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커버스토리
특허는 기술혁신의 원동력…남용땐 오히려 毒되죠!
특허의 두 얼굴…기술촉진 vs 진입장벽 지식재산권은 발명 상표 디자인 등의 산업재산권과 문학·음악·미술작품 등에 관한 저작권을 아우르는 말이다. 새로운 기술을 국가차원에서 보호해주는 특허도 지식재산권에 포함된다. 새로운 기술이나 기법, 아이디어를 특허제도를 통해 발명자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것은 기본적으로 기술개발 의욕을 북돋우자는 데 있다. 또한 신기술이 궁극적으로 상품화를 거쳐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유도하자는 취지도 담겨 있다. 하지만 ...
-
커버스토리
新기술 둘러싼 세기의 특허전쟁…기업 운명 바꿨다
특허의 두 얼굴…기술촉진 vs 진입장벽 태양 아래 특허가 아닌 것은 없다는 말이 있다. 누가 먼저 특허를 내느냐가 관건이라는 의미다. 그래서 일까. 지식재산권 중 산업재산권에 속하는 특허는 늘 시비를 낳는다. “네 것이 아니라 내 것이다”는 분쟁이다. 요즘 삼성-애플 간 '세기의 특허전쟁'이 초미의 관심거리지만 이전에도 이에 못지않은 치열한 특허싸움이 벌어졌다. 가장 뜨거운 전쟁터 중 하나가 전기전자 분야다. '벨의 전쟁'으로 불리는 전화...
-
경제 기타
유로존 다시 길을 잃다…그리스 '벼랑끝으로'
“여름 휴가는 끝났고 불확실한 미래만이 남았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가 최근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에 대해 내린 평가다. 유로존이 그리스의 긴축재정 시한 연장 요청을 사실상 거부하면서 그리스는 유로존 탈퇴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고, 스페인은 다음달 중 전면적 구제금융을 받게 될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포르투갈은 경기 침체로 재정적자 감축계획이 차질을 빚게 되면서 구제금융 조건 재협상을 요구할...
-
경제 기타
저축의 과유불급
공자(孔子·BC 551~BC 479)는 3000명이 넘는 제자를 길러냈다. 그 중에서도 학업에 통달한 72명을 칠십이현(七十二賢)이라고 불렀다. 이들 중 자공(子貢), 자장(子張), 자하(子夏)는 각기 다른 특성이 있었다. 자공은 말솜씨와 경제적 감각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사위인 자장은 의협심이 남달랐고, 자하는 문학(시서예학·詩書禮學)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말하기를 좋아하던 자공이 어느날 공자에게 “자장과 자하 중에서 누가 더 현명한가요...
-
경제 기타
기업인 집행유예 금지 옳을까요
찬 "국민 법감정에 반하는 유전무죄 안될 말" 반 "형평성에 문제 있고 위헌 소지마저 있어" 새누리당 경제민주화 실천모임이 경제민주화 법안을 계속 내놓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 빅 이슈 중 하나가 경제민주화인 만큼 이를 당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겠다는 전략에서다. 새누리당이 내놓은 경제민주화 법안 중 제1호 법안으로 제출한 것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가법) 개정안이다. 이 개정안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
경제 기타
(고교생) 시대의 변화로 생겨난 직업 '데이터 마이너' 등
시대의 변화로 생겨난 직업 '데이터 마이너' 최근 서울대 멀티미디어 강의동에서 제11회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캠프가 열렸다. 캠프는 하루 동안 진행됐다. 조성준 교수(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조재희 교수(광운대 경영대학), 조성배 교수(연세대 컴퓨터 과학과), 김성범 교수(고려대 산업경영학부), 송길영 부사장(다음소프트)이 강사로 출연했다. 데이터 마이닝이란 대규모의 데이터에서 귀납적 추론을 이용해 데이터들에 존재하는 패턴...
-
경제 기타
(중학생) '청소년 다이어트, 위험 수위다' 등
청소년 다이어트, 위험 수위다 “선생님! 저 이번 달 급식 안 먹을래요.” 서울의 S중에 재학 중인 주연정 학생은 요즘 다이어트 중이다. 주연정 학생은 얼마 전부터 점심으로 방울토마토 세 개와 닭가슴살 서너 조각을 먹는다. 신장 160㎝, 몸무게 52㎏g의 정상 체중에도 불구하고 주양은 다이어트에 사활을 걸다시피 한다. 주양만 그런 것은 아니다. 제2, 제3의 주양이 전국 중학교에 넘쳐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조사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
-
경제 기타
흔들리는 인적자본…한국 경제의 우울한 자화상
인적자본과 나라경제 인적자본 손실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19일 '대한민국 인적자본이 흔들리고 있다' 보고서에서 “출산율 저하, 청년실업 고착, 높은 스트레스로 한국의 인적자본이 크게 손실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8월20일 한국경제신문 ☞흔히들 한국 경제는 전쟁 이후 60여년 만에 무에서 유를 이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의 나라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대한민국이 20세기 중반 최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