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공유지의 비극'에 대처한 조선인의 지혜

    경제학에는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소유권이 없는 공유지 또는 공유자원이 과다소비로 인해 고갈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유자원이란 재산권이 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누구든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한다. 소유자가 정해져 있지 않은 호수의 물고기,생수의 취수원이 되는 지하수 등은 공동 소유 자원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공유자원인 주인 없는 목초지의 경우 저마다 자유롭게 양들을 풀어 놓고,풀...

  • 경제 기타

    (16) 최초의 '글로벌 경제' 이슬람 제국

    한 손에는 '쿠란'··· 다른 손에는 '경제' 유연한 소통으로 다양한 문명 융합 상업 중시 ··· 종이·농산물 등 확산 이슬람교만큼 광범위한 지역에 빠르게 팽창해간 종교는 없을 것이다. 예언자 무하마드의 사망(632년) 이후 10년 내에 아랍 무슬림(이슬람교도)들은 이라크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 서부이란을 정복했다. 팽창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아랍의 선박들이 키프로스(649년),카르타고(698년),튀니지(700년),지브롤터(711...

  • 경제 기타

    (8) 미래의 투자

    세금은 행복한 미래위한 초석 세금에도 '공짜 점심'은 없어 '스노볼(Snow Ball · 눈덩이).' '책임지는 부자(Responsible Wealth)' 모임을 주도하며 상속세 폐지 반대와 공평 과세 캠페인 등을 펼쳐 전 세계에 선풍을 일으킨 워런 버핏의 자서전 제목이다. 눈덩이를 만들 때 처음부터 단단하게 만들기는 어렵지만 공의 모습이 어느 정도 갖춰지면 조금만 굴려도 빠르게 커지면서 단단해진다. 워런 버핏은 장기 투자의 효과를 강...

  • 경제 기타

    전세값 상한제 도입해야 하나요

    찬 “아무 대안없이 무조건 상한제 비판해선 안돼” 반 “정부의 인위적 가격 통제는 바람직하지 않아” 전세값 상한제 도입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집값 상승세는 잠잠해졌지만 수도권과 서울 일부 지역, 특히 학군 수요가 높은 서울의 대치동 목동과 같은 지역의 전세값이 다시 큰 폭으로 뛰면서 여야할 것 없이 정치권에서 전세값 상한제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최근 전세값이 꿈틀대는 것은 재건축으로 기존 아파트를...

  • 경제 기타

    진로적성, 스스로 탐색하며 수정·보완해 나가야

    자신의 진로적성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과거에 비해 부쩍 커졌다. 진로 설정의 중요성이 어려서부터 강조되고, 입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입학사정관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학생부의 장래희망을 고쳐 사회적 이슈가 된 웃지 못할 해프닝까지 연출된 바도 있다. 사람들에 따라서는 처음부터 확실한 직업을 정해 끝까지 관철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처음 목표와는 전혀 다른 적성을 뒤늦게 발견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

  • 경제 기타

    왜~ 우리에겐 통일이 필요할까요?

    지금껏 나는 통일에 별 관심이 없었고, 왜 통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하고 살아왔다. 그러나 6 · 25 전쟁 발발 60주년을 맞아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같은 민족이면서 남한과 북한이 왜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60년 가까운 세월동안 둘로 갈라져 서로가 반목하면서 살아왔는지. 한 가족이면서 떨어져 살아가는 이산가족의 아픔을 견디며 가슴 속의 한을 쌓아놓고 지내야 하는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

  • 경제 기타

    반값 등록금 학생들에겐 꼭 필요해요!

    현재 반값 등록금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지원 대상을 B학점 이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맞서 시민단체들과 대학생들은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을 외치며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고려대 · 서강대 · 숙명여대 · 이화여대 등의 서울지역 4개 대학이 반값 등록금 동맹휴업을 추진하고 있어 더욱 파장이 커질 기세다. 우리나라 대학들은 지난 10년간 등록금을 매년 5~10%씩 인상해 왔다. 우리나라 사립대학...

  • 경제 기타

    잃어버린 10년 & 헤지펀드

    경제가 활력을 잃으면 … 서머스,미국 경제의 장기침체를 경고하다 ◆'잃어버린 10년' 미국은 2008∼2009년 정책적 조치를 통해 금융위기를 성공적으로 막아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잃어버린 10년'의 중반기에 접어들었다. 지난 5년간 성장률은 연평균 1%에도 못 미쳤는데,이는 거품이 꺼질 때의 일본과 비슷하다.한 경제가 오랫동안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이루지 못할 경우 그 경제에는 미래가 없다. - 6월11일 워싱턴포스트,파이낸셜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