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공적연금의 역사

    국가가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공적 연금은 1883년 독일의 철혈 재상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가 처음으로 고안해 냈다. 비스마르크 재상은 1866년 오스트리아 전쟁과 1870년 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해 독일을 통일한데 이어 독일민족의 내부통합을 위해 이른바 '채찍과 당근'정책을 시도했다. 노동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사회주의 규제법을 만드는 한편 사회주의 운동에 가담하지 않는 노동자 계급을 회유하기 위해 연금을 비롯해 의료보...

  • 커버스토리

    복지 선진국 유럽도 '연금 수술' 박차

    연금개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독일 프랑스 스웨덴 같은 복지 선진국들도 연금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방향은 우리와 같다. '더 내고 덜 받는' 쪽이다.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유럽 국가들은 보험료를 조금 걷고 연금은 후하게 나눠주는 인심을 썼다. 그러나 유럽경제가 저성장기에 접어들고 고령화도 급속히 진행되면서 기존 시스템을 더이상 지속시킬 수 없는 상황으로 빠져들었다. 여기에다 실업률이 높아지고 출...

  • 커버스토리

    총성없는 전쟁 M&A 열풍

    기업을 통째로 사고파는 인수ㆍ합병(M&A) 열풍이 불고 있다. 세계적인 현상이다. M&A는 상품을 사고파는 거래도 아니고 소비자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도 아니다. M&A는 본질적이고도 원초적인 협상이요 전쟁이다. 기업의 경영권을 먹고 먹히는 그런 싸움이다. 해외 리서치업체인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M&A 규모는 지난 9월까지 2조400억달러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한 것으로 2000년 이후 가장 ...

  • 커버스토리

    "덩치 키워야 살아남는다"...기업사냥

    올해 전 세계 기업 간 인수·합병(M&A) 규모는 얼마나 될까. 인터넷과 정보기술(IT) 열풍으로 닷컴 붐이 한창이었던 2000년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2000년 세계 M&A 규모는 3조4000억달러(약 3400조원)로 3조달러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후 성장세가 꺾여 2003년엔 1조1490억달러,지난해엔 1조5160억달러에 그쳤다. 하지만 올해 들어선 9월까지 이미 2조400억달러에 ...

  • 커버스토리

    M&A 관련 전문용어

    M&A 관련 전문용어를 몇 가지 알아보자.M&A 내용을 다룬 신문기사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 공격과 방어용 용어들이다. △공개매수(take-over bid)=M&A 대상 기업을 선정해 공개적으로 그 기업의 주식을 사들이는 행위를 말한다. M&A를 시도하는 세력이 증시에서 거래되는 주식을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일정한 기간 사들이게 된다. △그린메일(green mail)=기업사냥꾼들이 목표 대상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해 놓았다가 그 ...

  • 커버스토리

    주목받는 기업사냥꾼

    세계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이 한껏 달아오르면서 M&A의 거물인 '기업 사냥꾼(corporate raider)'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주가가 저평가돼 있는 기업이나 부실기업의 지분을 산 뒤 구조조정 등을 통해 비싼 값에 주식을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긴다. 글로벌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M&A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데다 투자할 곳을 찾는 사모투자회사(PEF)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기업 사냥꾼들에게 더 없이 좋은...

  • 커버스토리

    재무.지배구조 취약한 곳은 먹잇감

    M&A는 영어 'Mergers & Acquisitions'의 약자(略字)다. 둘 이상의 기업이 하나로 통합돼 단일 기업이 되는 '합병(Merger)'과 한 기업이 자산이나 주식의 취득을 통해 다른 기업의 경영권을 획득하는 '인수(Acquisition)'를 합친 말이다. 통상적으로 기업을 M&A한다는 것은 '인수'를 말한다. M&A는 진행과정이 우호적으로 이뤄지는 M&A와 적대적인 M&A로 구분된다. 물건을 사고 파는 데도 목적과 흥정이,...

  • 커버스토리

    나라빚 늘면 어떻게 되지?

    국가 재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뜨겁다. 나라빚이 너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우려와 우리나라 복지수준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는 재정지출을 당분간 늘려야 한다는 견해가 팽팽히 맞서 있다. 최근 발표된 내년도 예산안은 이 같은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내년에도 적자국채 발행이 불가피하다는 정부 발표가 나오자 국가 재정의 건전성을 놓고 갑론을박이 진행 중이다. 국가채무를 걱정하는 쪽에서는 "정부의 수입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분배 위주의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