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목례보다 '눈인사'가 정겨운 느낌을 주죠
미국 46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당선인이 승리를 선언한 지도 한 달이 지났다. 그가 국정인수를 준비하기 시작한 지난달 초. 외신을 통해 들어온 한 장의 사진이 우리말과 관련해 작은 논란을 일으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국전쟁 기념비 앞에 헌화한 뒤 경례하고 있다.’ 국기에 대한 경례는 목례로 할 수 없어 그의 경례 동작은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댄 것이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소설은 단어나 어휘의 보물창고죠
Oh! but he was a tight-fisted hand at the grindstone, Scrooge! a squeezing, wrenching, grasping, scraping, clutching, covetous, old sinner! Hard and sharp as flint, from which no steel had ever struck out generous fire; secret, and self-contained, an...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시 감상의 첫걸음은 시적 상황 파악…그때 시인의 마음은?
순이(順伊)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나려, 슬픈 것처럼 창밖에 아득히 깔린 지도 우에 덮인다. 방안을 돌아다 보아야 아무도 없다. 벽과 천정이 하얗다. 방안에까지 눈이 나리는 것일까, 정말 너는 잃어버린 역사처럼 훌훌이 가는 것이냐, 떠나기 전에 일러둘 말이 있든 것을 편지를 써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몰라 어느 거리, 어느 마을, 어느 지붕 밑, 너는 내 마음속에만 남아 있는 것이냐, 네 쪼고만 발자욱을 눈이 자꾸 나려 덮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白眼視(백안시)
▶ 한자풀이 白: 흰 백 眼: 눈 안 視: 볼 시 흰자위를 보이며 흘겨본다는 뜻으로 상대를 무시하는 듯한 눈빛을 이름-<진서(晉書)> 완적(阮籍)은 삼국시대 위나라 출신 사상가이자 문학가로 성격이 호탕하고 무엇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했다. 술을 마시고 시를 읊었던 현사(賢士)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으로, 관료 생활을 했지만 권력과의 밀착을 경계했고 은자(隱者)의 삶을 추구했다. 그의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혜희란 ...
-
학습 길잡이 기타
one, another, the other의 구분법
At the lake shore there was another rowboat drawn up. The two Indians stood waiting. Nick and his father got into the stern back of the boat and the Indians shoved it off and one of them got in to row. Uncle George sat in the back of the camp rowboat...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전이 알려주는 것들 (3)
이맘때 시화호에서 바라보는 철새떼의 군무는 장관이다. 수면 위를 한가로이 노닐다가 한 마리가 날아오르면 일제히 비상해 하늘을 뒤덮는다. 그걸 보고 “새들이 ‘푸드득’ 날갯짓을 하며 날아올랐다”라고 하면 곤란하다. 새가 힘차게 날개를 치는 소리는 ‘푸드덕’이다. ‘푸드득’은 형태는 비슷하지만 아주 다른 말이다. 매일 아침 화장실에 들러 ‘볼일&rsqu...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伯樂一顧(백락일고)
▶ 한자풀이 伯: 맏 백 樂: 즐거울 락 一: 한 일 顧: 돌아볼 고 명마도 백락을 만나야 알려진다는 뜻으로 재주도 알아주는 자가 있어야 빛을 본다-<전국책(戰國策)> 주(周)나라 때 백락(伯樂)은 당대 최고의 말 감정가였다. 본명은 손양(孫陽)인데, 말에 대한 지식이 워낙 탁월해 전설에 나오는 천마(天馬)를 주관하는 별자리인 백락으로 불렸다. 어느 날 말 장수가 백락을 찾아와 자기에게 훌륭한 말 한 필이 있어 이를 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전이 알려주는 것들 (2)
2010년 영국의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비장한 소식 하나를 전했다. “인쇄판 사전 시장이 연간 수십 %씩 사라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올 제3판은 인쇄판 대신 온라인판으로만 낼 계획입니다.” 120여 년 역사를 자랑하던 옥스퍼드 종이사전에 종말을 고한 셈이었다.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옥스퍼드 영어사전’에서 있었던 일이다. 종이에서 디지털로 진화하는 국어사전 한국은 이보다 좀 더 이르게 종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