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公約의 딜레마··· 무조건 지켜야 한다?

    민주주의는 오늘날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정치제도로 자리매김해 있다. 국민 개개인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선거권을 행사해 국가의 최고지도자와 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을 뽑는다. 투표를 통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중대한 결정에 참여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들은 입법-행정-사법의 3권 분립으로 최고 권력에 대한 견제 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완벽한 제도인 건 아니다. 고대 그리스의 직접 민주주의는 중우정치로 몰락했다. ...

  • 커버스토리

    지키지도 못할 ' 空約 ' 너무 많아요!

    수십조원 들어가는 대형 국책사업 공약후유증 매니페스토 운동 등 참여로 감시의 눈 부릅떠야 "공약은 유권자에게 한 약속이므로 반드시 지켜야 한다" "현실성이 없는 공약이라면 뒤늦게라도 포기해야 한다. " 선거 공약의 이행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이렇게 둘로 나뉘는 경향이 있다. 전자는 유권자들이 공약을 믿고 투표한 만큼 공약대로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는 논리를 담고 있다. 반면 후자는 공약은 공약일 뿐 선거 후 사업타당성이 없다면 철회하는 ...

  • 커버스토리

    민주주의 한계 드러내는 투표의 역설

    " 인간의 행동이 늘 합리적인 건 아니다" ◎ 콩도르세의 '투표의 역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폴리스에서 유래된 민주주의(Democracy)는 그리스어 데모스(Demos · 시민)와 크라티아(Kratia · 권력 또는 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Democratia,시민에 의한 지배)가 그 어원이다. 왕이나 귀족이 아닌 시민이 주권자가 돼 스스로를 통치한다는 뜻이다. 철학자인 칼 포퍼는 "민주주의는 피를 흘리지 않고 선거를 통해 정부...

  • 커버스토리

    경제의 미래, 인구 속에 답이 있다

    "현재 거의 모든 선진 세계는 전례없는 인구 통계적 나락으로 떨어질 상황에 놓여 있다. 베이비 붐 세대가 주를 이루고 있는 거대한 근로자 집단이 생산 활동에서 은퇴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출산율의 저하와 은퇴 인구의 급증에 따른) 이러한 지각변동은 진정한 21세기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앨런 그린스펀 전 FRB 의장의 회고록 '격동의 시대'중) 그린스펀이 지적한 것처럼 인구 문제는 21세기 지구촌이 맞닥뜨린 가장 큰 과제다. 급격...

  • 커버스토리

    인구가 줄어들면 집값이 떨어진다?

    주택 구입 주연령층 35~54세 인구감소세로 전환 "1인 가구 늘어 日 같은 버블 붕괴는 없을것"반론도 인구가 감소하면 주택시장도 큰 영향을 받는다. 주택 가격은 기본적으로 주택의 수요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주택 수요의 큰 변수인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 주택가격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주택 가격은 잠시 안정세를 보이는 기간도 있었지만 1960년대 이후 줄곧 오름세를 보여왔다. 특히 서울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물가상승률 몇 배씩...

  • 커버스토리

    인구 구조가 변하면 경제가 바뀐다

    생산 가능인구 1%줄면 성장률 0.8%P 감소 고령사회 진입 땐 GDP 증가율 2%대로 추락 ⊙ 인구의 변화 인류 역사를 돌이켜 보면 불황이나 전쟁 등으로 경제 여건이 나빠졌을 때 출산율이 떨어지지만 반대로 경기가 호전되고 식량 사정이 개선될 때는 출산율이 높아지는 게 일반적이다. 또 전쟁과 같은 사태로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 전쟁이 끝난 후 종족 보존을 위해 출산을 늘리는 경향도 나타난다. 미국이나 일본 유럽은 2차 세계대전 이후,우...

  • 커버스토리

    시장의 실패?…그럼, 정부는 만능인가

    "낮은 세율의 법인세 등 한국의 기업 경영 여건은 일본보다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한국의 대기업들은 지난해부터 중소기업 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정부의 압력으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대기업이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을 거둔 경우 협력업체에 이익을 나눠주는 '초과이익 공유제' 도입에 대기업들은 많은 불만이 쌓여 있다. " 지난 21일자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사설이다. 일본의 대표적 경제신문이 관심을 가질 정도로 동반성장을 내세운 한국 정부...

  • 커버스토리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하지?…혹시, 시장이 잘못돼서?

    초과이익공유 · 전·월세 상한제 · 징벌적 손해배상 '논란' ⊙ 찬성="초과이익에 협력사도 기여" 정 위원장의 초과이익공유제 주장은 "초과이익이 나는 것은 대기업 스스로의 노력도 있겠지만 중소기업의 노력도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는 "이익 공유의 대상을 주주나 임직원뿐 아니라 협력기업으로 확산시키겠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초과이익은 연초 기업이 정한 목표이익과 연말에 나오는 실제 이익을 비교하면 산출할 수 있다는 게 정 위원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