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랑'과 '고랑'의 차이
이랑 은 두둑과 같은 말이다. 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두두룩하게 흙을 쌓은 곳이다. 고랑 은 두둑한 땅과 땅 사이의 길고 좁게 들어간 곳을 이른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올라가자 덩달아 모내기 철도 빨라졌다. 농촌진흥청에서 나서서 지나치게 이른 모심기는 수확량 감소로 이어진다고 걱정할 정도다. 원래 우리 선조들은 이맘때 까끄라기 곡식, 즉 익은 보리를 베고 벼농사를 짓기 위해 모를 심었다. 그래서 절기상 망종(芒種·6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용의 눈동자를 마지막에 그린다 -수형기-
▶ 한자풀이 畵 그림 화 龍 용 룡 點 점찍을 점 睛 눈동자 정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에 장승요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우군장군과 오흥 태수를 지냈지만 화가로 더 유명했다. 붓만 들면 세상 모든 것을 마치 사진처럼 그렸다. 벼슬을 마친 뒤엔 그림을 그리며 지냈다. 어느 날 안락사 주지가 그에게 절 벽면에 용을 그려달라고 부탁했다. 장승요는 붓을 들어 구름 속에서 곧 날아오를 듯한 용 두 마리를 그렸다. 꿈틀대는 몸통, 갑옷 같은 비늘...
-
학습 길잡이 기타
나무(tree)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The apple doesn't fall far from the tree 라는 영어 속담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사과는 나무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는다'라는 뜻인데, '부전자전' 즉 '아이는 부모를 닮는다'는 뜻입니다. We are a family We are a family like a giant tree branching out toward the sky 우리는 가족이야 마치 하늘을...
-
학습 길잡이 기타
고3은 논술과 면접, 고 1~2는 글쓰기 실력이 과제
고교 수업에서 토론과 글쓰기 과정이 연계되고 성신여대와 한국기술교육대가 논술전형을 새로 도입하면서 한경 생글생글 논술·구술 모의고사가 고교생과 학부모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다. 2019학년 논술과 면접전형을 준비 중인 고교 3학년생뿐 아니라 글쓰기 역량을 미리 키우려는 1~2학년생의 문의도 많다. 생글 논술·구술 모의고사는 고교 1학년생의 경우 요약, 비교분석, 비판, 자료 해석 등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를 중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에게 어색한 북한의 여러 표현들 (3)
'-ㄹ데 대한/대하여' 는 북한의 글말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다. 가령 '핵보유국의 지위를 공고히 할데 대하여' '기록영화를 잘 만들데 대하여' '사회주의적 문학예술을 발전시킬데 대한~' 식이다. ‘남과 북은 그 어떤 형태의 무력도 서로 사용하지 않을 데 대한 불가침 합의를 재확인하고….’ 지난 4월27일 오후 ‘판문점 선언’ 전...
-
학습 길잡이 기타
'믿음'에 관한 영어 표현들
'믿다'라는 뜻을 가진 일반적인 단어는 아마 believe 일 것입니다. 그래서 The police didn"t believe me 는 '경찰은 나의 말을 믿지 않았다.'라는 뜻이다. I believe I can Fly I used to think that I could not go on 한때 생각했습니다. 견뎌낼 수 없을 거라고. And life was nothing but an awful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매우 공평해 사사로움이 없어 공적인 일에 개인 감정을 개입 안 함 - 십팔사략 -
▶ 한자풀이 大 큰 대 公 공변될 공 無 없을 무 私 사사로울 사 기해(祁奚)는 춘추시대 진나라 사람으로 자는 황양(黃羊)이다. 대부를 지낸 그는 공평무사하게 인재를 천거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진평공이 황양에게 물었다. “남양에 현령 자리가 비어있는데 누구를 보내는 게 좋겠는가?” 황양이 주저 없이 답했다. “해호를 보내면 훌륭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평공이 의아한 표정을 지었다. &l...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동적 조치'는 북한 특유의 표현이죠
북에서는 의외로 ' -적 '을 많이 쓴다. 우리 눈으로 보면 어색한 게 꽤 있다. 가령 ' (이웃과) 친선적으로 지내다 ' 같은 표현이 그런 것이다. 우리는 그냥 ' 친하게(사이좋게) 지내다 '라고 한다 . 해방 이후 남북한에서 지속적으로 우리말 순화운동을 해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등 상당한 성과도 올렸다. 북에서는 남에서보다 더 강도 높게 순화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