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생략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눈여겨보세요

    The old man was thin and gaunt with deep wrinkles in the back of his neck. The brown blotches of the benevolent skin cancer the sun brings from its reflection on the tropic sea were on his cheeks. The blotches ran well down the sides of his face and ...

  • 학습 길잡이 기타

    So that I could not be seen…

    Every morning I lay on the floor in the front parlour watching her door. The blind was pulled down to within an inch of the sash so that I could not be seen. when she came out on the doorstep my heart leaped. I ran to the hall, seized my books and fo...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책요? 책이요?…변신 꾀하는 보조사 '-요'

    지난 9일은 574돌 한글날이었다. 이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해 반포한 1446년을 기점으로 삼아 제정됐다. 한글이 탄생한 지 500년이 훨씬 넘었으나 우리 정서법 체계가 제대로 자리잡은 것은 100년이 채 안 된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3년 조선어학회(한글학회의 전신)에서 ‘한글마춤법 통일안’을 내놓은 게 밑거름이 됐다. 종결형으로 쓰인 ‘책이요’는 규범에서 벗어나 그 사이 우리 맞춤법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門前成市 (문전성시)

    ▶ 한자풀이 門: 문 문 前: 앞 전 成: 이룰 성 市: 저자 시 문 앞이 시장이 선 것처럼 되었다는 뜻 부자나 권세가 집에 사람이 몰리는 것의 비유-<한서> 전한(前漢)의 11대 황제 애제는 무능한 군주였다. 애제가 즉위하자 조정의 실권은 황실 일족에서 외척 가문으로 넘어갔다. 또 당시 20세인 애제는 동현이라는 미동(美童)과 동성애에 빠져 나랏일을 돌보지 않았다. 정숭이라는 충신이 애제에게 눈물로 호소했다. &ldq...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兎死狗烹(토사구팽)

    ▶ 한자풀이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끼가 잡히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 쓸모가 다하면 냉정히 버려진다는 의미-<사기(史記)> 범려는 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하고 춘추오패의 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보좌한 명신(名臣)이다. 월나라가 패권을 차지한 뒤 구천은 가장 큰 공을 세운 범려와 문종을 각각 상장군과 승상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범려는 구천이 고난은 함께해도 영화를 함께 누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깜깜이' 톺아보기

    코로나19가 한창 재확산하던 지난 8월 31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조금은 ‘뜬금없이’ 들릴지 모를 얘기를 꺼냈다. “‘깜깜이 감염’과 관련해서 시각장애인 분들께서 불편한 마음을 표현하시면서 개선을 요청해 왔습니다. 저희는 국민들 의견을 받아서 그 표현은 사용하지 않고자 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감염경로 불명’을 대체어로 제시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뒤에 오는 문장이 완벽하면 'that'을 선택하세요

    King George has many strange subjects. Mr. Kelada was short and of a sturdy build, clean-shaven and dark-skinned, with a fleshy, hooked nose and very large, lustrous and liquid eyes. His long black hair was sleek and curly. He spoke with a fluency in...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상전벽해(桑田碧海)

    ▶ 한자풀이 桑: 뽕나무 상 田: 밭 전 碧: 푸를 벽 海: 바다 해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로 바뀌었다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크게 변했음을 비유-<신선전(神仙傳)> 어느 날 선녀 마고가 신선 왕방평에게 말했다. “제가 신선님을 모신 후 어느새 뽕나무 밭이 세 번이나 푸른 바다로 변하였습니다(桑田碧海). 이번에 봉래에 갔더니 바다가 다시 얕아져 이전의 반 정도로 줄어 있었습니다. 또 육지가 되려는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