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어 이야기

    지체 또는 차질을 빚을 땐 'setback'

    South Korea’s low-cost carriers (LCCs) may have to shelve plans to launch service to Indonesia after the two countries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on aviation transportation. Domestic budget carriers are pinning high hopes on new routes to Indonesia to expand beyond short- and medium-distance routes amid the post-pandemic travel boom.T'way Air has steadily explored long-distance routes. Last year, it secured three A330-300s and Boeing's next-generation B737-8 aircraft for mid-to-long routes.But they are now being deployed to existing routes such as Bangkok, Singapore and Osaka. T'way Air also suffered a setback in its plan to launch flights to Croatia after it obtained the right to fly to the Balkan nation as South Korea’s first LCC.It was never able to fly any planes to the country because the Russia-Ukraine war forced it to fly longer distances, which made it unaffordable.한국과 인도네시아가 항공운송 합의에 실패하면서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인도네시아 취항 계획을 보류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여행 수요가 회복함에 따라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은 인도네시아 신규 노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티웨이항공은 장거리 노선을 꾸준히 개척해왔다. 지난해에는 중장기 노선 운항을 위해 A330-300 3대와 보잉의 차세대 B737-8 항공기를 도입했다.하지만 새로 도입한 비행기들은 현재 방콕, 싱가포르, 오사카 등 기존 노선에 배치되고 있다.티웨이항공은 국내 저비용항공사 최초로 크로아티아 운항권을 땄지만, 크로아티아 노선에 취항하려던 계획은 지체되고 있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 먼 거리를 비행해야 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로 비행기를 한 번도 띄우지 못했다.해설코로나19 사태가 마무리되면서 해외여행이 증가하자 국내 저비용 항공사들은 중장거리 노선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조우'와 '복안'은 어떻게 상투어가 됐나

    #.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잦은 해외 순방에도 성과가 미흡하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조우했음에도 한중 정상회담이 불발된 일을 탓한 것이다.주목해야 할 곳은 ‘조우’다. 흔히 쓰는 말이지만, 잘못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조우(遭遇)’란 무엇일까. ‘조(遭)’와 ‘우(遇)’ 모두 ‘우연히 만나다’란 뜻을 나타내는 글자다.‘조우=우연한 만남’… 아무 데나 쓰면 곤란두 글자에 공통적으로 쓰인 ‘쉬엄쉬엄 갈 착()’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책받침변’으로도 불리는 이 글자는 사람이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즉 “길을 가다 A와 B가 조우했다”는 의미로, 예기치 않게 만났을 때 쓰는 단어가 ‘조우’다. 흔히 하는 말 중에 “조난(遭難)을 당하다”,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다”라고 할 때 각각 ‘조’ 자와 ‘우’ 자가 쓰였다. ‘항해나 등산 따위를 하는 도중에 재난을 만나는 것’이 ‘조난’이다.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나다, 즉 좀체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이 ‘천재일우’다.그러니 예문의 표현이 왜 잘못됐는지 자명하게 드러난다. ‘우연히 만났다’고 해놓고 어찌 정상회담을 기대한다는 말인가. 정상회담이 불발된 것을 탓할 수 없는 상황인 셈이다. 하지만 더 본질적인 오류는 이 문맥에서 ‘조우’ 자체가 적절치 않은 말이라는 점이다. 국제회의 석상에서 어느 두 나라 정상이 “회의 장소에 들어가면서 조우해…” 식으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物以類聚 (물이유취)

    ▶한자풀이物: 만물 물    以: 써 이    類: 같을 류    聚: 모일 취'물건은 종류대로 모인다'는 뜻으로우리말 '끼리끼리 모인다'와 같은 의미 - <주역> <전국책>친구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그러니 내가 누군지 궁금하면 친구를 보면 된다. “초록은 동색”이라고 했다. 초색(草色)과 녹색(綠色)을 합해 초록이라 하듯 서로 같은 무리끼리 잘 어울린다는 뜻이다. “가재는 게 편이요, 솔개는 매 편”이라 했으니 닮으면 한 편이 되는 게 세상의 이치다. 유유상종(類類相從). 끼리끼리는 서로 따르고 서로 좇는다.역서이면서 철학서인 <주역> 계사 편에는 “삼라만상은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누어지니 이로부터 길함과 흉함이 생긴다(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에서 유래한 물이유취(物以類聚)는 우리말의 ‘끼리끼리 모인다’와 같은 뜻으로, 오늘날에는 주로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 부류로 모인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인이군분(人以群分, 사람은 같은 무리끼리 모인다)와 연결해 ‘물이유취 인이군분’으로도 사용된다. <주역> 문언 편에는 “하늘에 근본을 둔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을 둔 것은 아래와 친하니, 이는 각자가 그 비슷한 것을 좇기 때문이다(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則各從其類也)”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또한 물이유취(物以類聚)와 뜻이 온전히 통한다.<전국책> 제책 편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전국시대 제나라의 순우곤(淳于)은 왕이 인재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는 하루에 7명이나 천거했다. 왕이 “인재는 구하기 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상황에 적용할 줄 알아야

    ㉠ 하트는 법 규칙의 의미가 확정적일 때 다른 요소를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법 규칙은 대부분 확정적 의미의 규칙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법 규칙이 명백하게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했을 경우, 판사는 법에 근거한 논리적 판단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사회적 목적, 정책 등과 같은 법 외적 요소를 고려한 재량을 행사하여 판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판사는 경계에 있는 사례에 대해 의미를 확정하는 선례를 남기기 때문에 규칙을 제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았다.㉡ 풀러는 하트의 법 해석에 대한 접근이 개별 단어들에 지나치게 집중한다고 비판하면서 법을 해석할 때는 기본적으로 법 규칙의 맥락과 법 규칙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즉 판사는 탈것을 금지하는 규칙의 맥락과 목적을 해석 과정 전반에서 고려해 판결해야 하는 것이지 탈것의 의미가 불확정적일 때만 비로소 목적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 한편 풀러는 하트가 법 규칙의 언어를 중시하여 법을 해석해야 한다는 이론을 제시한 것은 법 규칙의 목적을 중시하는 해석을 과도하게 하면 생길 수 있는 위험을 경계한 것이라고 이해했다. 법으로 금지되고 허용되는 행위를 미리 분명하게 확정할 수 없다면 법치주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문제>10. ㉠, ㉡이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K국에는 “박물관에서 먹을 것 섭취를 금지한다”라는 규칙이 있다. 어느 날 A는 박물관에서 약을 먹다가 적발되자, 약은 금지된 먹을 것이 아니라고 판사에게 주장했다.- 2023학년도 10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지문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글의 큰 틀을 먼저 잡고 관점을 주장해야

    지난 시간에 제공한 견해논증형 문제(11월 13일 자 16면)의 답안을 풀어보겠습니다. 문제는 성과급 제도에 대해 기능론과 갈등론의 양 관점에서 찬성과 반대론을 전개하라는 것이었습니다.성과급 제도는 작업의 성과를 기준으로 지급하는 임금이다. 자신의 능력에 따라 더 많은 보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경쟁적 시스템을 원하는 많은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추세에 있다.기능론의 관점은 차등 분배로 인한 사회 불평등에 대해 사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정당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성과급 제도는 사회를 위해 필요한 제도입니다. 능력에 대한 인정과 더 나은 대가를 위한 반면 갈등론은 사회가 서로 대립하는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서 사회 불평등은 부당하고 해소해야 할 대상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입장은 균등 분배를 지지하므로, 성과급 제도에 대해 반대할 것입니다. 성과급 제도는 개인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적 대립을 만들 것이며 새로운 구조적 부조리를 생산할 것입니다.그렇다면 찬성과 반대의 근거들을 구상해봅시다. 우선 구체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난 시간 첫 번째 원칙으로 설명했던 부분을 기억하시나요? 어떤 학생들의 답안을 보니 “성과급 제도는 기업 내 경쟁을 촉발하여 사회 전체적인 발전을 유도할 것이다. 게다가..”와 같은 문장이 기술되어 있었습니다. 성과급 제도가 왜 기업 내 경쟁을 촉발할까요? 능력에 따라 더 많은 보수가 부여되어 그렇겠지요. 그렇다면 왜 기업 내 경쟁적 분위기가 사회 전체적인 발전을 유도할까요? 비약으로 보이지 않도록 구체적으로 기술해주세요.연세대학교 합격생의 답안 일부 [예시 1]를 보겠습니다.[예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내포' '외연' 등의 개념을 적용하며 해석해야

    법 해석은 법 규칙의 내용을 분명히 파악하고 그 적용 범위를 확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많은 사례에 법 규칙이 문제없이 작용한다고 할지라도, 일부 사례에서는 적용 가능 여부가 분명하지 않아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중략)개방적 구조란 법 규칙이 명백하게 적용되는 핵심적인 사례에서는 언어의 의미가 확정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계에 있는 사례에서는 언어의 의미가 불확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법 규칙처럼 언어로 만들어진 규칙이라면 대부분 이러한 개방적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다 … 언어의 본성이 개방적이며,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사태를 알 수 없어서 규칙의 적용 여부가 미리 완벽하게 확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원 안의 조용함과 평화를 위해 ‘공원에 탈것의 출입 금지’라는 규칙을 만든다고 할 때, 이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그 규칙이 적용되는 범위에 어떤 사례로 들어가기 위해 충족해야 할 조건을 결정한다. 이때 작성자의 머릿속에는 그 범위 내에 있는 자동차나 버스와 같은 명백한 사례가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장난감 자동차가 거기에 포함되는지는 미리 구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공원의 조용함과 평화가 장난감 자동차를 사용해 즐거워하는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우선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 역시 예견하지 못했을 수 있기 때문에 앞의 규칙만으로는 그것이 허용되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 2023학년도 10월 교육청 전국연합 학력평가 -[지문 키워드] 법 해석은 법 규칙의 내용을 분명히 파악하고 그 적용 범위를 확정하는 것철수 쌤은 개념을 이해할 때 내포와 외연을 고려한다고 했다. 내포(內包)는 개념이

  • 영어 이야기

    거짓, 과장된 정보를 주다 'blow smoke'

    The Korean chip startup develops and produces solid-state drive (SSD) controllers for data centers. SSD controller is a core component of SSDs. It became the country’s first semiconductor unicorn with a valuation of over $1 billion during its pre-IPO share sales in February.It debuted on the Kosdaq market on Aug. 7 with an IPO price of 31,000 won per share. But shares finished the first trading day below the IPO price on concerns about its high valuation. Its public earnings disclosure with poor results last week fanned its valuation concerns, triggering investors to rush to throw out its shares. Disgruntled investors accused the company of blowing smoke.국내 스타트업 중 한 곳인 그 회사는 데이터센터용 SSD 컨트롤러를 개발하고 생산한다. SSD 컨트롤러는 SSD의 핵심 구성 요소다.지난 2월 프리 IPO(주식시장 상장 전) 주식 매각 과정에서 10억 달러가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국내 반도체 회사 중 첫 유니콘기업이 되었다. 이어 지난 8월 7일 코스닥시장에 주당 3만1,000원으로 상장됐지만 높은 기업가치 평가에 대한 우려로 주가는 IPO 가격 아래로 떨어진 채 첫 거래일을 마감했다.지난주 발표한 부진한 실적 때문에 회사 가치 평가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어 투자자들이 서둘러 회사 주식을 내다팔았다. 불만을 품은 투자자들은 그 회사가 거짓된 정보를 제공했다고 비난했다.해설인공지능의 급속한 발달로 데이터 공급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대용량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 저장 장치인 SSD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SSD는 기존 컴퓨터 하드웨어를 대체할 제품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이런 장밋빛 기대에 힘입어 SSD 반도체 설계 회사 중 국내 회사 한 곳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지만 몇 달 지나지 않아 예상치 못한 나쁜 실적을 발표했습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巧言令色 (교언영색)

    ▶한자풀이巧: 공교할 교言: 말씀 언令: 하여금 령(영)色: 빛 색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다환심을 사기 위한 꾸민 말과 아첨하는 얼굴 - <논어>말(言)은 공자가 군자와 소신을 가르는 대표적 잣대다. 공자에 따르면 “군자의 말은 묵직하고 소인의 말은 가볍다”. 군자의 말은 발을 따라가지만 소인의 말은 발보다 저만치 앞서간다. 군자의 말이 어눌한 듯한 것은 발(行)이 말을 따라가지 못할까 저어하기 때문이다.“발라 맞추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에는 인이 적다(巧言令色 鮮矣仁).”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반면 공자는 “강직하고 의연하고 질박한 사람이 오히려 인에 가깝다”고 했다. <도덕경> 마지막 장(81장)에 “미더운 말은 번지르르 하지 않고 번지르르 한 말은 미덥지 않다(信言不美 美言不信)”고 했는데, 공자의 말과 뜻이 오롯이 맞닿는다.교언영색(巧言令色)은 교묘하게 꾸민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이다. 환심을 사기 위해, 이익을 취하기 위해, 누군가를 속이기 위해 말재주를 부리고 표정을 꾸미는 거다. 여기서 영(令)은 아름답다는 뜻으로, 외면적 꾸밈을 이른다. 니체는 “거짓을 말하는 자는 말이 너저분하고 길어진다”고 했다. 입의 현란함으로 진실을 가리고 거짓인지 의심하는 마음을 흔들려는 심리를 꼬집는 말로 읽힌다.참고로 <여씨춘추>에는 팔관(八觀:,사람을 보는 여덟 가지 관찰법)이 나오는데, 말과 관련된 것이 두 개나 포함된다.1. 잘 나갈 때 어떤 사람을 존중하는가 2. 높은 자리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을 쓰는가 3. 부유할 때 어떤 사람을 돌보는가 4. 남의 말을 들을 때 어떤 행동을 취하는가 5. 한가할 때 무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