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칠맞다’는 ‘칠칠맞지 못하다’와 의미가 반대이므로 반드시 구별해서 써야 한다. ‘칠칠맞지 못하다/칠칠치 못하다’를 쓸 자리에 이를 쓰면 의미상 틀린 말이다.
지난 몇 회에 걸쳐 부정어와 어울려 쓰이는 말과 함께 우리말의 의미변화 사례들에 관해 살펴봤다. 그중에서도 부정어가 생략되는 현상은 특이한 용법이라 할 만하다. ‘주책없다/주책이다’ ‘엉터리없다/엉터리다’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이다’ ‘우연하다/우연찮다’ 같은 게 그런 범주에 드는 말들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다음 같은 표현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주로 ‘칠칠맞지 못하다’로 쓰여
“에이, 칠칠맞은 사람 같으니….” “너 왜 그리 칠칠맞냐?” “그는 행실이 좀 칠칠맞아.” 이게 무슨 말일까? 문맥으로 봐서는 누군가를 탓하는 상황인 것 같다. 그런데 상대방이 만약 ‘칠칠맞다’를 제대로 알고 있다면 매우 흡족해할 만한 말이다.
‘칠칠맞다’를 이해하려면 우선 ‘칠칠하다’를 알아야 한다. ‘칠칠하다’는 ‘주접이 들지 않고 깨끗하고 단정하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다’란 뜻이다. 애초 나무나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검고 칠칠한 머리’ 같은 표현에 이 ‘칠칠하다’의 본래 뜻이 남아 있다. 물론 지금도 그리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이 의미가 확대돼 ‘단정하고 야무지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는 주로 ‘못하다, 않다’ 따위의 부정어와 함께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단정치 못하고 주접스럽다’는 뜻을 나타낼 때 ‘칠칠하지 못하다’느니, ‘칠칠치 않다’느니 하는 식으로 쓴다. 요즘은 ‘칠칠하다’를 주로 이런 용법으로 많이 쓴다.
이것을 좀 더 일상적으로 표현하면 ‘칠칠맞지 못하다’ ‘칠칠맞지 않다’이다. 이때의 ‘칠칠맞다’는 ‘칠칠하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단정하고 야무지다는 뜻이다. 그러니 앞에서 예로 든 것처럼 누군가를 가리켜 “칠칠맞은 사람”이라고 하면 그를 매우 칭찬하는 말이다. 다만 이 말은 주로 부정어와 어울려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알아둬야 한다. “젊은 처녀가 하고 다니는 꼴이 도대체 그게 뭐니? 칠칠맞지 못하게.”처럼 쓴다.
부정적 의미로 ‘칠칠맞다’는 틀린 말
문제는 이렇게 써야 할 말을 사람들이 부정어를 생략한 채 “너는 행실이 칠칠맞게 왜 그러느냐” 식으로 잘못 쓰기 십상이란 점이다. 이처럼 본래 있는 부정어를 생략하고 그냥 ‘-이다’형으로 쓰기 십상인 말들이 꽤 있다. 그동안 살펴본 것처럼 ‘그 사람 주책없어 → 그 사람 주책이야’ ‘엉터리없다 → 엉터리다’ ‘안절부절못하다 → 안절부절이다’ 식으로 변한 게 그런 사례다. 이들은 모두 의미변화로 어법적으로도 허용되는 말이다. 반면에 ‘안절부절못하다’를 ‘안절부절하다’로 쓰는 것은 어법상 허용되지 않는다. 틀린 말이라는 뜻이다. 원래 부정어와 함께 쓰는 말인데 형태 변형 중인 말로서, 넓게 보면 의미가 이동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칠칠맞다’는 ‘칠칠맞지 못하다’와 의미가 반대이므로 반드시 구별해서 써야 한다. ‘칠칠맞지 못하다/칠칠치 못하다’를 쓸 자리에 이를 쓰면 의미상 틀린 말이다. 따라서 누군가를 탓하고자 할 때는 “에이, 칠칠맞게끔…”이라 하지 말고 “에이, 칠칠맞지 못하게끔…”이라고 해야 한다. 참고로 이때 쓰인 ‘-게끔’은 연결어미로, 같은 어미 ‘-게’를 강조해 쓰는 말이다. 이를 간혹 “칠칠맞지 못하게시리(또는 못하게스리)”로 말하기도 하는데, 현행 규범에서 ‘-게시리(-게스리)’는 비표준어라는 것도 알아둘 만하다.
지난 몇 회에 걸쳐 부정어와 어울려 쓰이는 말과 함께 우리말의 의미변화 사례들에 관해 살펴봤다. 그중에서도 부정어가 생략되는 현상은 특이한 용법이라 할 만하다. ‘주책없다/주책이다’ ‘엉터리없다/엉터리다’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이다’ ‘우연하다/우연찮다’ 같은 게 그런 범주에 드는 말들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다음 같은 표현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주로 ‘칠칠맞지 못하다’로 쓰여
“에이, 칠칠맞은 사람 같으니….” “너 왜 그리 칠칠맞냐?” “그는 행실이 좀 칠칠맞아.” 이게 무슨 말일까? 문맥으로 봐서는 누군가를 탓하는 상황인 것 같다. 그런데 상대방이 만약 ‘칠칠맞다’를 제대로 알고 있다면 매우 흡족해할 만한 말이다.
‘칠칠맞다’를 이해하려면 우선 ‘칠칠하다’를 알아야 한다. ‘칠칠하다’는 ‘주접이 들지 않고 깨끗하고 단정하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다’란 뜻이다. 애초 나무나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검고 칠칠한 머리’ 같은 표현에 이 ‘칠칠하다’의 본래 뜻이 남아 있다. 물론 지금도 그리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이 의미가 확대돼 ‘단정하고 야무지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는 주로 ‘못하다, 않다’ 따위의 부정어와 함께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단정치 못하고 주접스럽다’는 뜻을 나타낼 때 ‘칠칠하지 못하다’느니, ‘칠칠치 않다’느니 하는 식으로 쓴다. 요즘은 ‘칠칠하다’를 주로 이런 용법으로 많이 쓴다.
이것을 좀 더 일상적으로 표현하면 ‘칠칠맞지 못하다’ ‘칠칠맞지 않다’이다. 이때의 ‘칠칠맞다’는 ‘칠칠하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단정하고 야무지다는 뜻이다. 그러니 앞에서 예로 든 것처럼 누군가를 가리켜 “칠칠맞은 사람”이라고 하면 그를 매우 칭찬하는 말이다. 다만 이 말은 주로 부정어와 어울려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알아둬야 한다. “젊은 처녀가 하고 다니는 꼴이 도대체 그게 뭐니? 칠칠맞지 못하게.”처럼 쓴다.
부정적 의미로 ‘칠칠맞다’는 틀린 말
문제는 이렇게 써야 할 말을 사람들이 부정어를 생략한 채 “너는 행실이 칠칠맞게 왜 그러느냐” 식으로 잘못 쓰기 십상이란 점이다. 이처럼 본래 있는 부정어를 생략하고 그냥 ‘-이다’형으로 쓰기 십상인 말들이 꽤 있다. 그동안 살펴본 것처럼 ‘그 사람 주책없어 → 그 사람 주책이야’ ‘엉터리없다 → 엉터리다’ ‘안절부절못하다 → 안절부절이다’ 식으로 변한 게 그런 사례다. 이들은 모두 의미변화로 어법적으로도 허용되는 말이다. 반면에 ‘안절부절못하다’를 ‘안절부절하다’로 쓰는 것은 어법상 허용되지 않는다. 틀린 말이라는 뜻이다. 원래 부정어와 함께 쓰는 말인데 형태 변형 중인 말로서, 넓게 보면 의미가 이동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칠칠맞다’는 ‘칠칠맞지 못하다’와 의미가 반대이므로 반드시 구별해서 써야 한다. ‘칠칠맞지 못하다/칠칠치 못하다’를 쓸 자리에 이를 쓰면 의미상 틀린 말이다. 따라서 누군가를 탓하고자 할 때는 “에이, 칠칠맞게끔…”이라 하지 말고 “에이, 칠칠맞지 못하게끔…”이라고 해야 한다. 참고로 이때 쓰인 ‘-게끔’은 연결어미로, 같은 어미 ‘-게’를 강조해 쓰는 말이다. 이를 간혹 “칠칠맞지 못하게시리(또는 못하게스리)”로 말하기도 하는데, 현행 규범에서 ‘-게시리(-게스리)’는 비표준어라는 것도 알아둘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