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邪不犯正 (사불범정)
▶한자풀이邪: 간사할 사 不: 아니 불 犯: 범할 범 正: 바를 정사악한 것은 바른 것을 범하지 못한다정의를 이길 수 있는 부정은 없다는 뜻 - <수당가화(隋唐嘉話)>사불범정당나라 때 유속(劉束)이 쓴 필기 소설집 <수당가화(隋唐嘉話)>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당 태종(太宗) 때 서역에서 온 승려가 주술로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고 하였다. 태종이 날쌘 기병 중에 용맹한 자에게 승려의 말을 시험해보도록 하였다. 한데, 승려의 말처럼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것이었다. 임금이 태상경(太常卿) 부혁(傅奕)에게 이 사실을 말하자 부혁이 말했다.“이는 요사스러운 술법입니다. 제가 듣기로 사악함은 바름을 범할 수 없다고 합니다. 저에게 주술을 걸어보도록 하십시오. 절대 통하지 않을 겁니다(臣聞邪不犯正 若使呪臣 必不得行).”임금이 승려를 불러 부혁에게 주술을 걸어보게 하였다. 부혁은 주술을 다 받았으나 전혀 반응이 없었다. 그러더니 얼마 있다 승려가 갑자기 마치 공격을 받은 것처럼 고꾸라져서 다시 깨어나지 못했다.이 고사에서 전해오는 사불범정(邪不犯正)은 사악한 것은 바른 것을 범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옳지 못한 방법으로는 옳은 방법을 이길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事必歸正)도 의미가 비슷하다. 사불벌정(邪不伐正), 사불승정(邪不勝正)으로도 쓴다.<주역>에도 이런 이야기가 전해온다.역심을 품은 자가 어느 날 꿈을 꾸었는데 참으로 길(吉)했다. 즉시 평소 신뢰하던 참모를 불러 속내를 드러내며 간밤에 꾼 꿈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속내를 꿰뚫은 참모가 고개를 가로
-
키워드 시사경제
800달러까지 면세였는데…이젠 "다 관세 내라"
미국 정부가 소액 소포 면세(de minimis exemption) 제도를 폐지하면서 세계 각국이 혼란에 빠졌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달 29일 0시 1분부터 미국에 국제우편 소포로 반입되는 수입 물건에 예외 없이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1938년부터 우편물로 반입되는 물건의 가치가 일정 금액에 미달하면 관세를 면제해주는 정책을 펴왔고, 2015년에는 면세 기준선을 800달러(약 111만원)로 상향했다.美, 소액 소포 면세 폐지 … 세계 각국 대혼란오랫동안 유지해온 이 제도를 뒤집은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다. 미국은 지난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발송한 소액 소포의 면세를 중단했으며, 이날부터 모든 국가로 확대 적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액 소포 면세 제도가 외국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를 피하는 ‘구멍’이 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쉬인,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이 이 제도를 활용해 소비자에게 물건을 싼값에 팔고 있어 미국 소매업체에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또 펜타닐과 같이 수입이 금지된 마약류와 밀수품이 감시를 피해 우편물로 반입된다고 보고 있다.만성적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관세 수입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CBP가 중국과 홍콩에 대한 소액 소포 면세를 폐지한 이후 추가 관세 수입으로 4억9200만달러(약 6840억원)를 벌어들였다.세계 각국의 우편 기관들은 미국이 행선지인 우편물과 소포의 발송을 줄줄이 중단했다. 지금의 국제 우편망 체계로는 모든 물품을 신고하고 관세를 계산해 납부하기 어려워서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독일 DHL을 포함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스웨덴, 프랑스, 벨기에 등 상당
-
시사 이슈 찬반토론
'990원 소금빵'…초저가 빵집 실험 괜찮을까
구독자 360만 명을 거느린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를 운영하는 슈카가 최근 서울 성수동에 ‘초저가 빵집’을 열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는 “빵값이 미쳐 날뛰고 있다”며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는 파격적 실험에 나섰다. 팝업스토어가 문을 열자마자 긴 줄이 늘어서며 소비자는 열렬히 반응했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의 반발은 거셌다. “마치 다른 제빵업자들이 부당하게 비싼 가격을 받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중소 베이커리들은 원재료비와 인건비, 임대료, 공과금까지 감당해야 해 ‘990원 빵’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소비자는 합리적 가격을 요구하지만, 자영업자는 최소한의 생존 마진을 지켜야 하는 현실이 충돌한 셈이다. 이번 사건은 소비자 후생과 소상공인 생존권 사이의 간극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사회적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찬성] "값싸고 품질 좋은 빵 가능성 제시"…소비자 후생과 시장 혁신 위한 도전‘990원 소금빵’ 실험은 소비자의 고충을 대변하는 동시에, 가격 정상화와 시장 혁신의 가능성을 가늠해본 이정표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합리적 가격경쟁을 유도하려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국에서 빵값이 고공 행진을 하는 배경에는 단순한 원재료비 상승만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경직된 시장구조와 비효율적 유통망, 그리고 프랜차이즈 중심의 가격체계가 오랫동안 빵값 상승을 부추겨왔다. 슈카는 산지 직송을 통한 원재료 확보, 제조 공정 단순화, 마진 최소화라는 전략으로 기존 질서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 결과 990원
-
대학 생글이 통신
동아리 활동 통한 성장 경험, 생기부에 담으세요
수험생 여러분은 얼마 남지 않은 수능 준비와 함께 생활기록부도 꾸준히 관리해왔을 것입니다. 생활기록부에서 빠질 수 없는 내용 중 하나가 바로 동아리 활동입니다. 자신이 하기에 따라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은 정말 값진 경험이 될 수도 있고, 별로 도움은 안 되면서 시간만 낭비하는 활동이 될 수도 있습니다.저는 일찍부터 생명과학 계열 대학으로 진학하고 싶다는 꿈이 있었기에 고등학교 때 생명과학 동아리에 들어가 활동했습니다. 그 활동은 저의 진로에 확신을 갖게 된 소중한 기회였습니다.동아리 활동은 단순히 남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진로와 관심 분야를 직접 탐색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저의 고등학교 시절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동아리에서 팀 프로젝트로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퇴비 만들기 실험을 했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환경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였는데, 쉽게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보며 활용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이 주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이 실험 과정에서 식물을 친환경적으로 키우는 방법을 배웠고,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천연 항생물질을 찾아 연구한 활동도 기억에 남습니다. 이 실험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위생과 항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을 때 시행했습니다. 친구들과 여러 물질의 항균 효과를 비교·분석하며 과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이처럼 사회적 이슈나 개인적 호기심에서 출발한 주제가 동아리 활동에서 좋은 탐구 소재가 됩니다. 어떤 활동을 했느냐보다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우고, 내가 얼마나 성장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생활기록부에 동아리 활동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수라간 요리대첩'이 유감인 까닭
케이블방송 tvN이 8월 말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 ‘폭군의 셰프’가 화제다. 프랑스 요리대회 우승자인 여주인공이 최고의 순간 과거로 떨어져 최악의 폭군이자 절대 미각 소유자인 왕을 만나 벌이는 로맨틱 코미디란 설정이 시청자의 관심을 한껏 끈 듯하다. 게다가 본 방영 전 드라마 매력을 미리 엿볼 수 있는 ‘폭군의 셰프 입궁식’에서 수라간 요리대첩이 방영돼 기대감을 더 높였다. ‘대첩=대승’…싸움 뒤에 쓰는 말“한식대첩 … 맛집을 가린다.” “한·일 라면대첩이 열린다.” 이런 표현을 요즘 흔히 본다. 이번 방송에서도 여지없이 ‘수라간 요리 대첩’이 나왔다. 이런 표현은 우리말을 왜곡한다. ‘요리대전’이라고 하면 충분하다. 좀 강한 표현을 쓰고 싶으면 ‘한판승부’니 ‘맞짱 뜬다’고 해도 그만이다. 우리말에서 ‘대첩’이 들어간 역사적 사건으로 널리 알려진 게 꽤 있다. 행주대첩이나 귀주대첩, 명량대첩 등이 그것이다. 이런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대첩(大捷)’은 ‘대승(大勝)’을 뜻한다. 순우리말로 풀면 ‘크게 이김’이다. 이미 싸움이 끝난 뒤에 쓰는 말이다.‘첩(捷)’은 ‘빠를 첩, 이길 첩’으로 쓰이는 글자다. 우리말 ‘첩경’(捷徑, 지름길), ‘민첩하다’(敏捷, 재빠르고 날래다) 등에 이 ‘첩’ 자가 들어 있다. ‘이길 첩’으로 쓰인 말로 우리에게 익숙한 것은 ‘~대첩’ 정도다. ‘첩’과 ‘승(勝)’은 같은 글자다. 하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승’에 밀려 ‘첩’이 들어간 말은 ‘~대첩’ 이외에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꿈꾸기 위해 필요한 2가지, 돈과 자기만의 방
<자기만의 방>은 버지니아 울프가 ‘여성과 픽션’을 주제로 한 강연 요청을 받고 쓴 에세이로, 1929년에 발표했다. ‘여성이 창작을 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여성들의 창작 환경은 어떠한지, 어떤 각오로 나서야 하는지’를 담았다. ‘20세기 페미니즘 비평의 선구자’라고 불리는 버지니아 울프는 비평가이기에 앞서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파도> 같은 뛰어난 작품을 발표한 소설가다.당시 영국 여성들의 상황을 소개하며, 이 책은 “1866년 이래 영국에는 여성을 위한 대학이 두 곳 있었고, 1880년 이후 기혼 여성이 자신의 재산을 소유하도록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1909년 여성이 투표권을 얻었고, 대부분의 전문직이 개방된 지는 대략 10년 정도 되었다”고 소개했다.버지니아 울프는 ‘여성과 픽션’ 강연 서두에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했다. 당시 대부분의 여성은 아이를 낳고 가사를 하며 남편을 도왔다.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노부인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조화를 만들고, 유치원 아이들에게 철자법을 가르치며 몇 파운드 버는 정도였다.여성의 지위가 형편없어서 도서관 입장도 ‘연구원을 동반하거나 소개장을 소지’해야 가능했다. 힘들게 도서관에 들어간 버지니아 울프는 남성들이 쓴 여성에 관한 엄청나게 많은 책을 보고 경악했다. “대부분의 여성은 성격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라브뤼예르), “여성은 교육받을 수 없다”(나폴레옹), 여성을 경멸한다(무솔리니)는 내용부터 여성을 찬미하는 괴테까지 여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난무했다. 여성은 남성을 2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수능전 마지막 모의고사…"수험생 여러분, 화이팅!"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됐다. 지난 3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
시사·교양 기타
가격 차별에 숨은 원리
주니어 생글생글 제176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가격 차별입니다. 똑같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판매하는 장소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서, 소비자가 누군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사례를 일상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영화관의 조조할인이 대표적입니다. 그와 같은 가격 차별이 이뤄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소비자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