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에도 性이 있다 ③

    변도윤 장관은 이명박 내각의 ○○○이다 # 변도윤 여성부 장관은 이명박 정부의 초대 내각을 구성하는 장관들 가운데 ○○○이다. # 요즘 '알파 걸'들은 공부도 잘하고 리더십도 있고 활력이 넘친다. 어려서 남학생들에게 치인 경험이 없고 직장생활 시작할 때도 남녀 반반 입사하니까 ○○○이란 촌스러운 표현은 아예 모른다. # 롯데카드가 봄부터 시작될 새 광고 모델로 김아중을 등장시킨다. 이로써 카드 광고시장에서 그동안 ○○○이었던 비씨카드의...

  • 학습 길잡이 기타

    45. 서식지

    우리나라에 철쭉 서식지는 없다 <개나리,벚꽃,진달래,목련,철쭉…. 봄을 알리는 전령들이다. 요즘은 철쭉이 한창이라 행락객들의 발길을 설레게 한다. 특히 전북 무주 구천동이나 전남 장흥 제암산,충북 단양 소백산 일대가 철쭉 집단 서식지로 이름 나 매년 5월이면 철쭉제가 열린다.> 여기까지 읽다 보면 사람에 따라 이미 잘못 쓰인 부분을 알아챘을 수 있고 또는 무심코 넘긴 이들도 있을 것이다. 다음 글은 어떨까. <강원도...

  • 학습 길잡이 기타

    6. 주자학의 독단에 희생된 실학사상

    맹자의 '이(利)'는 이용후생과 통한다 ⊙ 맹자의'이(利)'의 입장에 대한 오해 처음 공맹(孔孟) 시대 유학의 목적은 구체적인 현실에서 '경세제민(經世濟民;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을 통해 백성의 삶을 풍요롭고 바람직하게 만드는 것을 정치의 이상으로 삼았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 못지않게 경제적인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진다. 공자(孔子)가 교육에 앞서 백성의 부서(富庶;백성을 부유하게 해 줌)를 말한 것이나 맹...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⑫

    뉴턴의 미적분-「함수」편 ---------------------------------------------------------------- 전통적으로 영국인과 독일인들은 서로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다. 제1,2차 세계대전도 이들 두 나라의 자존심 싸움처럼 전개됐는데,오늘날에는 축구로 그들의 라이벌 의식을 북돋우고,때로는 지나친 응원으로 서로 다치는 불상사도 자주 일어나고 있음을 외신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벌 의식은 1...

  • 학습 길잡이 기타

    33. 신화&전설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② Atlas, Cereal, Echo, Herculean 등

    "'아틀라스'는 배터리? 아니죠. 지도책. 맞습니다" 지난 호에 이어 계속해서 신화나 전설에서 유래된 표현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아마도 대부분이 독자들에게 있어서 여기에 등장하는 신화나 내용은 한 번쯤 귀에 익은 내용들일 것이다. 본 칼럼을 읽다 보면 언어가 이처럼 많은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Atlas Atlas는 지도책을 뜻한다. 하나의 지도는 map이지만 map이 여러 장 합쳐져서 ...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한국엔 광우병이 없다?

    정규재 논설위원·경제교육연구소장 ☞한국경제신문 5월 6일자 A39면 난데없이 한국인 유전자 특질론까지 떠돌고 있다. 한국인은 유전자 특질상 유독 광우병에 잘 걸린다는 것이다. 한국의 유전자 연구가 이렇게까지 발전해 있다는 것이 우선 축하할 일이다. 이번에도 쓰레기 만두며 우지파동으로 국민을 오도했던 그 방송이다. 시민단체를 자처하는 좌파 정치조직들은 대선 패배의 자존심을 회복하기라도 하려는 듯 총공세다. 단순 교통사고를 미군에 의한...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에도 性이 있다 ②

    묘령과 방년, 그리고 약관 #20세기 초 그들 사이에는 계약결혼과 자유연애가 공존했다. 그러면서도 평생 해로한 두 사람, 그들은 바로 실존주의 거장인 사르트르와 페미니즘의 대명사인 보부아르 부부다. 세기의 사랑으로도 유명한 그들이 만난 것은 사르트르가 24세, 보부아르가 21세 때였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 못지않은, 아니 그들을 뺨치는 파란만장한 애정행각을 벌인 우리의 성춘향과 이몽룡이 남원에서 만난 것은 훨씬 어린, 두 사람 다 16...

  • 학습 길잡이 기타

    44. 표시와 표지, 표식

    남에선 '표시', 북에선 '표식' "종로에서 길 위의 노란 동그라미를 보면 지적측량 기준점으로 생각하면 된다. 서울 종로구는 30일까지 측량 기준이 되는 지적삼각점 등에 '시각화 보호표식'을 설치해 지적측량에 활용키로 했다." 최근 일부 신문에 보도된 기사의 한 대목이다. 평범한 문장으로 보이지만 유심히 보면 좀 이상한 단어가 눈에 띈다. 바로 '표식'이다. 한자로 쓰면 '標識'인데,한자를 알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도 이를 '표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