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열망' '갈망'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I know together we can make a pretty world For me and for you For you That’s what I’m longing to do To do To make a world with you 난 당신과 나만을 위해 함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알아요. 당신을 위해서… 내가 가장 바라던 일이고 그렇게 하기 위해 당신과 작은 세상을 만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문일지십 (聞 一 知 十)

    ▶ 한자풀이 聞:들을 문 一:한 일 知:알 지 十:열 십 세계 4대 성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자는 인(仁)을 강조한 유가(儒家)의 창시자다. 그의 유가적 사상은 동양적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 주역 시(詩) 등에도 두루 조예가 깊었다. 제자만도 3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자들의 재주도 각자 달랐다. 누구는 학문에 뛰어나고, 누구는 장사에 밝았다. 자공(子貢)은 재산을 모으는 데 남다른 재주가 있어 공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세금을 거두다/걷다'는 둘 다 쓸 수 있어요

    계절은 어느새 가을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추수를 앞두고 들녘은 ‘가을걷이’ 준비가 한창이다. 이때의 ‘걷이’는 ‘걷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파생명사다. 또 ‘걷다’는 본말 ‘거두다’가 줄어든 말이다. ‘열매를 걷다’ ‘곡식을 걷다’ ‘추수를 걷다’ 등에 쓰인 ‘걷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영화 <알라딘> 주제가 읽기

    I can show you the world 난 당신에게 보여줄 수 있어요. Shining, shimmering, splendid 반짝이고, 빛나며, 눈부신 세상을요. Tell me, princess, now when did You last let your heart decide? 말해줘요. 공주님, 마음 가는대로 했던 적이 언제가 마지막이었나요? I can open your eyes 진짜 새로운 세상을 보여줄게요. Take yo...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조삼모사 (朝三暮四)

    ▶ 한자풀이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녁 모 四:넉 사 중국 전국시대 송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원숭이를 너무 좋아해 집에서 수십 마리를 기르고 있었다. 그는 가족의 양식까지 퍼다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아꼈다. 원숭이들 역시 저공을 따랐고 사람과 원숭이 사이에는 의사소통까지 가능해졌다. 가정 형편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 이처럼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는 게 여간 부담이 아니었다. 고민 끝에 저공은 원숭...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바뀌었다'를 '바꼈다'로 줄여 쓰는 건 잘못

    “전화번호가 OOO-××××로 바꼈어요.” “그는 그녀와 중학교 때부터 사겼다고 한다.” “그 여자는 내 말에 콧방귀만 꼈다.” 이런 말에는 공통적인 오류가 들어 있다. ‘바꼈어요, 사겼다고, 꼈다’가 그것이다. 각각 ‘바뀌었어요, 사귀었다고, 뀌었다’를 잘못 썼다. 한글 모음자에 ‘...

  • 학습 길잡이 기타

    '걷다'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뉴베리상’(해마다 미국 아동문학 발전에 가장 크게 이바지한 작가에게 주는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라는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멋진 표현이 나옵니다. Don’t judge a man until you have walked two moons in his mocassins.(그의 모카신을 신고 두 개의 달을 걸을 때까지 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 옛 인디언들의 속담에서 나온 멋진 표현인데, 여기서 ‘모...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청출어람 (靑 出 於 藍)

    ▶ 한자풀이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순자(荀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했다. 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순수함에서 멀어지니 예(禮)로 선함을 바로세워야 한다는 게 핵심이다. 인간이 선(善)의 씨앗을 품고 태어났다는 맹자의 ‘사단지심(四端之心)’과 대비되는 주장이다. 순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