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청소년 흡연 부추기는 무인 전자담배 판매

    청소년 흡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전자담배를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의 일반 담배 흡연율은 큰 변화가 없지만,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1.9%에서 3.1%로 높아졌다.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이 급증하면서 청소년들이 더 쉽게 전자담배에 접근하고 있다. 서울시 내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은 지난 4월 11곳에 불과하던 것이 9월 현재 44곳으로 증가했다. 이들 판매점은 액상형 전자담배를 주로 판매한다. 이에 따라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에 대한 규제 강화 등 청소년 흡연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네덜란드 등 다른 선진국에서는 청소년이 담배를 쉽게 구입하지 못하도록 매장 내 담배 진열대를 가려놓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많은 편의점에서 계산대 뒤에 담배를 진열하며 판매한다.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전자담배 판매 및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관련 업계는 과도한 규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에 비해 해롭지 않으며 전자담배와 청소년 흡연율 증가는 관련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2019~2023년 청소년 흡연자 중 32%가 액상형 전자 담배로 흡연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청소년은 전자담배를 이용해 불법 약물까지 흡입한다.규제 강화가 만능은 아닐 것이다. 청소년들이 흡연의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예방 활동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

  • 과학과 놀자

    '배터리 열 폭주' 땐 연쇄 폭발, 대형 화재 위험 커

    최근 전기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화재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8월 청라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 등 잇따른 피해에 안정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다.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화재가 더 잘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내연기관차와 달리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다는 것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화재 진압에 8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소요 인력도 2.5배나 더 필요하다. 또 화재 진압 시 사용되는 물의 양도 내연기관차는 1톤인 데 비해, 전기차는 110톤이나 든다.그 이유는 전기차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있다.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 충전되고, 반대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 전기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제조 과정상 결함, 과충전이나 과방전, 외부 충격 등으로 배터리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분리막이 손상되며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원래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차단하고 리튬이온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만나 다량의 리튬이온이 한꺼번에 이동하며 격렬한 반응이 일어나는 쇼트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양극재로 금속산화물이 사용되는데, 열에 의해 양극재가 분해되면 금속산화물의 부반응으로 산소 기체가 발생해 발열을 더 가속한다. 이온의 이동을 돕는 전해액 또한 기화되면서 가연성물질이 나오고, 순식간에 1000℃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한다. 이렇게 배터리 내부의 온도가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올라 폭발하는 것을 ‘열 폭주 현상’이라고 한다. 바로 이 열 폭주 현상 때문에 전기차는 불이 났을 때 진압하기가 어렵다.게다가 전기차에 들어가 있는 배터리는 수백 개의 배터

  • 영어 이야기

    서로 힘을 합치다 'close ranks'

    CJ ENM and Naver are launching a drama production studio in Japan to tap into the world’s third-largest content market. The two Korean companies are closing ranks for global expansion in the drama production business.They will set up a joint venture to combine CJ’s streaming content production know-how with Line Digital Frontier’s intellectual property, a Japanese subsidiary of Naver Webtoon, and digital content to produce Japanese drama series. Line Digital Frontier is the operator of Naver Webtoon’s Line Manga, the largest digital comics platform in Japan.According to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Japan’s content market reached $191.3 billion in 2021.“We aim to produce premium drama series targeting global OTT streaming services and other channels in Japan,” said a CJ ENM executive.CJ ENM과 네이버가 세계 3위 콘텐츠 시장인 일본 진출을 위해 현지에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한다. 한국에서 제작된 드라마의 해외 진출을 위해 두 회사가 서로 힘을 합치는 것이다.CJ와 네이버에 따르면 양사는 CJ의 스트리밍 콘텐츠 제작 노하우와 라인디지털프론티어의 지식재산권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결합해 일본에서 드라마 제작을 위한 합작법인을 세운다.라인디지털프론티어는 일본 최대 디지털 만화 플랫폼인 네이버 웹툰의 일본어 서비스 라인망가를 운영하고 있다.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일본 콘텐츠 시장 규모는 1913억 달러로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CJ ENM 임원은 “글로벌 OTT 스트리밍 서비스와 일본 내 방송 채널을 겨냥한 프리미엄 드라마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설K-드라마, K-팝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부척 높아졌습니다. 이런 한류 열풍에는 한국의 웹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올해 수능, 어렵다는 전제로 막바지 대비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올해 수능은 의대 정원 확대 등 변수가 많아 불확실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다음 달 14일에 시행하는 이번 수능에서는 역대급 규모의 졸업생 응시자(n수생)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수능을 30일 앞둔 지난 15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효원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 숫자로 읽는 세상

    중학생 30% '과포자'…상위권도 과학 잘해야 '유리'

    올해 1학기 내신시험에서 과학을 60점도 맞지 못한 중학생이 10명 중 3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와 사회에 비해 10% 이상 높은 수치다. 2028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합과학이 필수과목이 돼 과학을 잘하는 학생이 유리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종로학원이 지난 9월 공시한 전국 중학교 3277곳의 1학기 교과별 학업 성취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교 과학 시험에서 60점 미만을 맞은 학생 비율은 29.3%에 달했다. 중학생 10명 중 3명이 학교에서 진행한 과학 수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사실상 포기했다는 뜻이다. 이 같은 비율이 지역별로는 경남이 36.1%로 가장 높았다. 전북(34.7%), 전남(34.4%), 충남(33.6%), 강원(33.4%), 경북(32.8%) 등도 30%를 넘었다.상위권 학생 역시 과학 과목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내신시험에서 90점을 넘은 학생 비율은 영어가 30.4%로 가장 높았고 사회 27.7%, 국어 26.3%, 수학 25.4%였다. 과학은 24.3%로 가장 낮았다. 다섯 과목 가운데 과학이 높은 점수를 받기 가장 어려우며 상위권 학생 사이에서 가장 변별력이 있는 과목이라는 설명이다.입시업계는 특히 올해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8학년도 이후 대입에서 과학을 잘하는 학생이 유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확정된 ‘2028학년도 대입 제도 개편 방안’에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수험생이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17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골라 시험을 보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선택과목 대신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사회·통합과학을 모두 풀어야 한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근 공개된 통합과학 예시 문항을 보면 여러 영역의 과학 개

  • 테샛 공부합시다

    주요국은 긴축에서 완화로 통화정책 전환 중

    ○피벗(Pivot)=사전적 의미는 중심축이다. 운동경기에선 한 발을 축으로 삼아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경제 분야에서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전환을 가리킨다. 한국은행은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사진)에서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연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2021년 8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시작된 긴축 사이클이 3년 2개월 만에 인하로 전환된 것이다. 이미 미국 중앙은행(Fed)은 지난 9월 기준금리를 기존 연 5.25∼5.5%에서 연 4.75∼5.0%로 인하하는 빅컷(0.5%포인트 인하)을 단행했다. 이는 2022년 3월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이후 30개월 만의 일로, 주요 국가의 통화정책 전환이 이어지고 있다.○셔먼법(Sherman Antitrust Act)=셔먼법은 1890년에 제정된 미국 최초의 독점 금지법으로 오늘날 미국 반독점법의 기초가 됐다. 이후 미 반독점법은 1914년 클레이튼법, 1936년 로빈슨 패트먼법 등을 통해 수정 보완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달러인덱스(U.S. Dollar Index)=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경제 규모가 크거나 통화가치가 안정적인 6개국 통화를 기준으로 산정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달러인덱스가 상승하면 미 달러 가치가 오른다는 뜻이다.○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은 경제발전 초기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로 진출하면서 저임금을 무기로 제조업이 발전을 거듭하지만, 점차 값싼 인력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임금이 오르고 성장도 둔화하는 시점을 맞게 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서 루이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루이스 전환점에 이르면 인력 수요·공급 간 불일치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50년 만에 처음'이 미완의 표현인 까닭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 이례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홍수가 났다. 전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인 이곳에서 홍수가 발생한 건 반세기 만에 처음이다.”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사하라사막 지대에 50년 만에 이례적인 폭우가 내려 홍수가 발생했다.” 기후위기로 전 세계 곳곳이 심각한 기상재해를 겪고 있다는 소식은 이제 다반사처럼 돼가고 있다. 한동안 미국의 허리케인 공포가 지구촌을 강타하더니 지난주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 홍수가 났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을 나타내우리 언론도 이를 비중 있게 보도했다. 그런데 이들 문장은 평범한 듯해 보이지만 사실 온전치 않은, 미완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왜 그럴까? ‘만’의 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우리말에서 ‘만’은 흔히 쓰는 일상의 말이지만 의외로 용법이 까다롭다. 가짓수도 많다. 형태는 똑같은데 의미와 문법적 기능이 다르다. 그중에서도 의존명사 ‘만’과 조사 ‘-만’을 구별해야 한다. 일단 조사 ‘-만’은 다시 무엇을 강조하거나 어느 것에 한정됨 또는 비교의 뜻을 나타낼 때 쓰는 것(‘그 사람만 왔다/만져만 보겠다/이것은 저것만 못하다’에 쓰인 ‘만’)과 ‘-마는’의 준말로서의 ‘-만’(‘먹고는 싶다만 돈이 없다/하기는 하겠다만~’ 등에 쓰인 ‘-만’)으로 나뉜다. 두 경우에 따라 의미 용법이 달라진다.이들은 다른 기회에 들여다보기로 하고 오늘 우리가 살펴볼 것은 특히 의존명사 ‘만’의 용법이다. 이 말은 흔히 ‘만에’, ‘만이다’ 꼴로 쓰여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

  • 생글기자

    OTT에 밀리는 영화관, 차별화된 경험 제공만이 살길

    넷플릭스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흑백요리사>가 종영 후에도 여전히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11일 열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된 넷플릭스 영화 <전, 란>은 평단과 관객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반면 극장 영화는 참패를 거듭하고 있다. 한국 영화 대부분이 제작비도 회수하지 못해 투자가 줄었으며, 신작도 급감했다.그 원인을 두고 여러 가지 분석이 있지만, 영화 관람료 인상을 빼놓을 수 없다. 극장은 고정비용 증가로 관람료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토로하지만, 제작사와 배급사는 관람료 인상에도 객단가는 오르지 않아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주장한다.경제학의 가격탄력성 개념을 이용해 이 문제의 돌파구를 찾을 수는 없을까. 가격탄력성이란 가격 등락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반응하는 정도를 말한다. 대부분 영화 관객은 가격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하지만 일부 영화에 대해서는 가격이 올라도 비탄력적 반응이 나타난다. 아이맥스, 4D, 리클라이너 좌석 등 프리미엄 상영관이 대표적이다.‘용아맥 피케팅’이라는 말이 있다. 블록버스터 영화를 CGV 용산 아이파크몰 아이맥스관에서 보기 위해 티케팅 경쟁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특별한 경험을 선호하는 관객은 가격에 덜 민감하다. 결국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OTT와 경쟁에서 영화관이 살아남는 방법이다.비탄력적 수요뿐 아니라 탄력적 수요를 잡기 위한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현실적으로 관람료를 내리기 어렵다면 정교한 가격 차별화 전략과 한정 할인 이벤트로 가격에 민감한 관객층을 효과적으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김해린 생글기자(정신여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