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14. 법(Mood) ③ 실전 문제

    가정법 관련 문제 풀면서 배운 내용 총점검! ♣ 법 관련 문제들을 풀어 보며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총 점검해 보도록 하자. 다음 [ ] 안에서 어법상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라. 1.What type of MP3 player [would you buy / would you have bought] if you were free to choose among all the players available? 2. They believe tha...

  • 학습 길잡이 기타

    알맞은 낱말 넣기

    밑줄 친 낱말에 유의하며, 괄호 안에 알맞은 낱말을 넣어 보세요. (가) ①새벽에 어미소는 고삐를 ( ), 외양간을 뛰쳐나왔다. ②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으므로, 고삐를 ( ) 수가 없다. (나) ③새로 산 첼로는 손에 ( ) 않아서, 연주하기가 쉽지 않다. ④축제가 다가올수록 기분이 들떠, 공부가 손에 ( ) 않았다. [ 출처: 지학사,『작문』 교과서 ] [ 답안 ] ① 끊고/풀고 ② 늦출 ③ 익지 ④ 잡히지

  • 학습 길잡이 기타

    9.포준어 다시 보기 : 눈시울

    '붉어진 눈시울'은 어느 곳일까 '눈시울을 붉히고…' '눈시울이 붉어졌다'라는 말을 흔히 쓴다. 그런데 가만 들여다보자. '눈시울'이 대체 어디를 가리키는 거야? 아마 십중팔구는 눈의 흰자위 부분이 붉게 충혈된 모습을 보고 이 말을 쓰는 것 같다. 그렇다면 그곳은 '눈자위'인데? 눈동자 주위의 흰 부분,그 언저리는 분명 '눈자위'다. 하지만 우리는 '눈자위가 붉어졌다'란 말보다 '눈시울…'을 훨씬 많이 쓴다. 우리 몸의 일부이면서도 ...

  • 학습 길잡이 기타

    과공비례(過恭非禮) "귀를 잡수시다"

    "할아버지께서 귀가 먹었는지 말을 잘 못 알아들으시네요." 이런 말을 해놓고 속으로 '버릇없는 말 아닌가'하고 뜨끔해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음엔 이렇게 말해 본다. "할아버지께서 귀가 잡수셨는지 말을 잘 못 알아들으시네요." 우리말은 존대법이 극도로 발달돼 있다. 그 방법도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이것이 우리말을 까다롭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높임의 가장 흔한 방법은 주격조사 '가/이' 대신에 '께...

  • 학습 길잡이 기타

    제16회 논제 : 세력간의 연합

    ▶ 학생글 : 김민수 (한국외대부속외고 2학년) [논제1] 두 제시문은 공통적으로 강자와의 세력 연합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논제2] ① <가><나>에서 제창하듯이 역사적으로 강자와의 연합은 결국 강자에 의해 예속됨을 의미했다. 그러나 강자의 힘에 의해 약자가 좌지우지된다는 주장은,극단적으로 <가>의 동물 세계의 각축전이나 <나>의 전쟁이 난무하던 중세 시대에서나 볼 수 있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13. 법(Mood) ② 기타 가정법

    'I wish' 'as if' 'as though'도 가정법 1. 'I wish' 가정법 'I wish' 가정법 역시 지난 회에 살펴본 'If 가정법'과 구조가 같다. 다시 말해서 소망하는 시점과 소망 내용의 시점이 일치하면 가정법 과거를,소망하는 시점보다 소망 내용의 시점이 한 단계 과거이면 가정법 과거 완료를 쓴다. I wish I were rich enough to buy it. (내가 그것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부자...

  • 학습 길잡이 기타

    '~스럽다'의 발견

    검사1: "노 대통령이 '토론의 달인'이라는 얘기가 있다. 토론을 통해 검사들을 제압하려 한다면 이 토론은 무의미하다." 대통령: "잔재주로 여러분을 제압하려는 것으로 보는 것에 대해 모욕감을 느낀다." 검사2: "대통령이 되기 전에 부산 ××지청장에게 뇌물사건을 잘 봐달라고 했다는데,검찰의 중립을 훼손한 일이라 생각하지 않느냐." 대통령: "이쯤 가면 막가자는 거죠?" 참여정부 출범 초에 마련된 대통령과 평검사들 간 대화의 자리에서 ...

  • 학습 길잡이 기타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그런데 왜 꼬리가 있다고 하는가? ②그런데 왜 달걀에는 털이 있다고 하는가? ③달걀에는 털이 없다. ④또한 두꺼비에는 꼬리가 없다. ⑤달걀이 부화해서 나온 병아리나 닭에 털이 있다. ⑥그 두꺼비가 올챙이일 때만 꼬리가 있다. (출처: 손영식,'혜시의 역물 10사의 논리적 기하학적 분석') ▶ 글쓰기 첫 걸음 정답 : (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