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백이전’을 1억 1만 1천 번을 읽었다 - 백곡집 -
김득신은 ‘고문삼십육수독수기(古文三十六首讀數記)’에 고문을 읽은 횟수를 적어놓았다.‘악어문’은 1만4000번을 읽었다. ‘정상서서’ ‘송동소남서’는 1만3000번을 읽었고 ‘십구일부상서’도 1만3000번, ‘상병부이시랑서’ ‘송료도사서’도 1만3000번을 읽었다. ‘용설’은 2만 번을 읽었다. ‘백이전’은 1억1만1000번을 읽었고 ‘노자전’은 2만 번, ‘분왕’도 2만 번을 읽었다. (중략) ‘장자’ ‘사기’ ‘대학’ ‘중용’을 많이 읽지 않은 것은 아니나, 읽은 횟수가 만 번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독수기에는 싣지 않았다. 만약 뒤의 자손이 내 독수기를 본다면, 내가 독서를 게을리하지 않았음을 알 것이다.억(億)이 지금은 만(萬)의 만 배를 나타내지만, 옛날에는 만(萬)의 열 배를 뜻하기도 했다. 그러니 ‘백이전(伯夷傳)’을 1억1만1000번 읽었다는 말은 과장된 거짓말이 아니라, 11만1000번을 읽었다는 말이다.김득신은 어려서 천연두를 앓아 매우 노둔했다고 한다. 머리가 나쁜 그였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학업에 전념해 뒤늦게 과거에 급제하고 노년에는 뛰어난 시인으로 존경까지 받았다.그를 생각하면 우리는 하고 싶은 일을 너무 쉽게 포기해버리는 것이 아닌지 모른다.▶ 한마디 속 한자 讀(독) 읽다▷ 낭독(朗讀): 글을 소리 내어 읽음▷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불편한 자를 위해 디자인하면 모두가 편하다
‘장애’라는 뜻의 가장 일반적인 단어는 disability입니다. 이 외에도 신체적 혹은 정신적인 장애를 지칭할 때, handicap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하는데, 이 경우 비하나 경멸적인 느낌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I’ll never forget the sound of laughing with my friends.저는 제 친구들의 웃음소리를 영원히 잊지 못할 것입니다.I’ll never forget the sound of my mother’s voice right before I fell asleep.제가 잠들기 전의 어머니 목소리도 절대로 잊지 못할 거예요.And I’ll never forget the comforting sound of water trickling down a stream.개울을 따라 잔잔히 흐르는 물소리도 결코 잊을 수 없습니다.Imagine my fear, pure fear, when, at the age of 10, I was told I was going to lose my hearing.제가 열 살이었을 때 청력을 잃게 될 거라는 말을 듣고는 제가 얼마나 공포를 느꼈을지 상상해보세요.And over the next five years, it progressed until I was classified as profoundly deaf.그리고 그 후, 5년 동안 서서히 진행돼, 결국 아무것도 들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But I believe that losing my hearing was one of the greatest gifts I’ve ever received.하지만 저는 청각을 잃게 된 것이 제가 받은 큰 축복 중 하나라고 믿습니다.You see, I get to experience the world in a unique way.보시다시피, 저는 색다른 방법으로 세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우리의 마음속에 작은 울림을 주는 이 메시지는 When We Design for Disability, We All Benefit(장애인을 위해 디자인하면 모두가 편하다)라는 TED 강연의 첫 부분입니다. 살다보면 누구나 크고 작은 장애물들을 만납니다. 그래서 오늘은 ‘장애’와 관련된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장애’라는 뜻의 가장 일반적인 단어는 disabilit
-
학습 길잡이 기타
'토마토'든 '토메이토'든 맛있으면 그만…영어 발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영어를 말하는 데 있어 pronunciation(발음), stress(강세), intonation(억양) 이 세 가지가 다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너무 발음에만 집착하는 것 같습니다.You say either and I say either.당신은 either를 ‘이더’라고 말하고, 나는 ‘아이더’라고 말하죠.You say neither and I say neither.당신은 neither를 ‘니더’라고 말하고, 나는 ‘나이더’라고 말해요.Either, either, Neither, neither,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이더‘, ’아이더‘, ’니더‘, ’나이더‘, 우리 이제 그만 할까요?You like potato and I like potahto,당신은 ‘포테이토’를 좋아하고 난 ‘포타토’를 좋아해요.You like tomato and I like tomahto.당신은 ‘토메이토’를 좋아하고, 난 ‘토마토’를 좋아해요.Potato, potahto, Tomato, tomahto,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포테이토’, ‘포타토’, ‘토메이토’, ‘토마토’, 그냥 이대로 잊어버려요.재치 있는 가사가 돋보이는 위 노래는 1937년작 영화 ‘Shall we dance(쉘 위 댄스)’에 나온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입니다. 사실 원곡보다는 루이 암스트롱과 엘라 피츠제럴드가 부른 버전이 더 유명하답니다. 영화 ‘When Harry met Sally(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도 나와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명곡 중 하나입니다.Let’s call the whole thing off에서 call something off는 ‘무엇을 취소하다’라는 숙어랍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쓸데없는 논쟁은 그만두자’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일상 회화에서는 Let’s call it off라는 표현으로도 많이 쓰이는데, 아이유와 임슬옹이 부른 ‘잔소리’란 노래에서도 ‘그
-
학습 길잡이 기타
바람은 눈을 부러워하고, 눈은 마음을 부러워한다 -장자-
『장자(莊子)』「추수(秋水)」편에 있는 글이다.외발 짐승 ‘기’는 발이 많은 ‘노래기’를 부러워하고, ‘노래기’는 발이 없는 ‘뱀’을 부러워하며, ‘뱀’은 형체가 없는 ‘바람’을 부러워하고, ‘바람’은 움직이지 않고도 널리 보는 ‘눈’을 부러워하며, ‘눈’은 사물을 보지 않고도 모든 것을 아는 ‘마음’을 부러워한다.발이란 주체의 마음을 읽어 몸을 어딘가로 이동시켜 주는 기능만 수행하면 될 뿐, 개수가 많고 적음은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외발 짐승 ‘기’가 가진 발 하나나, ‘노래기’가 가진 백 개의 발이나 기능이 같은 것처럼 말이다. 돌아보면 남보다 더 갖고 싶은 욕심에 그 원래 기능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 자신이다.다리가 많은 ‘노래기’는 다리가 없는데도 자신보다 빠른 ‘뱀’을 부러워한다. 자신은 이동하려면 수많은 발을 수고롭게 움직여야 하지만, 뱀은 발이 없으면서도 그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래기는 생각해야 한다. 빨리 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도 살펴야 한다는 것을.▶ 한마디 속 한자 憐(련) 불쌍히 여기다, 어여삐 여기다.▷ 연민(憐憫): 불쌍하고 가련하게 여김.▷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
-
학습 길잡이 기타
영어 단어 외워서 뭐하냐고?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죠
단어를 외울 때는, 반드시 단어가 문장 속에서 누구랑 쓰이는지(collocation)와 단어가 문장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context meaning)에 대한 고민이 필수입니다.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표현을 고르시오.How come ( ) all the burden?1) he volunteered to take2) he volunteered taking3) did he volunteer to take4) did he volunteer taking정답은 바로 1번입니다. 왜냐하면, 우선 ‘(도대체) 왜’라는 뜻을 가진 단어 how come 다음에는 평서문 어순을 쓰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너, 왜 이렇게 늦었어?”라는 말을 영어로 할 때, why라는 의문사를 쓰면 why are you so late?라고 하지만, How come을 쓴다면 How come you are so late?라고 해야 하거든요.그리고 ‘자원하다, 자청하다’라는 뜻을 가진 volunteer라는 동사는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쓰거든요. 혹시 정답을 맞히셨나요? 누군가에게는 위 문제가 텝스 수준의 고난도 문법 문제일 수도 있지만, How come과 Volunteer이라는 단어의 쓰임을 정확히 이해한 학생들에게는 엄청 쉬운 문제일 수도 있답니다.늘 말씀드리지만 단어를 외울 때는, 반드시 단어가 문장 속에서 누구랑 쓰이는지(collocation)와 단어가 문장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context meaning)에 대한 고민이 필수입니다.지난 4년 동안 나름대로 단어를 좀 더 재밌고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말씀을 드렸지만, 여전히 많은 학생과 학부모님께서 ‘하루에 몇 단어를 외워야 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영어 공부를 하기 때문에 오늘은 작심하고 한번 영단어 학습에 대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우선 문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문장이 어려운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학년이 올라간다고 해서, 문법이 어려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해나 달을 보았다고 눈이 밝다고 하지 않는다 -손자병법-
『손자병법(孫子兵法)』「군형(軍形)」편에 있는 글이다.가는 털 하나 들었다고 힘이 세다고 하지 않으며, 해나 달을 보았다고 눈이 밝다고 하지 않으며, 천둥소리를 들었다고 해서 귀가 밝다고 하지 않는다. 옛날 전쟁을 잘하는 자는 쉽게 승리하게 만들어놓고 승리하는 자이다. 따라서 전쟁을 잘하는 자의 승리는 지혜로운 명성이 없고 용맹한 공로가 없다. 그러므로 그 전쟁의 승리에 있어서 어긋남이 없으며,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은 그 조처하는 바가 반드시 승리할 수 있도록 해, 이미 패한 자를 상대로 승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패하지 않을 자리에 서고, 적을 패배시킬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사람들은 대부분 눈에 띄는 작은 일 하나 하고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 하지만 해와 달을 보았다고 눈이 밝다고 하지 않는 것처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을 내가 했다고 그게 그리 자랑할 일은 아니다. 진짜 큰 사람은 모두가 힘들어 하는 일을 차근차근 준비해 성공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사람이다.▶ 한마디 속 한자 - 明(명) 밝다, 희다▷ 천명(闡明): 진리나 사실, 입장 따위를 드러내어 밝힘.▷ 명명백백(明明白白): 의심할 여지가 없이 아주 뚜렷함.
-
학습 길잡이 기타
2018 대입 논술, 생글논술경시대회로 준비하세요!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이 주관하는 23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6월3일(토)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11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국내 최대의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누적 응시자는 10만명에 달한다. 10년이 넘은 생글논술대회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입 논술 수시 전형에 맞춤한 문제를 출제해 평가·분석할 예정이다.생글논술대회는 이런 점에서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최적의 대회다. 고교 3학년은 실전 시험에 대비하고 자신의 논술 실력을 확인할 수 있다. 1~2학년은 논술에 대한 기초 실력을 점검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고교 1~3학년은 물론 재수생까지 모두 참가할 수 있다. 6월1일 시행되는 전국모의고사 이후 논술경시대회가 개최되기 때문에 응시자의 지원 가능권을 점검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논술 문제는 고1 공통, 고2 인문, 고2 자연, 고3 인문, 고3 자연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고교 2~3학년 학생들이 자신이 목표로 하는 계열에 맞춰 신청할 수 있다.생글논술대회는 응시자 전원에게 전국 단위의 논제별 점수, 평균 점수, 백분율을 표시한 성적표를 제공한다. 응시자는 다양한 성적 분포를 통해 자신의 논술 실력을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논술 전문가들이 첨삭한 자신의 답안지를 직접 받아볼 수 있어 자기 논술과 글쓰기의 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유형별 논술자료집도 함께 제공된다.신청 마감일은 5월25일이다. 접수는 생글생글 홈페이지(sgsg.hankyung.com)에서 할 수 있다. 응시료는 3만5000원이다. 학교나 학원은 단체로 응시 신청을 할 수 있다. 응시 인원이 10명 이상이어야 하며 30명 이상이면 응시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학교 및 학원 일정상 6월3일에 경시대회를 진
-
학습 길잡이 기타
(40) ‘소비자 니즈’ 파악 IPA 분석
기업이나 국가의 매력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소비자 니즈(needs) 파악’이 그 해답을 아는 키워드다. 다들 소비자 니즈를 파악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냥 소비자 니즈 파악이 아니다. 중요도를 함께 고려한 소비자 니즈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이 자주 사용된다.각 서비스 요소에 대한 ‘중요도(importance)’와 ‘만족도(performance)’의 간극을 바탕으로 하는 IPA는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의 소비자 반응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도와주는 틀이다. IPA를 통해 관리자는 어떤 서비스 속성에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한지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구매 습관을 예상해 재구매 의도 여부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에게 보다 높은 가치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좋은 서비스 형태를 제시하기도 한다.구체적으로 보면 IPA는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라 ‘현상 유지(keep up the good work)’ ‘집중 구역(concentrate here)’ ‘낮은 우선순위(low priority)’ ‘과잉 제거(possible overkill)’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 속성 요소에 대한 경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IPA 기준에 의거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각 기업의 서비스 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하고 해당 기업이 효과적으로 서비스 품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다.IPA 매트릭스 그림을 살펴보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은 현재 잘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핵심 역량으로 볼 수 있으며,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2사분면은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