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평소엔 짠돌이...명품 살땐 '화끈'

    '2635세대'는 386세대와는 판이하다. 정치적으론 무관심을 드러내는 데 반해 경제적인 문제에 대단히 민감하다. 경제적 풍요가 싹튼 1980년대에 청소년기를 보내고,민주화가 자리잡기 시작한 90년대 이후에 대학생활을 하면서 이념보다 현실,명분보다 합리,집단보다는 개성의 뚜렷한 성향을 보이는 게 이들 세대다. 물질적 '풍요'를 경험한 2635세대는 외환위기를 거쳐 청년실업 문제 등에 직면하며 경제관념으로 스스로를 무장하고 있다. 거리낌없...

  • 커버스토리

    디지털 문화속 아날로그적 감성 추구

    이들은 자연스런 일상생활 중의 하나로 디지털환경과 문화에서 성장한 만큼 디지털기기와 매체를 활용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출한다. 동시에 이들은 기성 세대가 차갑고 기계적이라고 느끼는 디지털 문화에서 따뜻하고 인간적인,아날로그적 정감을 찾아 표현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이들은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된 뒤에도 여전히 디지털파일을 아날로그 사진으로 인화해 간직하기도 하고,이메일과 메신저를 사용하면서도 쪽지와 편지쓰기를 유행시키기도 한다. ...

  • 커버스토리

    사상.이념엔 무관심...개인주의 무장

    2635세대는 기성세대로부터 풍요를,386으로부터는 민주를 물려받은 세대다. 개성과 자기 중심주의로 무장한 채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를 표출할 줄 안다. 이들에게 진보냐,보수냐 하는 식의 담론은 큰 의미가 없다. 386과 달리 2635세대는 공동체적 사안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사상·이념 논의 자체가 '공동체'를 전제로 한 것이다. 대신 개인적인 이해관계에는 그 어느 세대보다 철저하다. 이들의 정치·사회적 특성은 '개인주의''현실...

  • 커버스토리

    해외 배낭여행.인터넷 열풍 1세대

    "2635세대는 누구인가." 한 세대(generation)가 때론 전체 사회의 방향을 결정짓곤 한다. '민주화 1세대'로 일컬어지는 '386세대(36∼45세)'가 한 예다. 그들은 현 정부 요직에 대거 진출하며 진보적 성향의 여러 '실험'들로 한국 사회를 들썩이고 있다. 미국의 '베이비부머(babyboomer)' 또한 마찬가지다. 베이비부머 세대란 2차 세계 대전 직후 태어나 지금 41∼59세에 이른 이들로 탄탄한 소비력을 바탕으로 1...

  • 커버스토리

    과학자 그리고 거짓말

    결국 황우석 교수의 환자맞춤형 복제배아줄기세포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황 교수팀이 2005년 '사이언스'지 논문에서 공개한 줄기세포는 모두 가짜라는 게 확정됐으며 원천기술 보유 여부까지 의심받게 됐다. 당초 연구용 난자에 관한 윤리 의혹으로 시작된 이번 사태는 급기야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진위 논란으로 번져 최악의 결과를 낳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황 교수의 연구 과정과 성과에 대한 '거짓'들이 잇따라 드러났다. 사이언...

  • 커버스토리

    과학 고도화 되면서 통제기능도 약화

    황우석 서울대 교수팀의 논문 조작 사태는 근래에 보기 드문 '과학 스캔들'이다.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를 충격으로 몰아넣고 있다.하지만 이번 사태는 '과학자의 윤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정치가의 윤리,기업가의 윤리가 세간의 도마 위에 오른 적은 많지만 이번처럼 과학자의 윤리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나큰 파장을 낳은 적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자의 자유는 어디까지 보장돼야 하나.이를 통제할 ...

  • 커버스토리

    논문검증 시스템 부재가 禍 키웠다

    전세계인이 지켜보는 가운데서도 황우석 교수의 연구성과 조작은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과학자들과 국내의 수많은 전문가들조차도 논문의 허위성을 알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국내 논문 검증 시스템의 미비가 한 이유로 꼽힌다. 미국 등 대부분의 해외 선진국들과는 달리 우리나라 대학과 연구기관에는 과학 연구의 진위를 조사할 수 있는 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일명 소장파 생명과학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기 전...

  • 커버스토리

    과도한 성취욕에 논문조작 사례 빈번

    과학 발견이나 논문에 대한 조작사건은 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니다.이미 세계적으로도 주목받을 만한 사례들이 적지 않게 나와 있다.학자적 양심에 따라 논문을 쓰는 대부분의 과학자들과 달리 일부 과학자들은 과도한 명예욕을 떨쳐버리지 못한 까닭이다. 과학적 발견이나 논문의 조작 비밀이 드러나게 되는 것은 대개 관련 분야 과학자들의 의문으로부터 시작된다.여러 과학자들이 조작된 논문에 기술된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했는데도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