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000 씨'는 높임말일까 낮춤말일까

    얼마 전 야당의 한 의원이 방통위원장을 가리켜 “XXX 씨” 하고 불러 논란이 됐다. 다음 날에는 또 다른 의원이 대통령을 지칭하며 “○○○ 씨”라고 해 파장을 일으켰다. 우리말 ‘씨’를 둘러싼 호칭어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전임 대통령에게 ‘씨’를 붙여 부르다 SNS를 폐쇄당한 것을 비롯해 멀리 ‘김종필 씨’ 사건에 이르기까지 연원이 깊다. 공통점은 대개 정치권에서 나오는 구설이라는 점이다. 정치권의 저급한 ‘막말 논란’의 한 가지임을 알 수 있다.동료에겐 존대어, 윗사람에겐 못 써1998년 8월 26일 국회 본회의장.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S의원이 김종필 국무총리를 거세게 몰아붙였다. 그는 김 총리를 시종일관 “김종필 씨”라고 부르면서 공세를 폈다. 여당 석에서 “그만해” 하는 고함이 터져나오면서 본회의장은 순식간에 험악한 분4위기에 휩싸였다. 여당 쪽에선 “어떻게 국무총리를 ‘씨’라고 부를 수 있느냐”며 강력히 항의했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국회에서 호칭을 두고 다투는 상황이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씨’의 정체는 무엇일까? 우리가 너무도 익숙하게 여기는 이 말의 출처는 한자 ‘氏’다. 우리가 잘 안다고 생각하는 ‘씨’이지만 막상 정색하고 들여다보면 그 용법이 간단치 않다. 먼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같은’ 얘기 하나. ‘씨’가 존대어라고 하는 주장 혹은 인식이 그것이다. 그렇지 않다. ‘씨’는 아랫사람이나 비슷한 또래한테 붙이면 대접해 부르는 말이지만, 윗사람한테는 붙이지 못한다. 아버지나 선생님을 그리 불렀다간 매우 예의 없는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정의에서 '조건'의 의미 파악하고 읽어야

    정시는 조절 작용*이 없는 무조절 상태에서 무한히 멀리서 눈으로 들어온 광선의 초점이 망막에 맺히는 경우(a)로, 이때 최대 시력을 얻을 수 있다. 비정시는 무조절 상태에서 무한히 멀리서 눈으로 들어온 광선의 초점이 망막의 앞쪽(b) 혹은 망막의 뒤쪽(c)에 맺히는 경우다.(중략)정시는 수정체의 조절 작용이 0D인 무조절 상태에서 +59D의 눈 굴절력을 가지며, 0 ~ +14D인 수정체의 조절량에 따라 눈 굴절력은 +73D까지 커질 수 있다. 비정시는 초점이 맺히는 위치에 따라 근시와 원시로 구분된다. (중략)눈 굴절력이 +61D인 근시는 -2D인 구면 렌즈를 눈앞에 대면 눈 굴절력과 (-)구면 렌즈의 굴절력이 합해져 +59D가 되기 때문에 정시로 교정되는 것이다. … 정시인지 비정시인지 판정하기 위해, … 무조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 무조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운무법이 사용된다. 운무법은 눈앞에 (+)구면 렌즈를 대어 초점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구면 렌즈를 순차적으로 덧대어가면서 최대 시력을 얻는 최소의 (-)구면 렌즈 값과 운무법에 사용된 렌즈 값을 합하여 비정시의 정도를 판정한다.*조절 작용: 수정체의 굴절력이 변하는 것.- 2023학년도 10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지문 키워드] 무조절 상태에서 … 초점이 망막에 맺히는 경우(a) … 초점이 망막의 앞쪽(b) 혹은 망막의 뒤쪽(c)에 맺히는 경우우리는 키를 잴 때 ‘발꿈치를 들지 말라’고 한다. 이를 ‘조건’이라 하는데, 조건이 없으면 한 사람의 키도 여럿일 수 있고 다른 사람과 비교될 수 없기 때문이다. 개념을 정의할 때도 조건을 줄 때가 많다. 일기예보에서 많이 듣는 ‘기압&rsq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이러니한' 인가, '아이로니컬한' 인가

    # “인생 참 아이러니해요. 옛날엔 존경받고 싶었는데, 아카데미상을 받은 뒤에 더 주의하면서 살고 있어요. 자유롭게 살고 싶은 내게 족쇄가 생긴 거죠.” 배우 윤여정 씨가 자신의 연기와 작품에 관한 생각을 털어놨다. 지난달 6일 부산에서 열린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행사에서다. 첫 문장에 쓰인 ‘아이러니하다’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흔히 접하는 말이긴 해도 어딘가 어색한 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거슬림은 어디에서 연유하는 것일까?외래말을 우리말화할 때도 규칙 있어# “‘마약통’이라는 별명까지 얻으며 작년까지 검찰에서 근무하던 그가 퇴임한 뒤 아이로니컬하게 마약 사범의 변호를 맡게 됐다.”이 문장에도 비슷한 말이 쓰였다. ‘아이로니컬하다.’ 형태가 조금 다른 이 말은 비교적 자연스럽다. ‘아이러니하다’와는 어떻게 다를까?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은 ‘아이러니하다’(모순된 점이 있다)와 ‘아이로니컬하다’(아이러니의 속성이 있다)를 다 올려놓았다. 두 풀이를 보는 이들은 곤혹스럽다. 두 말의 차이를 구별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표준국어대사전>에선 ‘아이러니하다’와 ‘아이로니컬하다’를 다른 말로 본 것 같다. 후자는 전자에 비해 ‘그런 느낌이 있다’는 뜻을 더하는 말로 풀이한 듯하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말장난에 불과하다. 실제 발화에서 그것을 구별해 쓰는 게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어감에 따라 두 말을 달리 쓰는 사람이 있을지 의문이다. 이에 비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아이로니컬하다’를“일이나 상황이 예상밖의 결과를 빚어 모순되고

  • 영어 이야기

    매우 안 좋은 상황을 강조할 땐 'dire'

    South Korea plans to allow non-professional workers from India and Lithuania to apply for the E-9 visa. The government is also considering raising the E-9 visa quota from the current 110,000 foreign workers to 120,000 to ease chronic labor shortages in industries that do not require special skills, a government source said on Monday.Government officials said India, with the world’s largest population of 1.43 billion people, has strengths in the shipbuilding, steel and IT sectors, where Korea suffers a dire shortage of skilled workers. Lithuania has strengths in advanced industries such as precision laser technology, officials said.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9 visa workers from these two countries would mean a labor quality upgrade for Korea’s major sectors, they added.한국은 인도와 리투아니아 출신의 비전문 외국 인력에 대한 E-9 비자 신청을 허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업종의 만성적인 인력난 완화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E-9 비자 한도를 현재 11만 명에서 12만 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정부 소식통이 월요일 밝혔다.정부 관계자들은 14억3000만 명의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한 인도가 조선·철강·IT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는 반면 한국에는 숙련된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리투아니아는 정밀 레이저 기술과 같은 첨단 산업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두 국가 출신의 E-9 비자를 받은 근로자 수가 증가하면 한국 주요 부문에서 노동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정부 관계자들은 내다봤다.해설저출산 고령화로 우리나라 제조업체는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 완화를 위해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발행하는 E-9 비자를 동남아시아에 이어 인도와 리투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身外無物 (신외무물)

    ▶한자풀이身: 몸 신  外: 바깥 외  無: 없을 무  物: 만물 물몸 외에는 다른 것이 없다는 뜻으로무엇보다 몸이 가장 소중함을 이름       - <도덕경>나이가 들면 건강한 사람이 부자라는 말이 있다. 어디 나이 든 사람뿐이겠는가. 행복으로 가는 길에도, 성공으로 가는 길에도 건강이라는 디딤돌이 놓여 있다.신외무물(身外無物)은 ‘몸 외에 다른 것이 없다’는 뜻으로, 다른 어떤 것보다도 몸(건강)이 가장 소중함을 이르는 말이다. 신외무물의 원전은 분명치 않으나 <도덕경> 44장에 의미가 같은 구절이 있다.“명성과 몸, 어느 것이 가까운가?(命與身孰親). 몸과 재화, 어느 것이 소중한가?(身與貨孰多). 얻음과 잃음, 어느 것이 병인가?(得與亡孰病). 이런 까닭에 애착이 심하면 반드시 큰 대가를 치르고, 많이 쌓아두면 반드시 크게 잃는다. 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知足不辱),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아(知止不殆) 장구할 수 있다(可以長久).”노자가 보기에 모든 우환의 시작은 과욕(過慾), 즉 지나친 욕심이다. 그러니 과욕(寡慾), 즉 욕심을 비움으로써 몸과 마음을 잘 보존하라는 얘기다. 지족이나 지지는 장구함으로 이어진다는 게 도가 철학의 골자다.유가의 주요 경전인 <효경>도 “신체의 털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므로 감히 손상시키지 않음이 효도의 시작이요(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 입신하고 도를 행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려 부모를 드러내는 것이 효도의 끝이다(立身行道揚名於後世 以顯父母孝之終也)”라고 했다. 유가와 도가는 걷는 방향은 서로 다르지만 몸을 귀히 여긴다는 출발선은 같다.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약술형 증가 추세…대비 포인트 알고 대응을

    이번 주에 논술고사를 치르는 가천대를 비롯해 2024학년도 기준 10개 대학에서 약술형 논술고사로 3000여 명을 선발한다. 내년에도 을지대를 비롯해 약술형 논술을 신설하는 대학이 생기면서 논술전형에서 약술형 논술의 비중이 꾸준히 커지고 있다.약술형 논술은 크게 <국어+수학>을 출제하는 가천대 유형과 수학만 출제하는 한국외대 유형으로 구분된다. <국어+수학>의 가천대 유형에서도 수학 문항의 변별력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올바른 대비 전략이 필요하다.수리논술 파이널 대비 포인트○ 가천대 유형● <국어+수학> 출제●가천대, 수원대, 서경대, 삼육대, 한신대○ 한국외대 유형●수학만 출제 (10문항 내외)●한국외대(서울캠퍼스 AI융합학부 신설 포함), 홍대 세종, 고려대 세종, 한국공학대, 한기대○ 약술형 수리논술 파이널 대비포인트●자연계열은 수학 9문항 기준 1~3 개 정도 까지가 합격선●특히 수학 문제 풀이의 시간 관리가 매우 중요함●쉬운 5~6개 문항을 1~2분 내에 빠르게 해결해 3~4개 중 킬러 문항 (변별력 중상)의 풀이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합격의 관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y=z/x일 경우, y는 x, z와 무슨 관계일까?

    ㉠ 굴절력은 무한히 멀리서 렌즈로 들어온 광선이 렌즈를 통과할 때 렌즈로부터 형성된 초점과 렌즈 사이의 거리인 초점거리를 역수로 표시하고, 디옵터(D)를 단위로 한다. 예를 들어 무한히 멀리서 렌즈로 들어온 광선이 (+)구면 렌즈를 통과한 후 1m 떨어진 거리에 초점이 맺혔다면 이 구면 렌즈의 굴절력은 +1D(=+1/1m)가 된다.눈은 해부학적으로 크기가 정해진 굴절계로,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초점을 맺음으로써 시력을 형성한다. 눈은 굴절력이 일정한 각막과 굴절력이 변할 수 있는 수정체에 의해 초점이 망막에 맺히도록 하는데, 굴절력이 부족하거나 물체가 눈앞 가까이에 있을 경우 초점을 망막에 위치시키기 위해 수정체의 굴절력이 커지는 조절작용이 일어난다.- 2023학년도 9월 교육청 전국연합평가 -[지문 키워드] 렌즈로 들어온 광선이 렌즈를 통과할 때 렌즈로부터 형성된 초점과 렌즈 사이의 거리인 초점거리철수 쌤은 알고 있어야 할 것과 글 속에서 알아나가야 할 것을 구별하며 읽는다고 했다. 지문의 ‘초점거리’는 알고 있어야 할 것이 아니라 알아나가야 할 것임을 생각하면서 읽는다. 초점거리를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고 있을 필요가 없는 개념이므로 출제 선생님은 ‘초점과 렌즈 사이의 거리’라고 친절하게 설명했으나, ‘초점’과 ‘렌즈’는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고 있어야 할 말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해주지 않았다.그런데 초점을 우리는 흔히 ‘모이는 점’이라고 알고 있다. 이 의미를 떠올리며 지문을 읽으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철수 쌤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출제 선생님이 ‘렌즈로부터 형성된’이라고 꾸미는 말로 초점을 친절하

  • 영어 이야기

    처음으로 되돌아가다 'back to square one'

    Indonesia, a partner of South Korea’s KF-21 fighter jet development project, has failed again to notify the Korean government of its plan to pay its share of the project’s cost, putting their partnership in jeopardy.The KF-21 is a joint project between Korea and Indonesia to develop a next-generation supersonic combat plane with Korea’s homegrown technology for key components.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Seoul’s arms procurement agency, said on Wednesday that Indonesia didn’t provide its payment plan by the end of October as promised. Jakarta has so far paid 278.3 billion won with the remaining 991.1 billion won overdue.Minister of DAPA Eom Dongwhan said during a parliamentary audit of the arms procurement agency last month that it would “have no other choice but to send the joint project back to square one” if Jakarta keeps breaking its promises.한국 KF-21 전투기 개발사업의 파트너인 인도네시아가 사업비 분담금 지급계획을 한국 정부에 또다시 통보하지 않아 양국의 파트너십이 위태로워졌다.KF-21은 한국 핵심부품 기술이 접목된 차세대 초음속 전투기를 개발하기 위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합작 사업이다.무기 조달 기관인 방위사업청은 인도네시아가 약속한 대로 10월 말까지 지급계획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수요일 밝혔다.자카르타는 지금까지 2783억 원을 납부했고 나머지 9911억 원을 연체했다. 엄동환 방위사업청장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자카르타가 계속해서 약속을 어길 경우 합작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해설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가 함께 개발하기로 한 초음속 전투기 KF-21에 대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분담해야 할 비용 지불을 미루고 구체적인 지급계획도 내놓고 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