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彌縫策(미봉책)
▶ 한자풀이
彌 : 두루 미
縫 : 꿰맬 봉
策 : 꾀 책

터진 곳을 임시로 깁는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처리함-《춘추좌씨전》


춘추시대 주나라 환왕(桓王) 13년(BC 707) 때의 일이다. 환왕은 제후국들의 패권 싸움으로 명목상의 천자국으로 전락한 주나라의 위상을 다시 세우고자 정나라를 치기로 했다. 당시 정나라 장공(莊公)은 나라가 날로 강성해지자 천자인 환왕을 노골적으로 무시했다. 환왕은 침공에 앞서 장공의 위세를 꺾고자 왕실 경사(卿士)로서의 정치적 실권을 박탈했다. 장공은 이런 조치에 분개해 조현(朝見: 신하가 조정에 들어가 임금을 배알하는 일)을 중단했고, 환왕은 이를 빌미로 징벌군을 일으키고 제후들에게도 참전을 명했다.

왕명을 받고 진나라 위나라 등 여러 제후국의 군사가 모이자 환왕은 자신이 총사령관이 되어 정나라 정벌에 나섰다. 천자가 직접 자기 군사를 거느리고 싸움에 나가는 자장격지(自將擊之)는 춘추시대 240여 년 동안 전무후무한 일이다. 정나라 수갈에 도착한 왕의 군대는 장공의 군사와 마주했다. 정나라 공자인 원(元)이 장공에게 진언했다. “지금 좌군에 속한 진나라 군사는 국내 정세가 불안해 전의를 잃었습니다. 하오니 먼저 진나라 군사부터 공격하십시오. 그러면 진나라 군사들이 달아날 것이고, 환황이 지휘하는 중군은 혼란에 빠질 것입니다. 그럼 채나라의 우군도 맞서지 못하고 퇴각할 것입니다. 이때를 노려 중군을 치면 승리는 우리 것입니다.”

원의 진언은 적중했다. 장공은 물고기들이 떼를 짓는 것처럼 촘촘한 원형의 진을 쳤고 전차와 전차 사이의 틈은 보병으로 미봉(彌縫:두루 메움)했다. 결국 왕군은 대패하고 환왕은 어깨에 화살을 맞고 물러났다.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얘기로, 원래 미봉은 두루 꿰매듯이 빈 공간을 메우는 생각이나 꾀라는 뜻으로 쓰였다. 오늘날에는 뜻이 변형되어 옷 따위의 터진 곳을 실로 임시로 깁듯이 실수나 잘못된 것을 대충 가리고 적당히 넘어간다는 의미로 쓰인다.

작가/시인
작가/시인
어떤 과오를 미봉으로 적당히 넘어가면 그 잘못을 다시 반복하기 쉽다. 일은 근본을 살펴서 대책을 세워야 허술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