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유니세프, 아동·청소년 복지 분석
읽기·수학 능력 성취한 15세 학생 79%
생활 만족도 36개국 중 30위…비만율도 높아
한국 아동·청소년의 기초학력 성취도가 선진국 중 으뜸이라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그런데 같은 보고서에서 신체 건강은 40개국 중 28위로 하위권, 정신 건강은 36개국 중 34위의 최하위권인 것으로 분석됐다.유니세프, 아동·청소년 복지 분석
읽기·수학 능력 성취한 15세 학생 79%
생활 만족도 36개국 중 30위…비만율도 높아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UNICEF) 아동연구조사기관인 이노첸티연구소는 13일(현지시간) 선진국 아동·청소년의 복지 실태를 분석한 ‘예측 불가능한 세계, 아동의 건강’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아동의 삶의 질을 분석하기 위해 3개 분야(정신 건강, 신체 건강, 삶의 질)에서 총 6개 지표(생활 만족도, 청소년 자살률, 아동 사망률, 과체중 비율, 학업 성취도, 사회 교류)를 분석했다.
기초 학력 분야에서는 한국의 아동이 다른 선진국 아동을 압도했다. 기초 학력 데이터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읽기·수학 능력을 가진 15세 학생의 비율’로 측정했다. 한국은 이 지표가 79%에 달해 비교 대상 40개국 중 1위였다. 뒤이어 아일랜드(78%), 일본(76%), 에스토니아(75%) 등의 순이었다.
학업 성취도 지표와 가장 극단적 대비를 이루는 한국의 지표는 자살률이었다. 이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3년(2020∼2022)간 15∼19세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평균은 10.3명에 달해 비교 대상 42개국 중 5위였다.
자살률과 함께 ‘정신 건강’ 분야를 구성하는 ‘생활 만족도’ 조사에서도 한국은 36개국 중 30위에 그쳤다. 전체적인 생활 만족도를 0∼10점 척도로 묻는 설문에서 5점 이상으로 답한 15세 학생이 한국은 65%뿐이었다. 이 지표에서는 네덜란드(87%), 핀란드(82%), 루마니아(81%) 등의 순위가 높았고, 튀르키예(43%), 칠레(62%), 영국(62%) 등은 하위권이었다.
아동(5∼14세) 1천명당 사망률, 과체중 아동 비율 등을 토대로 분석한 ‘신체 건강’ 분야에서도 한국은 중하위권을 맴돌았다. 아동 사망률은 1천명당 0.7명으로 비교적 낮았으나, 비만율은 33.9%로 43개국 중 7위로 높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