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11. 단락의 전개방식 - 열거

    지난 10호까지의 글을 통해 조감하는 법,빨리 훑어읽는 법,신호어(singal words)에 주목하여 읽는 법,배경 지식을 활용하는 법에 대해 공부했다. 이 과정을 통해 긴 글의 대의를 빨리 파악하는 방법을 터득했을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앞에서 배웠던 것을 복습하면서 단락의 전개 방식 중 '열거'에 대한 것을 공부해보자. 주어진 글에 대한 지시문을 읽고,아래 지시 사항에 따라 이번 회의 글을 분석해 보라. 1.첫 단락의 첫 문장에 형광...

  • 학습 길잡이 기타

    수입품에 관세 매겼는데 가격이 내려?

    정부가 관세를 부과하는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세수(稅收)를 늘리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국내 산업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관세를 부과했을 때 경제적 효과는 어떻게 나타날까. 어떤 상품,예를 들어 X를 수출하고 Y를 수입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Y를 수입한다는 것은 이 상품의 국내 가격이 국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Y의 국내 가격보다 국제 시세가 더 싸다면 누군가가 이 상품을 수입해서 국...

  • 학습 길잡이 기타

    표준어와 KS

    "앞으로 비타민이나 비닐은 바이타민,바이닐로 써주시기 바랍니다. 또 집에서 쓰는 부탄이나 프로판가스 같은 말은 뷰테인,프로페인가스로 바뀌게 됩니다. 교과서도 내년부터 바꿔나갈 예정입니다." 어느 국어단체에서 하는 말이 아니다. 문화관광부 등 정부 어문 관련 부처 쪽 얘기도 아니다. 출처는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기술표준원은 우리가 잘 아는 KS(Korean Standard),즉 국가 산업규격을 관장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곳에서 왜 우리...

  • 학습 길잡이 기타

    10.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법(6)

    언어능력은 얼마나 많은 텍스트(text)에 노출되는가에 따라 그 실력이 정해진다. 현대에서 인터넷만큼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곳을 찾기 힘들다. 2002년 월드컵 때 보여준 전국적인 열기에서 확인됐듯이 현대인들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대단하다. 박찬호 최희섭 박세리 박지성 등 해외진출 선수들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스포츠에 대한 정보도 얻고 동시에 영어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사이트들은 헤아릴 수 없...

  • 학습 길잡이 기타

    경기부양 했더니 형편이 더 어려워져?

    우리는 지난 몇 차례의 설명을 통해 '국제관계를 고려하면 어떤 경제적 변화가 반드시 이론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아왔다. 근린궁핍화 역시 오늘날 한 국가의 경제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무시하고 운영될 수 없다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지역통합,환율변동,무역전쟁과 같은 말들은 더 이상 경제학 교과서의 한 구석에 가려 있는 용어가 아니다. 컴퓨터의 발달에 의한 세계적 통신망의 구축은 국가 간의 경제적 작용과 반작용...

  • 학습 길잡이 기타

    '사이시옷'의 비밀

    '기발,바줄,해발,내가,코등,해볕,내물,홰불,회수.' 북한의 인민학교(초등학교)와 고등중학교(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뽑은 단어들이다. 이것들을 우리식으로 적으면 각각 '깃발,밧줄,햇발,냇가,콧등,햇볕,냇물,횃불,횟수'가 된다. 우리가 '만둣국/만두국''최댓값/최대값' 따위의 말을 두고 규범 표기와 시각적 어색함 사이에서 고민하는 동안 북한에서는 아예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1966년 남한의 격인 을 제정...

  • 학습 길잡이 기타

    9.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법(5)

    이번에는 최근 발생한 런던 테러에 대한 기사를 다루고자 한다. '제2의 9·11참사'라 불리는 '7월7일 런던 테러'는 2012년 올림픽 유치 성공과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G8(서방선진 7개국 및 러시아)정상회담이라는 행사가 맞물려 있는 와중에 터졌다. 테러의 진정한 의도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번 기사는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지의 영문 사이트(www.guardian.co.uk)에 게재된 것이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생산자가 하나인데 독점 아니라고?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만나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균형이 성립된다. 이 짧은 표현 안에 경제학의 기본원리가 모두 포함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요는 소비자들이 어떻게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가를 분석하는 소비자이론에서 나온다. 공급은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의사결정에 따라 합리적으로 시장에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할 것인가를 분석하는 생산자 이론에서 나온다. 이들 두 민간 경제주체(소비자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