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문장 의미를 파악하고, 상위 개념 생각하는 훈련을
조선 왕조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에 규정된 신분제는 신분을 양인과 천인으로 나눈 양천제이다. 양인은 … 납세와 군역 등의 의무를 져야 했다. … 양반이 16세기 이후 … 양인은 사회적으로 양반, 중인, 상민으로 분화되었다. 이러한 법적, 사회적 신분제는 갑오개혁으로 철폐되기 이전까지 조선 사회의 근간이 되었다. (중략)영조 연간에 편찬된 법전인 <속대전>에서는 노비가 속량할 수 있는 값을 100냥으로 정하는 규정을 둠으로써 속량을 제도화했다. 이는 국가의 재정 운영상 노비제의 유지보다 그들을 양인 납세자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했기 때문이었다. 몰락한 양반들은 노비의 유지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몸값을 받고 속량해 주는 길을 선택했다. (중략)유학은 군역 면제라는 특권이 있어서 상민층이 원하는 직역이었다. 유학 직역의 획득은 제도적으로 양반이 되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 곧 온전한 양반으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중략)조선 후기에는 … 양반의 하한선과 비(非)양반층의 상한선이 근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양반들이 비양반층의 진입을 막는 힘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었지만, 비양반층이 양반에 접근하고자 하는 힘은 더 강하게 작동했다. 유학의 증가는 이러한 현상의 단면을 보여 준다.12. 보기를 읽고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 <속대전>의 규정을 적용받아 속량된 사람들은 납세의 의무를 지게 되었다.② <경국대전> 반포 이후 갑오개혁까지 조선의 법적 신분제에는 두 개의 신분이 존재했다.③ 조선 후기 양반 중에는 노비를 양인 신분으로 풀어 주고 금전적 이익을 얻은 이들이 있었다.④ 조선 후기 ‘유학&rs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功虧一簣(공휴일궤)
▶ 한자풀이功: 공 공虧: 이지러질 휴一: 한 일簣: 삼태기 궤쌓는 공이 한 삼태기로 이지러지다거의 성취한 일을 중지해 모든 게 헛됨- <서경(書經)>세상사 시작만큼이나 끝이 중요하다. 곧은 뜻도 끝에서 휘고, 태산만 한 꿈도 끝에서 밤톨만 해지는 일이 허다하다. 십 리 길도 한 걸음이 모자라면 닿지 못하고, 아홉 길 산도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면 완성되지 못한다. 마지막 1% 부족으로 99%가 무용지물이 되는 사례도 수두룩하다.‘아홉 길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九功虧一).’<서경(書經)> 여포 편에 나오는 말로, 공휴일궤(功虧一)는 쌓는 공이 흙 한 삼태기 부족으로 이지러진다는 뜻이다. 거의 성취한 일을 중지해 기존의 공이 허사가 됨을 이르는 말이다.주(周)나라 무왕이 은(殷)나라 주왕을 무찌르고 새 왕조를 열자, 여(旅)라는 오랑캐 나라에서 ‘오(獒)’라는 진기한 개를 선물로 보냈다. 오는 키가 넉 자나 되는 큰 개로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들어 무왕이 소중히 여기자 동생인 소공 석(奭)이 왕이 혹여 개에 마음이 끌려 정치를 등한시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이를 일깨워 말했다.“임금 된 사람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잠시라도 게으름을 피우면 안 된다.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방심하면 마침내 큰 덕을 해치게 된다. 예를 들어 흙을 가져다가 산을 만드는데, 이제 조금만 더 쌓으면 아홉 길 높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이제는 다 되었다 하고 한 삼태기의 흙을 쌓는 데 게을리하게 되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모두 허사가 된다.”‘아홉 길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는 공휴일궤는 여기에서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대안제시 유형은 문제의 원인과 해법 제시해야
문제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해법을 제시하는 대안제시형에서는 우선 ‘문제’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모든 사회적 문제는 원인을 갖고 있습니다. 즉 문제는 어떠한 원인의 결과적 현상이며, 이러한 현상이 초래할 위험성으로 인해 더욱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상황 1: 어떤 버스가 과속을 하며 도로를 질주하고 있다.이 상황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이 상황으로 인해 버스 안에 타고 있는 승객뿐 아니라 버스 주변에 있는 차량이나 사람들에게 생명과 재산의 위협을 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위험성을 함축하고 있지 않다면, 가령 이 버스가 속도 테스트를 하는 텅 빈 도로에서 과속을 하고 있는 것이라면 문제 되지 않을 것입니다. 다른 상황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상황 2: 아래 그래프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접했을 때 여러분은 두 가지의 단계적 사고를 하게 됩니다.1) 이 현상의 핵심은 무엇인가?2) 이 현상이 왜 문제가 될까?이 현상의 핵심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언어나 문화, 경제적 차이로 정상적인 친구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왜 문제가 될까요? 이는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이 사회에 동화되고 통합된 사회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을 방치한다면 사회는 분열될 수 있고, 서로를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하거나 효율적으로 사회를 이끌어나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이 논리적으로 생각해봅시다.1) 이 현상의 원인은 무엇일까?2) 원인을 소거하기 위한 대안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脚踏實地 (각답실지)
▶한자풀이脚: 다리 각 踏: 밟을 답 實: 열매 실 地: 땅 지발이 실제로 땅에 붙었다는 뜻으로일 처리 솜씨가 착실함을 이르는 말- 송사(宋史)북송(北宋)의 정치가이자 사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자치통감(資治通鑑)>은 편년체(編年體) 역사서다. 편년체는 역사 기록을 연·월·일 순으로 정리한 것으로, <자치통감>은 주(周)나라 위열왕이 진(晉)나라 3경(卿: 韓·魏·趙씨)을 제후로 인정한 BC 403년부터 5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인 960년에 이르기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1년씩 묶어서 편찬한 것이다. 주기(周紀) 5권 등 모두 16기(紀) 24권으로 구성되었다.자치통감은 치도(治道)에 자료가 되고 역대를 통해 거울이 된다는 뜻으로, 곧 역대 사실(史實)을 밝혀 정치의 규범으로 삼으며, 또한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히려 한 데 그 뜻이 있었다. 사마광은 <계고록(稽古錄)> 20권을 지어 이 책 내용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도 했다.1065년부터 1084년까지 밤낮으로 연구와 집필에 몰두한 사마광은 세밀하게 자료들을 수집·정리해 이 책을 편찬했고, 이런 공로를 인정한 북송의 6대 황제 신종이 책 이름을 지어주었다. 송나라 학자 소옹은 사마광에 대해 “실제의 사실을 확인하려고 발로 뛰어다니면서 답사한 사람(君實脚踏實地人也)”이라며 그의 성실성을 칭찬했다.각답실지(脚踏實地)는 발이 실제로 땅에 붙었다는 의미로, 일을 할 때 사실과 원리에 따라 과장하지 않고 진지하고 성실하게 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이다. 성실한 태도와 바른 품행으로 착실하게 일을 처리하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후대에 오래 전해오는 책들은 책상에 앉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영수회담의 '영수'는 '옷깃과 소매'에서 유래
최근 ‘영수회담’이 불거져 나와 정쟁의 빌미가 됐다. 영수회담은 아주 가끔 언론을 통해 등장하는데,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에는 없고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다. 일상의 언어가 아니기에 더 낯설다. 이 말이 정쟁을 부르는 까닭은 그 쓰임새에 대한 관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영수는 정당이나 큰 집단의 ‘우두머리’영수회담의 ‘영수(領袖)’는 ‘무리 가운데 우두머리’를 이른다. 사전에 따라 풀이가 미세하게 다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여러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라고 쓰고, <연세 한국어사전>은 “정당이나 큰 집단의 우두머리”라고 썼다. 연세사전 풀이가 좀 더 피부에 와 닿는다. 한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선 영수회담을 “한 나라에서 여당과 야당 총재들의 회담”으로 설명했다. 이런 풀이는 최근 정치권에서 회자된 영수회담이란 어떤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영수(領袖)는 어떻게 우두머리란 뜻을 갖게 됐을까? 말의 생성 과정을 알고 나면 우리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자긍심도 한층 더 높아진다. 요즘 ‘요령(要領)’이라고 하면 적당히 잔꾀를 부리는 짓으로 통한다. 그것은 반은 맞는 얘기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뜻이 있다. ‘가장 긴요하고 으뜸이 되는 골자나 줄거리’가 요령의 본래 의미다. 要(요)는 애초에 허리, 즉 여성이 잘록한 허리에 두 손을 댄 모습을 그린 글자다. 이후 허리가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라는 의미가 더해지면서 ‘중요하다’란 뜻을 갖게 됐다. ‘령(領)’ 역시 주로 ‘거느리다, 다스리다’란 뜻으로 쓰이지만 본래는 &lsqu
-
영어 이야기
'hear somebody out'에서 out은 끝까지 들어준다는 의미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said in a statement on Friday that it has concluded Apple and Google have breached the country’s telecommunications act by forcing app developers to use their payment systems at App Store and Google Play Store and unfairly delaying app reviews in an apparent abuse of their market dominance.Upon its finding, the Korean communications regulator on the same day notified Google and Apple of corrective action and warned of their combined fine of up to 68 billion won -47.5 billion won for Google and 20.5 billion won for Apple, which will be finalized after KCC hears out the companies’ response to its decision and other review processes, it said. The decision comes more than a year after the Korean telecommunications watchdog began its investigation into Apple and Google’s possible violation of the country’s telecommunications act in August last year.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금요일 성명을 통해 애플과 구글이 앱 개발자들에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자사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강요하고 앱 심사(앱스토어에 신규 앱을 등록시키는 심사)를 부당하게 지연시키는 등 통신법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이는 명백한 시장 지배력의 남용이라고 결론지었다.방통위는 이날 구글과 애플에 시정조치를 통보하고 구글 475억 원, 애플 205억 원 등 총 최대 68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두 회사의 의견 청취와 다른 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 과징금을 확정할 예정이다.이번 결정은 지난해 8월 방통위가 애플과 구글의 국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의혹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 지 1년여 만에 나온 것이다.해설스마트폰에 뉴스, 게임, 쇼핑 등의 앱을 설치하려면 애플 앱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관련 앱을 내려받아야 합니다. 사용료를 내는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변수간의 관계, 그래프로 보면 이해 쉬워
수정 진동자로 질량을 측정하는 원리를 응용하면 특정 기체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정 진동자를 특정 기체가 붙도록 처리하면, 여기에 특정 기체가 달라붙으며 질량 변화가 생겨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는 감소한다. 일정 시점이 되면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가 더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이렇게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이유는 특정 기체가 일정량 이상 달라붙지 않기 때문이다.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더 작은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정 기체가 얼마나 빨리 수정 진동자에 붙어서 주파수가 일정한 값이 되는가의 척도를 반응 시간이라 하는데, 반응 시간이 짧을수록 특정 기체의 농도를 더 빨리 잴 수 있다.그런데 측정 대상이 아닌 기체가 함께 붙으면 측정하려는 대상 기체의 정확한 농도 측정이 어렵다. 또한 대상 기체만 붙더라도 그 기체의 농도를 알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대상 기체의 농도에 따라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 변화를 미리 측정해놓아야 한다. 그 후 대상 기체의 농도를 모르는 혼합 기체에서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면 대상 기체의 농도를 알 수 있다.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 변화 정도를 농도로 나누면 농도에 대한 민감도를 구할 수 있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지문 키워드] 특정 기체가 달라붙으며 질량 변화가 생겨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는 감소… 일정 시점이 되면 … 더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 철수 쌤은 변화 양상을 함수로 이해하며 글을 읽는 버릇이 있다고 했다. 지문에서 ‘특정 기체’의 ‘질량 변화’와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설명하고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현상을 아우르는 개념'을 기억해 두자
압전 효과에는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면 재료에 전압이 발생하는 1차 압전 효과와, 재료에 전압을 걸면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2차 압전 효과가 있다. 두 압전 효과가 모두 생기는 재료를 압전체라 하며, 수정이 주로 쓰인다.압전체로 사용하는 수정은 특정 방향으로 절단 및 가공해 납작한 원판 모양으로 만든다. 이후 원판의 양면에 전극을 만든 후 (+)와 (-) 극이 교대로 바뀌는 전압을 가하면 수정이 진동한다. 이때 전압의 주파수*를 수정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시켜 수정이 큰 폭으로 진동하도록 하여 진동을 측정하기 쉽게 만든 것이 수정 진동자다. 고유 주파수란 어떤 물체가 갖는 고유한 진동 주파수인데, 같은 재료의 압전체라도 압전체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수정 진동자에 어떤 물질이 달라붙어 질량이 증가하면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하던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가 감소한다.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는 매우 작은 질량 변화에 민감하게 변하므로 기체 분자나 DNA와 같은 미세한 물질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진동자에서 질량 민감도는 주파수의 변화 정도를 측정된 질량으로 나눈 값인데, 수정 진동자의 질량 민감도는 매우 크다.*주파수: 진동이 1초 동안 반복하는 횟수 또는 전압의 (+)와 (-) 극이 1초 동안, 서로 바뀌고 다시 원래대로 되는 횟수.-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지문키워드] 기계적 변형이 생기면 재료에 전압이 발생하는… 재료에 전압을 걸면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두 압전 효과가 모두 생기는철수 쌤은 현상을 아우르는 일반적인 개념을 기억해두었다가 해당 내용을 접하면 이용하는 버릇이 있다. 일방향(一方向), 역방향(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