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영화 Interstellar는 '행성 간의'라는 뜻이죠
When you wish upon a star Makes no difference who you are Anything your heart desires Will come to you If your heart is in your dream No request is too extreme When you wish upon a star As dreamers do Fate is kind She brings to those to love...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董狐之筆(동호지필)
▶ 한자풀이 董:감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 筆:붓 필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역사 기록을 그대로 써서 후대에 남긴다는 뜻-<춘추좌씨전> 춘추시대 진나라 임금 영공(靈公)은 포악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정경대신 조순은 임금의 그런 행태를 몹시 우려했다. 그래서 기회 있을 때마다 충정으로 직언하고 바른 정사를 펴도록 호소했는데, 그것이 도리어 왕의 미움을 사는 빌미가 되었다. 영공은 자객을 보내...
-
학습 길잡이 기타
High에는 '강한, 극심한'이란 뜻도 있어요
I know I’ll never meet your expectations 네 기대에 영원히 못 미칠 거라는 걸, 나도 잘 알아. But the picture that you paint of me looks better in your mind 네 마음 속 내 모습은 아마 지금의 나보단 나을 거야. Now every step I take with hesitation 이제 난 발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망설이게 되고 And I&rs...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공중누각(空中樓閣)
▶ 한자풀이 空:빌 공 中:가운데 중 樓:다락 누(루) 閣:집 각 공중에 세워진 누각이란 뜻으로 근거가 없는 가공의 사물을 이름-<몽계필담> 송나라 학자 심괄이 쓴 <몽계필담>에는 공중누각(空中樓閣)의 어원이 되는 대화가 나온다. 대화의 배경은 등주라는 고장으로, 사방으로 바다가 보이는 아름다운 지방이다. 경관이 뛰어나 사람들이 즐겨 찾았다.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눈다. “여보시게, 저기 내 손가락 끝...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회적 거리두기'에 담긴 우리말 속살
코로나19는 우리말에도 이미 많은 영향을 끼쳤다. 많은 외래어가 새로 유입됐고, 낯선 개념과 그에 따른 용어들도 어느새 우리 곁에서 흔히 쓰이는 말이 됐다. 그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말과 관련해 평소 간과해온 또는 잊혀가던 문제 몇 가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이 말의 핵심어인 ‘거리’를 제대로 알고 쓰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하는 점에서 그렇다. ‘공간적 간격’과 &lsqu...
-
학습 길잡이 기타
noble gas는 '비활성 기체'라는 뜻입니다
Look at me, look into my eyes 나를 봐요. 내 눈을 들여다봐요. Tell me do you see that I am always by your side? 말해주세요. 내가 항상 당신 옆에 있다는 걸 당신이 아는지? Or has the world got you down on your knees? 아니면 세상이 당신을 무릎 꿇게 했는지? Come to me 내게로 와요. Look at you, look into...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라면'의 변신은 무죄?
“지금껏 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격리하는 방식의 방역 전략을 ‘취했다면’ 이제는 재택근무 등으로 사람 간 거리를 넓혀 코로나19의 확산 속도를 늦춰야 한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2월 말. 감염병 전문가들 사이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방안이 제시됐다. 우리의 관심은 여기에 쓰인 ‘취했다면’에 있다. 이 말이 보는 이에 따라 문장 안에서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吳越同舟(오월동주)
▶ 한자풀이 吳:나라이름 오 越:나라이름 월 同:한가지 동 舟:배 주 오나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다 이해 관계로 적과도 뭉치는 경우를 비유-<손자> 춘추시대 오나라 손무는 <손자>라는 병법서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단순히 병법 이론가가 아니라 오왕 합려 때 서쪽으로는 초나라 도읍을 공략하고, 북방의 제나라와 진나라를 격파한 명장이기도 하다. <손자> 구지편(九地篇)에는 다음과 같은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