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인재유출 세계 1위…'빨간불' 한국의 미래

    사회를 이끄는 인재를 흔히 브레인(brain, 두뇌)이라고 합니다. 두뇌가 신체의 중추인 것처럼 인재도 사회에서 그런 기능을 한다는 얘기죠.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가 많을수록 그 사회의 발전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브레인이 늘어나기는커녕 앞다퉈 해외로 빠져나가려 합니다.최근 한국은행이 발간한 보고서도 이공계 인재의 ‘탈(脫)한국’ 문제를 짚고 있습니다. 국내의 젊은 이공계 석·박사급 가운데 직장을 해외로 옮기려고 고민하는 사람이 전체의 62%에 이른다는 겁니다. 전체 석·박사급으로 넓혀도 해외 이주를 고려 중이란 응답이 42.9%에 달합니다.이웃 나라 중국에선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뛰어넘는 첨단 반도체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수학 천재 형제’가 만든 캠브리콘이란 회사가 젠슨 황의 아성을 넘보고 있습니다. AI 가속기의 핵심인 GPU(그래픽처리장치) 몇만 장을 확보하느냐의 차원을 넘어 아예 미국 기술을 대체하려고 작정한 겁니다. 원동력은 바로 뛰어난 인재들입니다.첨예한 글로벌 경제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길은 ‘브레인 게인(brain gain, 인재 확보)’에 있습니다. ‘브레인 드레인(brain drain, 인재 유출)’ 현상이 계속되면 미래는 불투명할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사 속에서 인재가 어떻게 나라의 운명을 바꿨고, 경제이론에선 이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브레인 게인의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봅니다. 국운 뒤바꾼 역사 속 인재의 활약 컸는데 韓 떠나는 이공계 두뇌들…국가경쟁력 '흔들' 인재가 국가 발전 과정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는 숱한 역사적 사례가 보여줍니다. 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藥石之言 (약석지언)

    ▶한자풀이藥: 약 약  石: 돌 석  之: 어조사 지  言: 말씀 언약이나 침 같은 말이라는 뜻으로사람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게 하는 말 -<춘추좌씨전>춘추전국시대 노나라에는 ‘삼환(三桓)’이라 불린 3대 권문세가가 있었다. 중손 씨(仲孫氏), 숙손 씨(叔孫氏), 계손 씨(季孫氏)였다. 그중 계손 씨 집안의 대부(大夫) 계무자라는 사람에게 적자(嫡子)는 없고 첩의 소생인 두 아들 공미(公彌)와 도자(悼子)가 있었다. 계무자는 장자인 공미보다 작은 아들인 도자를 후계자로 세우고 싶어 했다. 다수가 탐탁지 않아 했지만, 장무중(臧武仲)이 그 뜻을 지지해주었다. 사람들을 초대한 연회 자리에서 도자를 높이고 공미를 낮추어 도자를 계승자로 공인할 수 있게 도왔다. 장무중은 계무자의 신임을 얻었으나, 다른 대부인 맹장자(孟莊子)는 서자에 장자도 아닌 아들을 후계자로 세우게 도운 장무중을 못마땅해했다.맹장자가 죽어 장무중이 조문을 가 곡을 하는데 몹시 애통해했다. 시중드는 이가 물었다. “맹장자가 어르신을 싫어했는 데도 이렇게나 애통해하시네요. 계무자가 죽으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장무중이 답했다.“계무자가 나를 좋아한 것은 고통이 없는 질병과 같고, 맹장자가 나를 미워한 것은 병을 치료하는 약과 침과 같네. 아무리 고통이 없는 병이라도 고통이 따르는 약석만 못한 법이야. 약석은 나를 살리지만, 고통이 없는 병이라도 그 해독(害毒)이 심하다네. 맹장자가 죽었으니 내가 죽을 날도 얼마 남지 않았구먼.”아프지 않더라도 병은 나쁜 것이고, 치료할 때 아프더라도 약과 침은 몸에 좋은 것이다. 장무중은 자신을 싫어하는 맹장자를 거부하기보다 자신

  • 경제 기타

    한도 묶여 주식 팔 수도…코스피 상승에 '찬물' 우려

    국민연금의 국내투자 제한국민연금의 추가 매입을 위해 국내 주식의 자산 배분 비율을 상향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올해 들어 코스피지수 급등으로 국민연금이 보유한 국내 주식 비중이 연말 목표 비중(14.9%)을 훌쩍 넘어서 추가 매수 여력을 사실상 소진한 데 따른 것이다. 일각에서는 공적 연기금을 동원해 인위적으로 증시를 부양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2025년 11월 10일자 한국경제신문-이달 초 코스피지수가 사상 처음 4200 포인트 선을 넘어섰지만, 이후 매일 롤러코스터를 타듯 급등락이 반복되면서 투자자들의 희비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국민의 노후 자금인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을 더 사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부 안팎에서 들리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자 입장에선 반가울 수 있는 이야기지만, 기금운용 전문가는 “국민연금의 과도한 국내 투자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지난 8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운용액은 1322조원에 달합니다. 현재 국내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약 600조원)를 두 번 사고도 남는 돈이지요.국민연금은 이처럼 거대한 자금을 큰 틀에서 지역적으론 국내와 해외, 자산 종류별론 주식과 채권, 대체투자에 나눠 투자합니다. 국민연금은 올해 연말 기준 △국내 주식 14.9% △해외주식 35.9% △국내 채권 26.5% △해외채권 8% △대체투자 14.7%를 자산 배분 목표치로 설정했습니다. 이 같은 자산 배분이 이뤄질 때 국민연금이 목표로 하는 안정적이면서도 시장보다 일정 수준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것이 국민연금의 판단입니다.최근 정부 내에서 국민연금의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을 검토하고 나선 것은 코스피지수가

  • 숫자로 읽는 세상

    AI중점 학교, 2028년 2000곳으로 늘린다

    정부가 인공지능(AI) 인재 양성에 속도를 높인다. 기존 8년 이상 소요되던 학·석·박사 과정을 5년 반으로 단축해 고급 인재의 배출을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총 1조4000억원이 투입될 이번 대책은 이재명 정부가 목표로 내세운 ‘AI 세계 3강’ 실현을 위한 교육부 차원의 후속 조치다.정부는 미래산업을 주도할 혁신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AI 패스트트랙’ 신설이 대표적이다. 학·석·박사 과정을 통합해 이르면 5년 반 만에 학위를 마치고 산업과 연구 현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우수 연구 인력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한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정년 이후에도 석학이 국내에서 교육과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국가석좌교수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공립대의 65세 정년 제한 예외와 연봉 상한 조정 방안을 검토 중이다.국가 균형 성장을 위해 거점 국립대를 지역 AI 거점 대학으로 육성한다. 대학별 강점을 살린 학문 분야와 AI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단과대학을 신설한다. 또 해당 대학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핵심 연구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계약학과·계약정원제도 확대한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AI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사내 대학원 제도 역시 정비한다. 또 산학협력 연구 성과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산업학위제’를 도입할 방침이다.초중고에서는 AI 교육을 집중적으로 운영하는 ‘AI 중점 학교’를 대폭 늘린다. 올해 730

  • 학습 길잡이 기타

    통계로 콜레라의 원인 밝혀낸 존 스노

    지난 생글생글 제916호의 ‘재미있는 수학’에서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장미 그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창의적 그래프 중 장미 그림 외 다른 그래프의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의 의사이자 역학(epidemiology)의 창시자인 존 스노(John snow, 1813~1858)의 콜레라 지도 이야기입니다. 1854년 런던에서는 콜레라가 크게 유행했습니다. 콜레라는 심한 설사와 탈수 증상을 일으키는 장질환인데,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배앓이만 하다가 치료도 못 받고 죽을 만큼 무서운 질병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콜레라의 발생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 수 없었기에 사람들은 공포에 휩싸였습니다.영국에서는 콜레라로 인한 피해에 대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통계 조사를 시행했습니다. 이 작업은 감염병에 관한 통계조사로는 최초로 평가됩니다. 당시 조사를 맡은 의사 중 한 명인 윌리엄 파(William Farr, 1807~1883)는 통계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람들이 사는 지대의 높이가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다고 봤습니다. 당시 런던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는데, 하수 시설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오염된 물이 템스강으로 흘러들어 강물에서 심한 악취가 났습니다. 그래서 템스강에서 나는 악취가 콜레라의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윌리엄 파는 본인 나름대로 데이터를 철저히 분석했지만, 콜레라의 원인을 잘못 짚었습니다.존 스노는 병원에 오는 환자들을 보며 이상함을 느꼈습니다. 콜레라가 공기에 의해 옮겨진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환자들의 증상을 보면 공기를 통한 전염이라고 보기에는 도저히 설명되지 않았습니다. 공기를 통한 전염이라면 증

  • 과학과 놀자

    장티푸스가 나폴레옹 군대 패퇴시켰다

    1812년 6월, 유럽을 제패한 나폴레옹은 60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를 향해 진군했다. 하지만 결과는 참패. 나폴레옹 군대는 러시아군을 격파하기는커녕 폐허가 된 모스크바에 고립됐다. 결국 그해 10월, 나폴레옹 군대는 후퇴를 결정하고 폴란드 국경을 따라 이동했다. 그러나 병사 대부분은 유럽으로 돌아오지 못했다.러시아군의 공격이 아닌, 전염병으로 인해 대부분이 러시아에서 죽음을 맞은 것이다. 최근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미생물 유전체학 그룹의 리더인 니콜라스 라스코반의 연구팀은 나폴레옹 군인들의 DNA를 분석해 나폴레옹 군대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의 정체를 밝혀냈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11월 3일 자에 실렸다.나폴레옹 군대가 전염병의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은 원정에 함께했던 의사 J.R.L 드 키르호프가 책을 발표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책에는 1812년 겨울, 나폴레옹 군대는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을 견뎌야 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발진티푸스 전염병이 퍼졌다고 기록돼 있었다. 발진티푸스는 리케차 프로와제키(Rickettsia prowazekii)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으로, 사람 몸에 기생하는 곤충인 ‘몸니(body lice)’가 옮긴다. 발진과 심한 발열을 동반하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전염병이다.J.R.L 드 키르호프의 책뿐 아니라 군대 장교들의 기록도 비슷했기 때문에 다수의 역사학자는 나폴레옹 군대가 몰락한 원인이 발진티푸스라고 믿어왔다. 2006년 프랑스 과학자들이 나폴레옹 군대 유해의 DNA 조각에서 발진티푸스를 일으키는 세균인 리케차 프로와제키의 서열을 확인하며 가설은 사실로 굳혀지는 듯했다. 하지만 해당 연구는 일부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919)

  • 시사·교양 기타

    세일의 비밀

    주니어 생글생글 제185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세일의 비밀입니다. 매년 11월이면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중국 광군제, 우리나라의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 세계 곳곳에서 할인 행사가 열립니다. 왜 11월은 ‘쇼핑의 계절’이 됐을까요? 이번 호에서는 그 유래를 살펴보고, 나라별 쇼핑 문화와 할인에 숨겨진 마케팅 기법 등을 살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