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오답 노트 만들어 주 2회는 반복 학습하길

    ‘지피지기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수학 공부에서 오답 노트를 통해 본인이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고 보완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단순히 자신이 틀린 문제와 그 풀이 방법을 적는 것만으로 오답 노트를 100% 활용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오답 노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오답의 분류, 나만의 핵심 포인트, 반복학습의 세 요소를 갖추어야 합니다. 먼저 오답 노트를 작성할 때는 틀린 이유에 따라 ‘단순 실수’ ‘중간까지는 풀었음’ ‘문제 접근법을 모름’ 등 세 가지로 분류할 필요가 있습니다. 답이 틀렸다고 모두 다 같은 오답은 아닙니다. 단순 실수로 틀린 문제를 통해서는 자주 실수하는 패턴을 찾을 수 있고, 접근 방법부터 막힌 문제는 몰랐던 문제 풀이 기술이나 개념을 보완할 수 있는 등 문제로부터 얻어갈 수 있는 게 다릅니다. 그렇기에 오답을 분류해두면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답 노트를 복습할 때도 필요에 따라 오답 유형을 적절히 선택해 공부할 수 있습니다. 오답을 분류한 뒤에는 그 문제로부터 새롭게 알게 된 점, 혹은 문제를 푸는 데서 핵심적인 개념을 문제 옆에 간단하게 메모해두면 좋습니다. 힌트 없이 문제를 다시 풀어보고 싶을 때를 대비해 포스트잇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시험 직전에 오답을 복습하고 싶을 때 핵심 포인트가 적혀 있다면 일일이 문제를 다시 풀지 않고도 빠르게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답 노트를 완벽하게 작성하고 나서 다시 보지 않는다면 그것은 오답 노트를 작성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오답 노트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이후 반복해서 보는 게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비교형은 논지 정리-공통점 탐색-차이 규정 순 접근을

    지난 호(9월 11일자 16면)에서 제공한 문제는 문화에 대한 제시문 [가]와 [나]의 논지 비교를 요구했습니다. 우선 정확한 답안 작성을 위해 각각의 논지를 정리해야 합니다. (1) 기준 제시문부터 각각의 논지를 정리하자보통 여러 제시문이 주어지는 경우, 어떤 제시문들은 문제의 답변을 위한 기준 개념을 제공합니다. [가]와 [나]의 경우 [나]를 기준 제시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중문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개념과 주장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 제시문에서는 ‘문화’에 대해 또렷한 주장 정리가 없습니다. 아마도 [나]와 대조해 [가] 제시문만의 의미를 밝혀보라는 문제의 요구사항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그럼 대중문화에 대한 [나] 제시문을 먼저 파악해보도록 합시다. 일반적으로 대중문화는 가요, 드라마, 영화 등 한 사회에 존재하는 여러 집단들이 누리는 문화를 말합니다. 대중문화는 대중매체가 급격히 발달하고 대중 위주의 사회가 정착된 근대사회에 들어와서 활성화되었고, 대중은 문화의 주체로 급부상합니다. 따라서 대중문화는 매체의 발전과 같은 궤도에 있습니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대중문화가 현대사회를 규정하는 핵심 수단이라고 주장합니다. 여러분은 현대사회가 무엇에 의해 유지된다고 생각하시나요? 누군가는 시민이나 대중, 누군가는 자본주의적 경제, 누군가는 근대국가의 정치적 이념 등을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대중문화’가 현대사회의 지속 원리라고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현대사회의 본질적 성격이 ‘동질성’이라면 이러한 동질성이 바로 대중문화에 의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대중문화를 통해 사람들은 유사하게 생각하고 소비하며 삶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어와 서술어 일치시켜야 정확한 문장

    구한말 1895년 열강의 각축 속에 일단의 일본 자객이 경복궁을 습격해 명성황후를 죽이는 사건이 벌어졌다. 을미사변이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라고도 한다. 누군가 이를 ‘명성황후 살해사건’이라고 했다면 무엇이 문제가 될까? ‘시해(弑害)’란 부모나 임금 등을 죽임을, ‘살해(殺害)’는 사람을 해치어 죽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두 말의 결정적 차이는 누구의 관점이냐에 있다. ‘시해’는 나와 우리의 관점인 데 비해 ‘살해’는 제삼자 관점에서 쓰는 말이다. 그러니 모국어 화자는 당연히 우리 관점을 담아 ‘시해’라고 해야 한다. ‘~로 보인다’는 필자가 판단하는 표현글을 쓰다 보면 타인의 말이 아니라 나의 말로 전달해야 할 때가 있다. 그것은 글을 ‘주체적 관점’에서 써야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지금 말하는 게 나의 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얘기임을 드러내야 할 때가 있다. 지난 호에서 설명한 ‘이른바’를 사용해 “남들이 그리 말하더라”라는 의미를 더해주는 문장론적 기법이 그런 방법론 중 하나다. 그것이 바로 전달 어법이다. 저널리즘 글쓰기에서 이처럼 나의 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임을 드러내는 것은 글에 객관성을 불어넣는 길이기도 하다. 이때의 객관성은 물론 형식논리상의 객관성을 말한다. 자칫 언론의 ‘객관성’을 쉽게 말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는 본질을 보지 못하고 피상적으로 하는 얘기일 뿐이다. ‘객관성’ 개념은 실현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그래서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실제 내용의 참·거짓 여부에 상관없이 문장 형식이 객관성을 띠고 있느냐 여부에 있다.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게 좀 더 쉽다. “물가상승으로 단체 급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청년 급감' 지자체가 서울에 장학 기숙사, 잘하는 일인가

    윤석열 정부도 과거 정부처럼 지역 균형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인구 감소가 현저해지면서 ‘소멸 위기’ 경고가 반복되는 지방을 살리자는 정부 차원의 청사진에는 다양한 내용이 들어 있다. 핵심은 기업 유치, 인구 감소 저지로 경제 살리기다. 지방 소멸 위기의 핵심은 인구 감소, 특히 청년층 급감이다. 줄어드는 인구의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사회적 이동’이다. 대학 진학을 필두로 졸업생들까지 몰려들면서 수도권은 과밀이 심각한 문제다. 학생·청년들이 진학과 취업을 위해 서울로 몰리는 것은 한국적 현실에서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문제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서울에 학사·학숙이라는 관급 기숙사까지 지어주며 청년들의 탈지역을 부채질한다는 점이다. 인구가 없다면서 기숙사를 제공해 지방 이탈을 부채질하는 행정을 어떻게 봐야 하나.[찬성] 지역 학생 상경 진학은 오랜 전통…'주거 전쟁' 학생에 기숙사는 현실적 지원책전국 각 지역 학생들이 진학을 위해 서울로 몰리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규모 상경은 진학 자체가 일종의 특혜였던 개발 연대 때부터 비롯된 전통이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우수한 대학이 집중돼 있는 데다 졸업 후 취업할 만한 대기업과 주요 기관들이 서울에 많이 있기 때문이다. 공기업들이 대거 지방으로 분산되고 각 지역에 혁신도시를 만들어도 한계가 있다. 이런 실상에서 기왕 지방 학생이 학업차 서울로 간다면 주거비 지원이라도 해주는 게 현실적인 지역 주민 지원책이다. 서울에서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은 심각하다. 대학생 경우 ‘주거 전쟁’을 벌인다고 볼 만하다. 기숙사를 운영하는 대학이 적지 않지만 몰려드는 학생 수

  • 생글기자

    예전만 못한 중국 경제…기회가 될 수 있다

    중국이 헝다 그룹에 이어 비구이위안이란 회사의 부실로 나라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둘 다 중국을 대표하는 부동산개발 회사들이다. 비구이위안은 최근 10억 달러 규모의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으며, 회사 신용등급도 C등급까지 떨어졌다. 비구이위안의 부채 규모는 약 2000억 달러, 헝다는 3000억 달러가 넘는다고 한다. 이 모두를 합하면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에 달한다. 넓은 땅과 도시의 개발을 경제성장의 중심축으로 활용해온 중국이지만, 이제 거품 부작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경제의 부실이 부동산 분야에서 불거질 것이란 예상은 과거에도 많았다. 그런데 미국이 중국에 세계 패권이 넘어가지 않게 공급망까지 봉쇄하면서 악재가 겹쳤다. 경제성장률 목표도 5%대로 내릴 정도로 힘든 형국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정치 외교적 관계가 헐거워지고 갈등 양상마저 나타난다. 중국에 대한 미래세대의 관심도 떨어지고 있다. 외국어고나 대학 언어계열 학과를 보면 중국어과 선택률이 낮아지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한국에 가장 가까운 나라다. 비구이위안 사태가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의 실물경제와 금융시장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중국 경제를 잘 알고 중국 정치 등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 중국의 기침에 한국이 감기 걸리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역사와 문화, 언어에 대한 관심도 지속되는 게 바람직하다. 중국과 뭔가 멀어지려 할 때 중국 쪽에서 자신의 커리어나 전공을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소동혁 생글기자(양정중 3학년)

  • 영어 이야기

    custom의 다양한 쓰임새

    The AI-driven growth in high bandwidth memory (HBM) chip demand has created a new memory market for high value-added, customized DRAM chips, including processing-in-memory (PIM), compute express link (CXL) and double data rate 5 (DDR5), according to industry experts. “We start discussing a (chip development) roadmap about two to three years in advance,” said Park Myung-soo, head of DRAM marketing at SK Hynix. Its bigger rival Samsung Electronics will als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main memory DDR5 and ultra-capacity memory CXL, along with near memory HBM. “The integration of CPU operation accelerator PIM with the CXL interface will further expand DRAM usage,” said Hwang. “Our customers ask for high-performance DRAMs, not budget DRAMs,” he said. 인공지능(AI) 발달에 힘입어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PIM, CXL 및 DDR5를 포함한 고부가가치 맞춤형 D램 칩을 위한 새로운 메모리 시장이 창출되었다고 업계 전문가들이 말했다. 박명수 SK하이닉스 반도체 마케팅 담당 부사장은 “2~3년 정도 미리 (칩 개발) 로드맵 논의를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더 큰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니어메모리 HBM과 함께 고성능 메인 메모리 DDR5, 초대용량 메모리 CXL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황 대표는 “CXL 인터페이스와 CPU 연산 가속기 PIM의 통합으로 D램 사용량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고객은 저가형 D램이 아닌 고성능 D램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해설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존중하는 시대가 되면서 기업들은 고객의 성향에 맞는 주문형 상품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반도체를 제조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예외가 아닙니다.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으로 고성능 컴퓨터에 쓰이는 맞춤형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 이제는 설계 단계부터

  • 생글기자

    청소년 마약범죄, 호기심 뿌리 뽑을 교육부터

    ‘마약 청정국’으로 분류되던 대한민국이 처참하게 무너지고 있다. 이제는 마약이 청소년들에게까지 뿌리 내리고 있다고 하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19세 이하 마약사범 수가 2018년 143명에서 2019년 239명으로 늘어나더니 작년엔 481명에 달했다. 청소년까지 마약의 유혹에 빠져들고 있는 이유 중에는 마약을 예전보다 너무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과거에는 마약을 사기 위해 유통업자를 직접 만나 며칠에 걸쳐 구입해야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터넷 상거래를 통해 1시간, 빠르면 30분 이내에도 마약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병원이나 약국에서도 마약 성분의 약을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영업이 잘되지 않는 동네 병원이나 약국 같은 곳에서는 중독성이 강한 마약인 줄 알면서도 판매한다고 하니 충격적이다. 또한 마약 구매자들이 이러한 곳을 목록으로 만들어 공유하고 있다고 한다. 청소년 마약 확산의 또 다른 이유는 호기심이다. 드라마·영화 속 마약 투약 장면은 물론, 연예인들의 마약범죄 뉴스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언제 나를 포함한 청소년들이 마약의 유혹에 빠질지 모르는 일이다. 잠깐의 호기심이 유발한 마약 경험이 끊기 힘든 중독으로 충분히 이어진다. 마약중독자들은 잘못인 줄 알면서도 금단현상 때문에 약을 당장 구해야 한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투약을 포함한 마약범죄는 결국 예방이 우선이다. 평소 청소년들에게 마약범죄의 심각성을 알리고 마약범죄에 대한 처벌이 강도 높다는 점을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막연한 호기심부터 뿌리 뽑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다애 생글기자(성일정보고 2학년)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