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pop the question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It’s a beautiful night아름다운 밤이야.We’re looking for something dumb to do우린 뭔가 어리석은 짓을 하려고 해.Hey baby, I think I wanna marry you너랑 결혼하고 싶은 것 같아.Is it the look in your eyes,당신의 눈에 비친 모습 때문일까?or is it this dancing juice?아니면 이 술 때문일까?Who cares baby, I think I wanna marry you무슨 상관이야, 너랑 결혼하고 싶은 것 같아.들을 때마다 신나고 설레는 이 노래는 ‘Bruno Mars’의 [Marry You]입니다. 누군가는 ‘결혼은 인생의 무덤’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결혼’만큼 아름답고 또 설레는 단어가 있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해 온 ‘결혼’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다들 아시는 것처럼 ‘결혼하다’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바로 marry입니다. 그런데 marry가 일반적으로 격식적인 말이라면, get married는 비격식적인 말로 흔히 쓰인답니다. 그리고 be married가 결혼의 「상태」를 가리키는 반면에, get married는 결혼의 「행위」를 강조하는 말이기 때문에 ‘결혼하신 지 얼마나 됐어요?’는 How long have you been married?라고 하지만, ‘언제 결혼했어요?’라는 표현은 영어로 When did you get married?라고 해야 한답니다. 또 marry는 기본적으로 타동사이기 때문에 ‘메리는 헨리와 결혼했다’라고 하면 Mary married Henry처럼 뒤에 전치사 to를 쓸 수 없지만, 반대로 get married의 경우에는 전치사 to와 함께 써야 하기 때문에 Mary got married to Henry라고 해야 한답니다.그리고 wed란 단어 역시 ‘결혼하다’라는 뜻이지만, 주로 시어, 신문 표제에 쓰이거나 혹은 the newly weds(신혼부부) 같은 표현 외에는 거의 쓰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연목구어(緣木求魚)
▶ 한자풀이緣:인연 연木:나무 목求:구할 구魚:물고기 어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얻으려 한다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음을 비유-<맹자>전국시대 주나라 신정왕 3년(BC 318)에 맹자는 양나라 혜왕과 작별하고 제나라로 갔다. 동쪽에 있는 제나라는 서쪽의 진(秦), 남쪽의 초(楚)와 더불어 전국시대 제후국 가운데에서도 대국이었다. 당시 50이 넘은 맹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정치론을 설파했다.제나라 선왕(宣王)은 역량이 뛰어난 명군이었고, 맹자는 그에게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맹자는 그의 왕도정치론이 통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하지만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맹자가 말하는 왕도정치가 아니라 부국강병론이었다. 선왕 또한 최대 관심사는 중국의 통일이었다. 맹자와 선왕은 문답을 나눴다. “임금께서는 전쟁을 일으켜 신하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이웃 나라 제후들과 원수를 맺는 것을 좋아하시나요?” “내게 대망(大望)이 있기 때문이오.” “전하의 대망이란 것에 대해서 말씀해 보시지요.” 선왕이 주춤하자 맹자가 슬쩍 낚시를 던졌다. “전쟁의 목적은 의식(衣食)이오니까, 인생의 오락이오니까?” “아니오, 나의 욕망은 그런 것이 아니오.” 이에 맹자가 다그치듯 말했다.“그러시다면 영토를 확장해 진과 초와 같은 대국으로 하여금 허리를 굽히게 하고, 중국 전토를 지배하여 사방의 오랑캐를 따르게 하려는 것이겠지요. 그러나 일방적인 무력으로 그것을 얻으려 하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 같은 것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이옵니다.” “그렇게 어려운 일이오니까.” “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발열'의 발음은 [바렬]? [발렬]?
반년째 이어지는 코로나19는 우리 국어생활에도 많은 것을 돌아보게 하고 있다. 그중에 ‘발열’은 발음과 관련해 주목할 만하다. 이 말을 사람마다 [발녈] [발렬] [바렬] 식으로 들쭉날쭉 발음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만큼 수시로 우리 입에 오르내리는 이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솜이불’ 등 합성어에서 ‘ㄴ’음 첨가돼 발음이 말은 ‘발(發)+열(熱)’의 구조다. ‘열이 남(또는 열을 냄)’이란 뜻이다.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래 구의 구조였으나 우리말 체계 안에 들어오면서 하나의 단어로 굳은 말이다. 그 발음은 [바렬]이라고 해야 맞다. 받침이 밑으로 흘러내린다.‘발열’의 발음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말의 ‘ㄴ’ 첨가 현상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표준발음법(제29항)에서는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뒷말 모음에 ‘ㄴ’ 음을 첨가해 발음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간단히 살피면 “앞말에 받침이 있고, 뒷말이 ‘이, 야, 여, 요, 유’ 음으로 시작하면 ‘ㄴ’ 음이 덧난다”는 얘기다. ‘동-영상[동녕상], 솜-이불[솜니불], 막-일[망닐], 내복-약[내봉냑], 색-연필[생년필], 늑막-염[능망념], 영업-용[영엄뇽], 식용-유[시?뉴], 백분-율[백뿐뉼]’ 같은 게 그 예다.이런 규정은 우리말을 쓰는 사람들에겐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발음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하고자 하는 ‘언어의 경제성’ 원리가 작용한 결과다. 요즘은 발음 교육이 부실한 탓인지 이들을 발음할 때 ‘ㄴ’ 음 첨가 없이 [동영상, 소미불, 마길, 내보갹, 새견필, 능마겸, 영어?, 시?유, 백뿌뉼] 식으로 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받침을 흘러내려 발
-
학습 길잡이 기타
'society'는 다양한 의미로 쓰이죠
To my favorite teacher who told me never give up절대로 포기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던 내가 제일 좋아하던 선생님To my 5th grade crush Who I thought I really loved정말로 좋아한다고 생각했던 초등학교 때 첫사랑To the guys I missed And the girls we kissed보고 싶은 녀석들 키스했던 소녀들Where are you now?지금은 어디에 있나요?To my ex-best friends don’t know how we grew apart어떻게 자랐는지 모르는 어릴 적 베스트 프렌드To my favorite band and sing-alongs in my car차 안에서 흥얼거리곤 했던 좋아하는 밴드To the face I see in my memories기억 속에만 남아 있는 얼굴들은Where are you now?지금 어디에 있나요?Where are you now?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어요.Cause I’m thinking of you왜냐면 지금 당신 생각을 하고 있으니까요.You showed me how to live like I do당신은 나에게 살아가는 법을 알려주었지요.If it wasn’t for you I would never be who I am당신이 아니었다면 난 지금의 내가 아닐 거예요.향수를 자극하는 가사가 매력적인 이 노래는 ‘Honor Society’의 [Where Are You Now]입니다. 보통 honor society는 ‘(미국 학교의) 우등생 단체’를 가리키는 말인데, 꼭 이런 단체가 아니더라도 그 어떤 누구도 society(사회)를 떠나 살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내가 속한 사회 속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소통하고 또 발전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회’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사회’는 기본적으로 society라고 합니다. 그래서 French society는 ‘프랑스 사회’라는 뜻이고, a tribal society는 ‘원시 사회’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honor society처럼 ‘단체’라는 뜻도 있어서 a philanthropic society는 ‘자선 단체’라는 뜻이고, a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九牛一毛 (구우일모)
▶ 한자풀이九: 아홉 구, 모을 규牛: 소 우一: 한 일毛: 터럭 모아홉 마리 소에 털 한 가닥이 빠진 정도라는 뜻대단히 많은 것 중 아주 적은 것의 비유-<한서>한나라 7대 황제인 무제 때 장군 이릉(李陵)은 흉노를 정벌하러 5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출전했다. 열 배가 넘는 적의 군사를 맞아 10여 일간 치열하게 싸웠으나 패하고 말았다.이듬해 뜻밖의 사실이 밝혀졌다. 전쟁 중 죽은 줄 알았던 이릉이 흉노에 투항해 후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것이었다. 분노한 무제는 이릉 일족을 참형하라고 명했으나 중신들은 무제의 얼굴만 살필 뿐 누구 하나 옹호하는 자가 없었다. 사마천이 그를 변호하고 나섰다. “소수의 보병으로 수만의 오랑캐와 싸우다 흉노에 투항한 것은 훗날 황제의 은혜에 보답할 기회를 얻기 위함일 것입니다.” 사마천은 흉노들이 가장 무서워한 이광 장군의 손자 이릉이 목숨을 걸고서라도 나라를 구할 용장으로 믿었기 때문이다.이에 진노한 무제는 사마천을 옥에 가두고 궁형(생식기를 잘라 없애는 형벌)을 내렸다. 남자로서 너무나 수치스러운 형벌이었다. 후세 사람들은 이때의 일을 ‘이릉의 화(李陵之禍)’라고 부른다. 사마천은 옥중에서 친구 임안에게 자신의 참담한 심경을 밝힌 편지를 썼다. “내가 법에 의해 사형을 받아도 아홉 마리의 소 중 터럭 하나 없어지는 것뿐이니, 나와 같은 자가 땅강아지나 개미 같은 미물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리고 세상 사람들은 내가 이런 수치스러운 일을 당하고도 죽지 않았으니 졸장부라고 여길걸세.”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털을 뜻하는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아주 많은 것 중에서 가장 적은 것을 비유하며, 친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북한의 극존칭 어투 '~께서와'
지난 호에 이어 북한말 가운데 특이한 어법을 좀 더 살펴보자. “김정은 동지께서와 문재인 대통령은 회담에 상정된 의제들에 대하여 견해 일치를 보시고 앞으로 수시로 만나….” 2018년 4월 28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남북한 정상 간의 ‘판문점선언’을 전문(全文)과 함께 그 의미를 상세하게 보도했다.체제적 특성이 우리말 용법에 영향 끼쳐주목할 부분은 ‘김정은 동지께서와 문재인 대통령은…’에서 드러나는 어색한 우리말 용법이다. 우리 관점에서는 비문이다. 북한의 유일 영도체제가 국어 어법에 영향을 끼친 모습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북에서는 모든 출판물에 김일성·김정일·김정은과 관련된 얘기가 많이 나온다. 눈여겨볼 것은 이들을 나타낼 때는 언제나 극존칭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수령님께서와 친애하는 지도자 선생님께서는~’ 하는 식이다. ‘와’는 대등한 낱말을 연결하는 조사다. 존칭 조사를 붙일 때는 ‘A와 B께서는’과 같이 뒷말에만 붙이는 게 자연스러운 우리 어법이다. 그러나 북에서는 이른바 ‘최고 존엄’에 대해 항상 극존칭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처럼 부자연스러운 어투라도 써야만 한다. 체제적 특수성이 우리말 표현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볼 수 있다.북한의 언론이나 교과서 등 출판물을 분석해 보면 남한에 비해 전반적으로 문장 구성과 표현 기법이 뒤처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에서는 밀려드는 외래어와 자고 나면 튀어나오는 신조어로 계층 간, 세대 간 ‘소통’을 걱정해야 할 판이지만, 북에서는 폐쇄적 체제 특성으로 말글 발달에서도 지체 현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중복
-
학습 길잡이 기타
You are not alone
Another day has gone I’m still all alone또 하루가 지나가버렸고, 난 아직도 혼자야.How could this be you’re not here with me네가 내 곁에 없다니, 어떻게 이럴 수 있어?You never said goodbye넌 결코 이별이라 말하지 않았잖아.Someone tell me why did you have to go and leave my world so cold누가 좀 말해 줘. 이 차가운 세상에 날 남겨두고 네가 왜 나를 떠나야 했는지.Everyday I sit and ask myself How did love slip away매일 멍하니 앉아 어떻게 사랑이 말도 없이 떠났는지 나에게 묻곤 해.Something whispers in my ear and says that you are not alone그때 뭔가 내 귀에 속삭여, 넌 혼자가 아니라고.For I am here with you내가 여기 네 곁에 있잖아.Though you’re far away I am here to stay네가 멀리 있어도 난 여기 머물러 있어.But you are not alone I am here with you넌 혼자가 아냐, 내가 여기 있거든.Though we’re far apart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You’re always in my heart. You are not alone넌 항상 내 맘 속에 있어. 넌 혼자가 아냐.정말 요즘 같은 시기에 큰 힘이 되는 이 노래는 ‘Michael Jackson’의 [You are not alone]입니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진정한 친구 한 명만 있어도 성공했다는 말을 흔히 합니다. 지금 당신 곁에는 누가 있나요? 그게 누구든 그 사람에게 고마운 마음을 가지며, 그리고 나 또한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며 오늘은 ‘짝’에 관한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한 짝’은 영어로 one of a pair, ‘한 쪽(대응하는 것)’은 counterpart, 그리고 ‘단짝’은 bosom[intimate] friend나, great[close] friend, 아니면 chum이나 crony 같은 단어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짝수’는 even number, 반대로 ‘홀수’는 odd[uneven] number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九死一生 (구사일생)
▶ 한자풀이九: 아홉 구死: 죽을 사一: 한 일生: 날 생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나다수차례 고비를 겪고 간신히 목숨을 건짐-초사(楚辭)전국시대 초나라 정치가이자 이름난 시인 굴원은 학식이 깊고 글재주가 뛰어나 삼려대부라는 높은 벼슬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를 시기하는 간신들에게 모함받아 관직에서 쫓겨났다. 그 뒤 굴원은 좌절과 방황 속에서 불행히 살다 돌을 안고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었다. 그는 평소에 충언을 빙자한 간사함이 임금의 공명정대함을 흐리게 해 진정한 충신들이 미움을 받는 현실을 미워했다.그가 나라와 임금을 걱정하는 충정에서 지은 <이소>라는 글에는 아래와 같은 구절이 나온다. “긴 한숨 쉬고 눈물을 닦으며, 사람 일생에 난관이 많음을 슬퍼하노라내 고결하게 살고 조심한다 했지만 아침에 바른말하다 저녁에 쫓겨났네그래도 내 마음이 선하다고 믿어 아홉 번 죽더라도 후회하지 않으리.”‘아홉 번 죽었다 살아난다’는 뜻의 ‘구사일생(九死一生)’은 이 글에서 비롯했다. 본래는 ‘구사무일생(九死無一生)’, 즉 아홉 번 죽는 동안 한 번도 살아남지 못함을 뜻하지만, 죽을 뻔했다가 간신히 살아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다. 흔히 아홉은 수의 끝을 의미한다. 그러니 아홉 번 죽는다는 것은 수없이 죽는다는 뜻으로도 풀이가 가능하다.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기사회생(起死回生)’은 <여씨춘추> 별류편에 나온다. 노나라 사람 공손작이 “나는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다. 이것은 크나큰 은혜를 베푸는 것이다”고 장담한 데서 비롯됐다. 원뜻은 말 그대로 ‘죽은 사람을 살린다’는 의미지만,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