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행운'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
But I feel I’m growing older 하지만 난 늙어가는 것을 느껴요. And the songs that I have sung echo in the distance 그리고 내가 불렀던 노래들은 멀리서 메아리칩니다. Like the sound of a windmill goin’ ’round 마치 풍차가 돌아가는 소리처럼 말이죠. I guess I’ll always be a sol...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백미 (白 眉)
▶ 한자풀이 白: 흰 백 眉: 눈썹 미 촉나라 유비가 형주를 다스릴 때였다. 형주에는 자(字)에 모두 상(常)이 들어가는 다섯 형제가 있었다. 형주 사람들은 그들 형제를 ‘마씨오상(馬氏五常)’이라 불렀는데 하나같이 재주가 뛰어났다. 그중에서도 ‘눈썹이 흰(白眉)’ 마량의 재주가 특출났다. 마량은 어려서부터 눈썹에 흰 털이 섞여 있어서 형주 사람들은 그를 흰 눈썹, 즉 백미라고 불렀다. 유비는 그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책'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
우리가 흔히 쓰는 영어 속담 중에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라는 말이 있습니다. ‘겉표지만 보고 책을 판단하지 말라’는 표현으로 겉모습만으로 함부로 판단하지 말라는 참 중요한 교훈을 담은 말입니다. 이처럼 영어에는 book이 들어간 표현들이 참 많은데,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책’이라고만 외웠던 book이라는 단어의 다양한 모습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좋은 하루 되세요"는 문법 어긋나도 흔히 쓰죠~
10여 년 전 제주시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가장 친절한 전화 인사말이 무엇인지 조사한 적이 있다. “좋은 하루 되세요”가 단연 1위로 꼽혔다. 몇 해 전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교 인사말로 “사랑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를 정하기도 했다. 굳이 이런 사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미 이 말을 일상에서 자주 쓴다. 동시에 이 말이 우리 어법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 지도 꽤 오래 됐다. 논란의 핵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수주대토 (守 株 待 兎)
▶ 한자풀이 守: 지킬 수 株: 그루터기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 땀 흘리지 않은 결과물은 초라하다. 세월을 익히지 않은 열매는 조그맣고, 정성을 쏟지 않은 작품은 허접하다. 뿌린 대로 거두고, 심은 대로 거두는 게 이치다. 행운이란 것도 속내를 들여다보면 최선의 부산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춘추전국시대 송(宋)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다. 하루는 밭을 가는데 토끼 한 마리가 달려가다 밭 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머리를 들이받고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선즉제인 (先 則 制 人)
▶ 한자풀이 先: 먼저 선 則: 법칙 칙, 곧 즉 制: 절제할 제 人: 사람 인 중국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에 이어 2대 황제에 즉위한 호해는 무능한 폭군이었다. 곳곳에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나라를 세워 스스로 왕에 오르는 자들도 생겨났다. 어느 날 강동 회계의 태수 은통이 오중(지금의 장쑤성 오현)의 실력자 항량을 불러 거사를 의논했다. 항량은 초나라 명장 항연의 아들로, 고향에서 사람을 죽이고 조카 항우와 함께 오중으로 도망친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따 놓은 당상'이에요
“남의 잔치에 감 놔라 배 놔라 한다”라는 말을 흔히 쓴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서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우리 속담이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이런 경향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우승은 따 논 당상”이라고도 한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음을 나타낼 때 하는 말이다. 두 속담에 쓰인 ‘놔라/논’은 모두 기본형 ‘놓다’에서 온...
-
학습 길잡이 기타
'배(boat)'와 관련된 관용적 표현들
제 이름이 ‘배시원’이라 제 영문 Last Name을 ‘Bae’라고 표기합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미국에서 이 단어가 ‘매우 멋진’ 혹은 ‘사랑스러운 사람’이란 뜻으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이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Before Anyone Else(누구보다 최우선인 사람)’의 약자라는 얘기와 Baby 혹은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