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치하하다'보다 '칭찬하다' '격려하다'가 옳죠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하사품’이란 게 있었다. 명절이나 특별히 기념할 일이 있을 때 관련 단체나 소속원들에게 하사품 또는 하사금이 지급됐다. ‘하사(下賜)’란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주는 것을 말한다. 조개 패(貝: 돈, 재물을 뜻한다)가 들어간 ‘사(賜)’가 주다, 베풀다란 뜻을 담고 있다. 왕조시대의 용어라 지금은 이런 말을 쓸 이유도 없고,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곡학아세(曲學阿世)

    ▶ 한자풀이 曲 굽을 곡 學 배울 학 阿 아첨할 아 世 세상 세 한나라 6대 황제에 즉위한 경제는 어진 선비를 널리 구했다. 산동에 원고생이라는 선비가 있었는데 성품이 강직하고 권력을 탐하지 않았다. 경제가 그를 불러 박사(博士) 벼슬을 주었다. 나이가 90이나 되는 고령인 데다 직언을 잘하는 원고생은 다른 신하들에게 ‘눈엣가시’였다. 신하들이 경제에게 거듭 간했다. “원고생은 자기주장이 너무 강해 폐하...

  • 학습 길잡이 기타

    '경이로움'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Change the World If I can reach the stars, Pull one down for you, Shine it on my heart So you could see the truth: That this love I have inside Is everything it seems. But for now I find It’s only in my dreams. It’s only in my dr...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입장'을 자주 쓰면 글이 모호해져요

    일자리 창출이 우리 경제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고용참사’란 표현까지 나올 정도다. 이와 관련한 언론보도문 가운데 다음 같은 유형의 문장이 꽤 있다. “청와대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큰 틀의 변화는 없지만 상황에 따라 정책수단을 수정할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목해야 할 곳은 서술어로 쓰인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이다. 의미 모호하고 우리말 구조 망가...

  • 학습 길잡이 기타

    빚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I Owe You You believe that I’ve changed your life forever And you’re never gonna find another Somebody like me And you wish you had more than just a lifetime To give back all I’ve given you And that’s what you believe b...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미생지신(尾生之信)

    ▶ 한자풀이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어조사 지 信 믿을 신 춘추시대 노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내가 있었다. 그는 어떤 일이 있어도 약속을 어기지 않았다. 어느 날 미생은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그는 늦지 않게 다리 아래로 나갔으나 웬일인지 여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그 자리에서 기다렸고 갑자기 쏟아진 장대비로 개울물이 불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자리를 옮기지 않고 마냥 여자를 기다리다 교각을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모순(矛盾)

    ▶ 한자풀이 矛 창 모 盾 방패 순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시장에서 방패를 흔들며 외쳤다. “이 방패는 아주 단단해 어떤 창이라도 막아냅니다.” 이번에는 창을 들어올리며 외쳤다. “이 창은 아주 예리해 어떤 방패도 단번에 뚫어버립니다.” 그러자 상인을 지켜보던 한 구경꾼이 물었다. “그럼 그 예리한 창으로 그 단단한 방패를 찌르면 어찌 되는 거요?” 말문이 막...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모던뽀이'에서 'X세대'…진화하는 우리말

    우리 사회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상전벽해와 같은 발전을 이뤄왔다. 말과 글도 이에 못지않은 변화를 겪었다. “근일에 와서는 조선에서도 ‘모던껄’이니 ‘모던뽀이’니 하는 말이 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진정한 의미의 ‘모던’은 아즉 업다고 생각한다.” 동아일보는 1929년 5월 25일자에서 당시 새로 등장한 모던걸, 모던보이의 행태를 이렇게 전했다. 한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