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부에 습관적으로 쓰인 ‘상황이다, 사실이다’는 군더더기일 뿐만 아니라 종종 잘못 쓰이기도 한다. ‘상황’은 어떤 일이 되어가는 과정이나 모습, 형편을 뜻한다. ‘사실’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있는 일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주목해야 할 곳은 서술 부분이다. 글쓰기 관점에서 무엇이 눈에 거슬릴까? 기사 문장은 ‘저널리즘 언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저널리즘 언어는 메시지를 간결하고 힘 있게, 세련되게 드러내는 것이 본령이다. 그렇다면 ‘~사실이다’ ‘~상황이다’는 군더더기에 불과하다. 문장에서 따로 의미를 더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예문을 들여다보면 중국이 그동안 이러저러한 역할을 해왔고, 여러 수단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사실’을 제시하는 맥락이고 의미 전달은 그것으로써 충분하다. 거기에 다시 ‘사실이다’를 덧붙일 이유도 없고, ‘상황이다’를 부연할 필요도 없다. 그로 인해 글이 더 늘어질 뿐이다. “중국은 …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중국은 … 맞대응하고 있다.” 이렇게 쓰면 간결하고 깔끔하다.
서술부에 습관적으로 쓰인 ‘상황이다, 사실이다’는 군더더기일 뿐 아니라 종종 잘못 쓰이기도 한다. ‘상황’은 어떤 일이 되어가는 과정이나 모습, 형편을 뜻한다. ‘사실’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 있는 일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이 둘은 당연히 서로 다른 말이다. ‘상황’은 추정하고 판단하고 평가해서 하는 것이다. 주로 추상적인 데에 쓰인다. 이에 비해 ‘사실’은 인식하고 드러나는, 실제로 있는 구체적인 것이다. 두 말의 쓰임새가 확실히 다르다. 그런데 ‘사실’을 말하면서 서술부에선 ‘~상황이다’라고 하는가 하면, ‘상황’을 말하면서 ‘~사실이다’라고 한다. 잘못된 글쓰기 습관에 따라 무심코 붙이는 군더더기일 뿐이다.세련된 표현 위해 군더더기 버려야특히 부사로 쓰는 ‘사실’은 뉴스 언어에서는 기피하는 말이라 주의해야 한다. 간혹 문장 안에서 강세를 주기 위해 쓸 때도 있지만 의미상으론 대부분 군더더기다. “△최근의 많은 하청 근로자 사망 사고는 사실 법 규정이 없어서 발생한 것은 아니다. △대학은 사실 교육부의 취지를 따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사실 퀄컴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스냅드래곤 칩을 거의 삼성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해온 중요 고객 중 하나다.” 이런 문장에 사용한 ‘사실’은 모두 군더더기다. 그저 습관적으로 붙인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상투어에 불과하다. 글을 늘어지게 할 뿐, 빼고 보면 훨씬 간결해진다.
글쓰기 요령이야 수없이 많지만, ‘힘 있고 세련된 문장’을 쓰는 게 저널리즘 언어의 과제다. ‘힘 있다’는 것은 굳세고, 야무지고, 단단한 것이다. 그러려면 글에 군살이나 군더더기가 없어야 한다. 세련미는 어색한 것 없이 품위 있고 깔끔하게 잘 다듬어진 데서 느끼는 맛이다. 깔끔하게 다듬어졌다는 것은 매끈하고, 야무지고, 산뜻하다는 뜻이다. 글을 ‘세련되게’ 쓰기 위해서도 군더더기는 없어야 한다. 군더더기는 뭔가 의미 표현이 충분치 않은 것 같아 한 번 더 말하는, 덧칠하는 것이다. 그래서 글을 늘어지게 하고 표현을 어색하게 만든다. 당연히 깔끔하지도 않다. 세련되지 못한 글에는 군더더기가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