 테샛이 풀어줬죠"

    “고등학교 1학년을 마치고 겨울방학 동안 취약했던 경제 이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1학년 신입생들에게 경제 지식을 전수하려면 자기 계발이 필요했는데 테샛이 저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시험이어서 응시하게 되었습니다.”지난 2월에 시행한 테샛 95회 시험에서 고교생 개인 부문 대상을 차지한 현준희 학생(대구국제고 2학년, 사진)은 테샛에 응시한 동기를 이렇게 설명했다.신문·뉴스를 통해 지식을 넓혀현준희 학생은 고교 1학년 시절 교과과정을 통해 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했다고 한다. “통합사회 시간에 경제와 관련해 기회비용, 비교우위, 외부효과 등 다양한 개념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학급 내 멘토·멘티 활동을 진행하면서 개념을 체계화하고 제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그가 이전 대상 수상자와 비교해 다른 점은 초등학생 때부터 뉴스를 시청하고 ‘신문’을 자주 읽었다는 점이다. 어린 시절부터 신문과 뉴스 등을 접하면서 쌓은 지식의 활용도는 다양했다. “부모님과 각종 사회·경제적 이슈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사 상식이 많이 쌓이면서 부족한 공부량 대비 테샛 고득점이 가능한 비법 중 하나가 되었죠.”현준희 학생의 공부법은 테샛만이 아니라 경제학에 입문할 때 참고할 만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홈페이지의 학습 자료에 ‘경제개념’이 있는데, 주요 이론의 개념과 사례 등을 정리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어요.” 물론 테샛을 준비하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