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지난주 환율의 변화가 수출과 수입에 미치는 효과를 시간과 무관하게 최종적인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환율이 오르면 수출품 가격이 하락해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품 가격은 올라 수입이 감소하므로 최종적으로 순수출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실 경제를 살펴보면 환율이 상승한 경우 초기에는 순수출이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순수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결국에는 순수출이 증가한다. 초반에 궁극적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정반대 상황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번 주에는 이러한 현상의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다. J커브 현상
환율이 상승한 이후 시간에 따른 순수출의 변동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왼쪽 <그림>과 같다. 이 그림은 t시점에서 환율이 상승했을 때 순수출의 변동을 보여준다. 이처럼 세로축을 순수출로 하고 가로축을 시간으로 해서 순수출의 변동을 나타내는 곡선을 그리면 영어 알파벳 J와 유사한 형태가 나온다. 이것을 ‘J커브 현상’이라고 한다. J커브 현상은 환율이 상승한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경상수지 개선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상수지 개선 효과가 단순히 늦게 나타나는 정도가 아니라 환율상승 초기에는 경상수지가 반대로 악화되는 현상이 일정 기간 지속되는 점까지 드러낸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환율상승이 수출입 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가격 변동이 수출품의 거래량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의미한다.초기의 환율상승 효과환율상승 초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환율이 오르면 수출품 가격은 하락하고 수입품 가격은 상승하지만 기존 계약이나 물량 변화에 미치는 시차가 있어 즉각적으로 수출이 늘거나 수입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상품의 국제 거래는 오래전에 거래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미 체결된 수출입 계약의 가격은 환율의 변화와 무관하게 원래 계약대로 진행되어 환율상승 효과가 즉각적으로 수출입량에 바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존 계약이 많이 체결되어 있으면 오랜 시간 환율 변화 효과가 수출입거래의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아 순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J커브 현상이 나타나는 또 다른 이유로는 환율상승으로 수출입품의 가격은 영향을 받지만 가격변동이 수출입 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율상승 초기에는 가격변동 효과만 있을 뿐 이것이 수출입 물량 변동에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아 수출 금액은 감소하고 수입 금액은 증가해 수출에서 수입을 차감한 금액은 이전보다 줄어들게 된다. 즉 수량 변동이 가격 변동보다 천천히 나타나 경상수지가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시간 경과 후의 환율상승 효과환율이 상승한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환율로 인한 가격변동 효과가 새로운 계약에 반영되고 수출입 물량의 변화에도 영향을 준다.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함으로써 결국 경상수지는 개선되는 결과가 나온다. 현실에서의 J커브 현상현실에서 J커브 현상이 실제로 나타나는 모습은 매우 다양하다.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시기가 매우 짧거나, 상당히 길 수도 있다. 많은 나라에서 경상수지가 악화되면 경상수지 개선을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을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때 J커브 현상으로 인해 경상수지가 더욱 악화되고 그 시기만 길어지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므로 J커브 현상을 고려해 정책을 잘 수립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J커브 현상에 대해 환율상승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환율 하락 시 이론적으로는 J커브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현실에서 발생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환율하락으로 수출품 가격이 오르는 경우 가격상승 효과는 수출품 거래량에 빠르게 반영되는 편이므로 J커브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이 현실 경제에서 관찰되는 것은 극히 드물다. √ 기억해주세요
김형진 중앙대 강사현실에서 J커브 현상이 실제로 나타나는 모습은 매우 다양하다.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시기가 매우 짧거나, 상당히 길 수도 있다. 많은 나라에서 경상수지가 악화되면 경상수지 개선을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을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때 J커브 현상으로 인해 경상수지가 더욱 악화되고 그 시기만 길어지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므로 J커브 현상을 고려해 정책을 잘 수립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