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항목
뉴스1
뉴스1
국제수지표는 크게 경상수지, 자본수지, 금융계정, 오차 및 누락 이 네 가지로 구성된다. 앞서 경상수지를 재화와 서비스가 수출·수입되는 거래를 측정한 것이라고 했다. 국제수지표의 경상수지 안에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외에 본원소득수지와 이전소득수지 등 총 네 가지 항목이 있다. 자금의 이동을 측정한 자본수지는 자본수지와 금융계정으로 나뉘어 기록된다. 금융계정은 다시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 투자, 준비자산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국제수지를 세분화해 기록하는 것은 국제수지가 하나의 통계수치라기보다 여러 개의 통계수치를 집합적으로 일컫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국제수지표의 항목들은 국제수지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50억 달러 흑자가 되었다는 표현보다는 국제수지표를 보았더니 경상수지가 50억 달러 흑자였다거나, 금융계정에서 순자산이 50억 증가했다고 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이다. 이번 주에는 먼저 경상수지를 중심으로 국제수지표를 살펴보고 국제수지표의 나머지 항목에 대해 다음 주에 설명하겠다.상품수지상품수지는 상품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말한다. 국제수지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므로 국제수지표의 항목 중에서 첫 번째로 기록한다. 상품수지는 수출과 수입 시점의 물건 가격으로 측정한다. 여기에 상품 운임과 운송 관련 보험료 등과 같은 비용도 포함해 상품수지를 계산한다. 많은 사람이 상품수지·경상수지·국제수지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상품수지는 경상수지를 대표하는 항목일 뿐이지 경상수지와 동일한 개념은 아니다. 이는 경제 이론 수업에서 경상수지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경상수지를 재화와 서비스가 수출되고 수입되는 거래로 표현한 것에서 생긴 오해로 보인다. 국제수지표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위와 같은 정의가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국제수지표의 개념인 상품수지를 경상수지와 동일시하면 안 된다. 나아가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에 자본수지와 금융계정까지 포함하므로 상품수지를 국제수지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서비스수지서비스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서비스 거래로 발생한 수입과 지급의 차이다. 상품수지를 보고 난 후 서비스수지를 보면 수입이라는 단어 때문에 약간의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서비스수지에서 사용하는 수입(revenue)은 수출과 수입에서의 수입(import)이 아니라 지급과 반대되는 의미로 ‘받은 돈’을 말한다. 서비스수지는 가공 서비스, 여행, 건설, 지식재산권의 사용료 등을 포함해 총 12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본원소득수지경상수지의 세 번째 항목은 본원소득수지다. 본원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노동을 제공하고 받는 임금과 금융거래를 통해 얻은 소득의 차이다. 임금이나 금융소득은 수출과 수입은 아니지만 노동과 자금을 제공하고 받는 대가이므로 경상수지에 포함된다. 국제수지의 거주성은 1년 이상의 경제활동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그 때문에 1년 미만 해외에서 일한 한국 사람이 외국에서 급여를 받거나 한국 기업에서 1년 미만 일한 해외 노동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면 본원소득수지의 임금에 포함된다. 금융소득은 대외 금융자산과 부채의 보유에 따라 발생하는 배당금과 이자 등으로 구성된다.이전소득수지이전소득수지는 경상수지의 네 번째 항목으로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이루어진 거래로, 무상원조와 증여성 송금 등이 대표적 예다. 무상원조는 선진국이 저개발국가에 대가 없이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국에서 생산한 상품이 외국으로 이동한 것이므로 국제수지 중 경상수지에 포함해 국제수지표에 기록으로 남긴다. 증여성 송금은 외국에 나가서 일한 뒤 월급을 받아 자국으로 송금하거나 자국의 외국인이 해외로 송금하는 것이다. 해외에서 취업해 임금을 받고 돈을 본국으로 송금하는 경우 1년 이상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면 이전소득수지로 기록해야 하지만 1년이 안 된 경우라면 본원소득수지에 포함된다.√ 기억해주세요
김형진 중앙대 강사
김형진 중앙대 강사
국제수지를 세분화시켜 기록하는 것은 국제수지가 하나의 통계수치라기보다는 여러 개의 통계수치를 집합적으로 일컫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국제수지표의 각각 항목들은 국제수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수지가 50억 달러 흑자가 되었다는 표현보다는 국제수지표를 보았더니 경상수지가 50억 달러 흑자였다거나, 금융계정에서 순자산이 50억 증가했다고 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