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ㄴ받침 뒤에선 '률' 아닌 '율'로 써야 해요
해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잘못 쓰는 우리말 사례’가 단골 소재로 거론된다. 그만큼 우리말에 대한 인식이 커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뒤집어 보면 우리 주위에서 국어 사용 오류가 여전히 많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윤상직 국회의원(자유한국당)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감에서 ‘생존율’을 ‘생존률’로 잘못 쓰는 등 맞춤법을 틀리게 낸 보도자료 사례를 지적했다. 모음 ...
-
학습 길잡이 기타
Back과 관련된 관용적 표현들
안녕하세요? 2019년 새해 인사를 이제야 드리네요. 그동안 다양한 영어 어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올해는 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문장 속에서 만나면 해석이 안 되는 Idiom(관용어)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첫 번째로 만나 볼 친구는, back이 들어간 Idiom들인데 어떤 표현이 있는지 기대하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a pat on the back이란 표현이 있는데, ‘칭찬(격려)하기’란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닌'과 '아니라'의 차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일 세계 최초로 5세대(5G) 상용 전파를 송출하며 ‘5G 시대’ 개막을 알렸다. 한 회사는 곧바로 5G 첫 가입자를 선정해 발표하기도 했다. 언론에서도 앞다퉈 관련 보도를 쏟아냈다. 그중 주목할 만한 문구가 하나 있었다. ‘5G 1호 가입자는 사람 아닌 로봇.’ ‘아니라’ 써야 할 곳에 ‘아닌’ 남발해 기사에서도 십중팔구 이런 식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비육지탄 (脾 肉 之 嘆)
▶ 한자풀이 脾: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 之: 어조사 지 嘆: 탄식할 탄 꿈은 뜻대로만 펼쳐지지 않는다. 유비도 큰뜻을 품었지만 처지는 녹록지 않았다. 사실 제갈량 없는 유비는 조조보다 한 수 아래였다. 조조에게 쫓기던 유비가 형주지사 유포에게 수년간 몸을 의지했다. 극진한 예로 환대하던 유포가 하루는 연회에 유비를 초대했다. 한데 연회장 화장실에서 무심코 자신의 넓적다리를 본 유비는 마음이 무거웠다. 오랜 세월 놀고먹기만 한 탓에...
-
학습 길잡이 기타
고1 11월 모의고사에 나온 주요 어휘들
Imagine that your body is a battery and the more energy this battery can store, the more energy you will be able to have within a day. Every night when you sleep, this battery is recharged with as much energy as you spent during the previous day. If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것이다'를 줄이면 글이 간결해지죠
일반적인 글쓰기에서 문장은 경쾌하게 쓰는 게 좋다. 빠른 호흡으로 짧게 끊어 쓰는 게 요령이다. 문장 뒷가지를 간결하게 마무리하는 것은 이를 위한 여러 기법 중 하나다. 그중에서 습관적으로 붙이는 ‘~하는(한) 것이다’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특별한 의미를 더하지도 않으면서 자칫 글을 늘어지게만 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불필요하게 덧붙이는 ‘~것이다’ 많아 ‘~것이다’는 주로 ...
-
학습 길잡이 기타
11월 고2 모의고사에 나온 주요 어휘들
Breaks are necessary to revive your energy levels and recharge your mental stamina, but they shouldn’t be taken carelessly. If you’ve planned your schedule effectively, you should already have scheduled breaks at appropriate times through...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형설지공 ( 螢 雪 之 功 )
▶ 한자풀이 螢: 개똥벌레 형 雪: 눈 설 之: 갈 지 功: 공 공 동진(東晉·317~419)은 중국 역사상 문화가 가장 화려하게 꽃핀 나라다. 무릉도원을 시로 노래한 도연명, 중국 회화사에서 인물화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고개지, 서예를 예술로 승화한 왕희지는 모두 동진 출신이다. 조선에서도 1500년을 앞뒤로 채 100년도 안 되는 시기에 서경덕, 이황, 이이, 기대승 등 내로라하는 사상가들이 활약했다. 동진에 차윤(車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