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생글기자
'안전자산' 금도 투자엔 신중해야
국제 금값이 최근 온스당 3400달러를 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치솟고 있다. 금값 급등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금은 역사적으로 경제가 불안정해지거나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투자자들이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찾는 대표적 안전자산이다. 안전자산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없고, 비교적 안정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투자 대상을 말한다.특히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 달러로 표시되는 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는 효과가 생겨 금값 상승을 부추긴다.최근 세계경제는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 갈등, 지정학적 긴장 등 다양한 요인이 겹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자금 이동이 두드러진다.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가 시장에 반영된 것이다. 금은 실물자산으로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경제 상황이 불안정할 때는 화폐가치 하락에 따른 손실을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는 투자처로 인식된다. 이번 금값 상승세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변화, 달러화 가치 변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금값이 급등하면서 금 투자에 관심을 갖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금은 안전자산이라는 인식과 달리 가격 변동성이 큰 편이다. 전문가들은 지난 몇 년간 금값이 너무 빠르게 오른 만큼 단기적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경고한다.고수익에 대한 막연한 기대로 금을 매수했다가 급작스러운 가격 하락에 손실을 볼 위험도 있다는 얘기
-
영어 이야기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LG Electronics eyes 1 trillion won in global built-in appliance sales in three years by winning the hearts of consumers in Europe.Europe is the world’s largest built-in kitchen appliance market dominated by well-known regional brands Miele, Boscha and Electrolux.The total sales in the European built-in kitchen appliance market stood at $21.2 billion in 2023, controlling 42% of the global built-in appliance market.LG, which is also the world’s No. 1 home appliance maker, will strive to meet its goal in Europe with both premium Signature Kitchen Suite built-in appliances and LG-branded mass-market built-in lineups.In the long run, it is easier and faster to penetrate a new market with high-end products and premium brand image first, which can create a trickle-down effect leading to a growth in mass-market product sales later.LG전자는 유럽 소비자 공략을 통해 향후 3년 내 글로벌 빌트인 가전 부문에서 매출 1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유럽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빌트인 주방 가전 시장으로 밀레, 보쉬, 일렉트로룩스와 같은 잘 알려진 지역의 브랜드들이 주도하고 있다. 2023년 유럽 빌트인 주방 가전 시장의 총매출은 212억 달러로, 전 세계 빌트인 가전 시장의 42%를 차지했다.세계 1위 가전업체인 LG전자는 ‘시그너처 키친 스위트’ 프리미엄 제품과 대중 시장을 겨냥한 LG 브랜드 빌트인 제품을 앞세워 유럽 빌트인 가전 시장에서 판매 목표 달성에 나설 계획이다.장기적으로는 프리미엄 제품과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먼저 구축하는 것이 신규 시장 진입에 유리하다. 이후 대중 제품의 판매 확대로 이어지는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해설최근 인테리어와 가전제품 분야에서 ‘빌트인(Built-in)’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우리말로는 ‘붙박이’에
-
경제 기타
쌀 소비 줄어도 생산 늘어…시장 왜곡하는 보조금
더불어민주당이 시장에서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사들이도록 한 양곡법 개정을 재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미 두 차례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이다. 쌀값을 안정시켜 농민 소득을 보장한다는 ‘선한 의도’에서 나온 법안이지만, 그러잖아도 전국 쌀 창고에 안 팔린 쌀이 가득한 상황에서 남는 쌀을 세금으로 매입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란이 일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좋은 취지의 정책이지만, 농업 보조금은 시장을 왜곡할 위험이 크다. 稅 감면·저리 대출 등 다양한 보조금보조금이란 정부가 특정 상품의 생산 또는 소비를 늘리기 위해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금전적 혜택을 말한다. 현금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고, 세금 감면 등 간접적인 지원 방식도 있다. 국책금융기관을 통한 저금리 대출 등 정책금융도 보조금의 한 종류다. 복지 혜택도 넓은 의미의 보조금으로 볼 수 있다.보조금은 시장 실패를 바로잡는 순기능을 할 수 있다.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시장 균형 거래량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수준보다 적을 경우 보조금을 지급해 거래량을 늘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 서비스는 나라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학교 운영에 큰 비용이 들어 시장에만 맡겨두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정부가 학교법인 등에 보조금을 지원하면 교육 서비스의 공급을 촉진할 수 있다.특정 산업 발전을 촉진하거나 국제 경쟁에서 보호하는 것도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유다. 한국의 고속 경제 성장도 산업과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 속에 이뤄졌다. 지금도 세계 각국은 보조금을 산업 정책의 주요 수단으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제기구 인턴·현지대학 연수…中 전문가 도전을
경희대 중국어학과는 중국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교육하고, 이를 실제 산업과 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단과대인 외국어대학 소속으로, 경기도 용인에 있는 경희대 국제캠퍼스에 있습니다. 간혹 ‘서울도 아닌데 이 학과에 갈 필요가 있나’라고 고민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경희대는 서울 캠퍼스와 국제캠퍼스 모두 ‘본교’이므로 그런 고민은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1학년 때는 ‘중국 디지털 인문 정보’ ‘초급 중국어 회화’ ‘한자와 한자어’ ‘중국 문자의 이해’ ‘중국 역사의 이해’ 등의 전공과목을 공부합니다. 이런 과목을 통해 중국의 역사와 정치 체제를 배우고 중국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중국어를 익힙니다.2학년에 올라가면 ‘중급 중국어 강독’ ‘중급 중국어 회화’ ‘중국 근현대사’ ‘한문 강독’ 등의 수업을 듣는데요, 1학년 때에 비해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대부분 과목이 1학년 과목에서 발전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배우기에 1학년 때 열심히 공부한 친구들은 2학년 때도 비교적 수월하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3학년 전공과목으로는 ‘시사 강독’ ‘중국 현대문학사’ ‘삼국지 인문학’ ‘고급 중국어 회화’ 등이 있습니다. 유명한 중국 시인과 소설가의 원작을 한국어로 풀이해보고, 보다 높은 수준의 중국어 회화를 학습하게 됩니다. 4학년 때는 졸업시험을 치르고, 논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또 한자 능력 시험 3급 이상과 중국어 능력 평가 시험인 HSK 5급이 졸업 필수 요건입니다.저희 학과만의 장점은 전공 연수입니다. 중국이나 대만의
-
키워드 시사경제
경쟁자서 동업자로…포스코·현대제철 '오월동주'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2차전지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을 약속하는 업무협약(MOU)을 지난달 21일 맺었다. 현대차 계열사인 현대제철은 미국의 25% 철강 관세를 피하기 위해 루이지애나주에 제철소를 짓기로 했는데, 포스코가 여기에 투자자로 참여하고 철강 제품 일부를 가져다 쓸 계획이다. 국내 철강 1·2위 라이벌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관계가 ‘프레너미(frienemy)’로 재정립되고 있다는 평가다. “美 관세 파고 함께 넘자” 손잡은 1·2위프레너미란 친구(friend)와 적(enemy)을 합친 말로, 경쟁하는 동시에 협력하는 기업 간 관계를 가리킨다. 이 용어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심리학 교수인 테리 앱터가 <베스트 프렌즈>라는 책에서 처음 썼다. 친구가 잘되길 응원하면서도 내심 자신이 뒤처지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인간의 이중적 심리를 표현하면서다.삼성전자와 애플은 프레너미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한쪽에선 ‘갤럭시’와 ‘아이폰’으로 치열하게 싸우지만 다른 한쪽에선 스마트폰 부품을 만들어주고 공급받는 사이여서다.포스코그룹과 현대차그룹은 1970년대부터 철강 공급사와 고객사로 협력 관계를 맺어왔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현대차가 현대제철을 통해 자동차 강판을 직접 만들기 시작하자 포스코는 강판 원료 공급을 중단하는 등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번 합작은 총 58억 달러(약 8조3000억원)에 달하는 미국 제철소 투자 비용을 조달해야 하는 현대제철과 북미 생산 거점을 마련하고 싶어 하던 포스코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최근 수년 동안 한국 철강업계는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 국내시장에서는 건설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위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외국인 가사관리사 '최저임금 예외' 둬야 하나
서울시와 법무부가 최저임금 미적용 ‘외국인 가사사용인’ 시범 사업을 준비 중이다. 국내에 체류할 수 있는 비자를 보유한 외국인과 아이가 있는 가정을 연결, 중산층 가구의 양육 부담을 줄여주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시범 사업 참여를 원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5월까지 교육을 진행하고 6월부터 이들을 희망 가정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번에 모집하는 가사사용인은 서울시가 앞서 운영을 시작한 ‘필리핀 가사관리사’와 달리 최저임금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가사사용인이 개별 가구와 사적 계약을 맺는 구조여서다. 필리핀 가사관리사는 ‘강남 이모님’으로 불렸다. 인건비가 비싸 부유한 가정이 아니면 활용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사사용인’ 제도를 별도로 마련한 이유도 이런 지적을 고려한 것이다. [찬성] 저출산 위기로 국가 소멸할 수도…외국인 최저임금 챙길 때 아냐 2024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15~49세 사이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은 0.75명이다. 이대로 시간이 지나면 국가가 소멸할 수 있는 심각한 위기 상황이다.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부담 줄이기가 정부의 핵심 과제로 부상한 것도 이 때문이다. 양육이 쉬워지면 출산을 결심하는 부부가 늘어날 것으로 보는 것이다.싱가포르, 홍콩 등은 인건비가 저렴한 ‘외국인 이모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가사관리사는 매달 60만원 안팎의 급여를 받는다. 이 나라엔 최저임금제도가 없다. 홍콩은 입주형 외국인 가사관리사에 별도의 최저임금을 적용하는 데 월 80만원 정도가 하한선이다.한국은 싱가포르나 홍콩 등
-
숫자로 읽는 세상
52시간 규제·주휴수당 부담…초단시간 근로 사상 최대
경영 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채용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실직자는 전년보다 8% 증가하고, 일주일에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초단시간 임금근로자 수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한국경영자총협회는 28일 발표한 ‘최근 고용 흐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고용시장의 주요 특징으로 채용시장 한파 심화,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 초단시간 일자리 증가, 자영업자 감소 등을 꼽았다.먼저 신규 채용으로 분류되는 근속 3개월 미만 임금근로자는 지난해 4분기 12만2000명 줄었다. 2만3000명이 늘어난 2023년 1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대졸자(19만5000명) 가운데 취업자는 7만7000명으로 39.5%에 불과했다. 졸업을 연기하거나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면 취업하지 않는 인구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학사 학위 취득 유예생(1만8000명)은 2021년 이후 가장 많았다.해고, 권고사직,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비자발적 실직자는 지난해 137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8.4% 증가했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47만7000명 증가) 이후 4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건설 불황의 여파로 건설업과 부동산업에서 비자발적 실직자가 많이 늘었다.반면 초단시간 일자리 근로자는 지난해 140만6000명으로 1980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많아졌다.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96만6000명)보다 44만 명이나 증가했다. 작년 증가분 69.7%(10만 명)는 기혼 여성이었다. 경총은 “개인 여건에 따라 단시간 근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커졌고, 주 52시간 근무제나 주휴수당 부담으로 기업의 단시간 일자리 수요 확대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전체 취업자에서 자영업자가 차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惡事千里 (악사천리)
▶한자풀이惡: 악할 악 事: 일 사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나쁜 일은 천 리를 달린다는 뜻으로안 좋은 소문은 금세 멀리까지 퍼짐 -<북송쇄언>악사천리(惡事千里)는 ‘나쁜 일은 천 리를 달린다’는 뜻으로, 나쁜 소문은 아무리 숨기려 해도 멀리까지 금세 퍼짐을 이르는 말이다. 악사행천리(惡事行千里), 악사전천리(惡事傳千里)로도 쓴다. 중국에서는 속담처럼 사용해온 말로, 앞에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문밖으로 퍼져나가지 않음)이 붙어 대구를 이룬다.이 말은 송나라 때 손광헌(孫光憲)이 지은 <북송쇄언>에 나오는 “이른바 좋은 일은 문밖으로 퍼지지 않고, 나쁜 일은 천 리를 간다고 하였으니, 선비와 군자가 그것을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所謂好事不出門 惡事行千里 士君子得不戒之乎)”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같은 송나라 때 도원이 지은 <경덕전등록>의 선문답에도 “어떤 승려가 소종선사에게 ‘달마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인지요’라고 물으니, 소종선사는 ‘호사불출문, 악사행천리’라고 대답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악사천리는 <수호지> <서유기> 등 중국의 대중소설에도 자주 나온다. 우리말 속담 ‘발 없는 말이 천 리를 간다’와 의미가 비슷하다.소문과 관련된 사자성어는 많다. 유언비어(流言蜚語)는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이나 풍설을 이르는 말이고, 도청도설(道聽途說)은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말을 이른다.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를 이르는 가담항어(街談巷語),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을 이르는 부언유설(浮言流說)도 뜻이 같다. 낭설(浪說)은 터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