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수쿠크가 뭐길래… '이자는 죄악' 이라고?

    '수쿠크'(Sukuk)라고 불리는 이슬람 채권이 최근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정부가 수쿠크 투자에 따라 얻는 수익에 대해 세금을 물리지 않기로 법(조세특례제한법)을 고치겠다고 하자 종교계와 정치권 일각에서 강력히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수쿠크에 대한 면세는 이슬람교에 대한 특혜라며 수쿠크 법안을 통과시키는 정치인에 대해선 낙선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수쿠크는 이자를 주고 받는 것...

  • 커버스토리

    '수쿠크'법, 무슨 문제 있길래 종교계까지 난리야?

    '수쿠크(Sukuk)'로 불리는 이슬람 채권이 정치권은 물론 청와대와 정부,종교계에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 개신교계의 거센반대로 이번 임시국회에서 수쿠크에 대해 세금을 물리지 않는다는 내용을 골자로한 법안은 통과 되기가 사실상 힘들어 졌다. 수쿠크 법안을 추진해 온 정부는 사태가 이렇게 커진 것이 무척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해외 자금조달 물꼬를 터주자'는 순수한 경제적 목적에서 시작한 것이 종교 문제로 비화되면서 '대통령 퇴...

  • 커버스토리

    돈은 자식을 낳을 수 없다?… 이자는 '불로 소득'일까

    역사적으로 이슬람 · 기독교 모두 이자를 금지 이자는 시장에서 '보이지 않는 손' 역할의 핵심 이자(interest)는 돈의 값이다. 화폐를 빌려서 일정기간 사용한 대가로 그것을 빌려준 사람에게 지불하는 것이다. 다른 물건과 마찬가지로 돈도 빌려 썼다면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는 이자 지불을 당연하게 여긴다. 하지만 중세 시대까지는 기독교(카톨릭)에서도 이자를 죄악시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베니스의 상인'에 등장하는 유...

  • 커버스토리

    저축은행, 왜 한꺼번에 돈이 빠져나가지?

    지난 20일 부산 중앙로.저축은행들이 몰려 있는 이곳은 아침 일찍부터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지난 17일 부산지역 최대 저축은행인 부산저축은행에 이어 19일 부산2저축은행마저 영업정지를 당하자 1만여명의 예금자들이 맡긴 돈을 찾기 위해 한꺼번에 몰려든 것이다. 대전의 대전저축은행,춘천의 도민저축은행,전남 광주와 목포의 보해저축은행,전북 전주의 전주저축은행도 마찬가지였다. 예금주인 박모씨(65)는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적게는 100...

  • 커버스토리

    '프로젝트 파이낸싱' 으로 돈 벌다가 부동산 침체로 대출 부실 '부메랑'

    저축은행 왜 '시한폭탄' 됐나 저축은행 7곳이 최근 한 달 만에 잇달아 문을 닫았다. 1월14일 서울 소재 삼화저축은행에 이어 2월 17일 부산 · 대전 등 지방저축은행이 영업을 정지했다. 지난 19일엔 부산2 · 중앙부산 · 전주 · 보해저축은행 등 4곳이,22일엔 강원도 도민저축은행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전국의 저축은행 수는 104개에서 97개로 줄었다. 왜 이처럼 적지 않은 저축은행들이 한꺼번에 문을...

  • 커버스토리

    예금보험제도, 도덕적 해이와 역선택의 문제 없나

    세계 각국은 금융회사 부실이 전체 금융시스템의 혼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예금 보험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 제도는 '동일한 종류의 위험을 지닌 사람들이 평상시에 돈을 모아 기금을 적립,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는보험의 원리를 예금 상품에 적용 시킨 것 이다. 국민의 소중한 재산이 맡겨져 있는 금융회사가 영업 정지나 파산 등으로 고객에게 돈을 돌려주지 못한다면 국가 경제 질서에 커다란 타격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예금보험제도, 도덕적 해이와...

  • 커버스토리

    '정의란 무엇인가'에 숨은 오류들

    EBS가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의 정의론 강의를 고정적으로 편성해 방영하고,그의 저서인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수십만권이나 불티나게 팔리고 있는 현상은 인기라는 수식어를 넘어 열풍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역시 논술시험의 힘이다. 그러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도전적 제목의 이 책은 매우 조심스럽게 읽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어서 적지 않은 주의도 요구된다. 초심자들에게는 샌델이 제시하는 기준들이 유일하고도 정당한 기준들로...

  • 커버스토리

    공리주의·신자유주의적 접근이 틀리다면…그럼, 샌델이 말하는 해법은 무엇이지?

    샌델이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제기한 도덕철학의 갈등 문제군에 대한 반론들을 한번 살펴보자. 샌델은 이 책에서 다양한 현실의 사례들을 예로 들어 우리들에게 흥미만점의 논리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철학하는 재미를 가르쳐주고 깊이있는 논변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의 책은 누구라도 한번은 읽어봄직 하다. 그러나 문제는 샌델류의 도덕철학이 현실 문제에 있어 그 어떤 구체적 해법도 제시하기 어렵다는데 있다. 공론(空論)이거나 허공에 뜬 논리로 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