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write'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
Never wonder what I’ll feel as living shuffles by 내 사랑의 미래를 의심하지 마세요. You don’t have to ask me and I need not reply 물어볼 필요도 없고 내가 대답할 필요도 없어요. Every moment of my life from now until I die 지금부터 내가 죽는 그 순간까지 I will think or dream of y...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전전긍긍 (戰戰兢兢)
▶ 한자풀이 戰: 싸움 전 戰: 싸움 전 兢: 떨릴 긍 兢: 떨릴 긍 맨손으로 범을 잡을 수 없고 걸어서는 강을 건너지 못하네.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고 있지만 그외 것은 아무것도 모르고 있네. 두려워하고 조심하기를(戰戰兢兢) 마치 깊은 못에 임한 듯하고 살얼음 위를 걷는 듯하네. 공자가 편찬한 <시경> 소아편 ‘소민(小旻)’의 마지막 구절이다. 임금이 간신에 둘러싸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것을 풍자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발생되다'는 잘못…'~일어났다', '~생겼다'가 더 좋죠
집 근처 족발집은 맛이 좋아 늘 손님이 붐빈다. 어느날 가게 앞에 안내문이 붙었다. 그 문구가 좀 이상하다. ‘품절현상이 자주 발생됩니다.’ 이런 문장은 우리말을 과학적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게 쓴 게 아니다. 그저 한자어에 휩쓸려, 거기에 말을 맞춰 만든 어색한 표현일 뿐이다. ‘품절됐다’보다 ‘동났다’가 자연스러워 우리말을 비틀어 쓰는 사례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우...
-
학습 길잡이 기타
'Fall'을 사용하는 표현들
I don’t know you 난 당신을 몰라요. But I want you All the more for that 하지만 그래서 더욱 당신을 원해요. Words fall through me 이해 못할 말들이 나를 지나고 And always fool me 항상 나를 바보로 만들죠. And I can’t react 그리고 난 대꾸할 수가 없어요. And games that never amount to mor...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백년하청 (百年河淸)
▶ 한자풀이 百: 일백 백 年: 해 년 河: 물 하 淸: 맑을 청 춘추시대 정나라가 위기에 처했다. 초나라의 속국 채나라를 친 것이 빌미가 돼 초나라의 보복 공격을 받게 된 것이다. 정나라 대부들이 대책을 논했으나 의견이 팽팽히 갈렸다. 강대국 초나라와 맞설 수 없으니 화친을 맺어 백성을 살리자는 주장과 화친을 맺는다는 것은 초나라의 속국이 된다는 것이니 끝까지 싸우면서 진나라에 구원을 청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다. 양측 모두 일리 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자갸'는 표준어, '자기'의 높임말이죠
10월은 유난히 한글과 우리말 발전에 기념비적인 날이 많은 달이다. 우선 지난 9일이 제573돌 한글날이었다. 세종대왕이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3년 뒤인 1446년 이를 반포했다. 그것을 기념하는 날이 지금의 한글날이다. 훈민정음 반포일이 음력으로 ‘9월 상한’이라는 기록(훈민정음해례본)을 토대로 이를 양력으로 환산해 정해졌다. ‘조선어 표준말 모음’으로 우리말 바로 세워 조선어학회에서 &...
-
학습 길잡이 기타
'유령'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
Oh my love, my darling 오, 사랑하는 그대여. I’ve hungered for your touch along lonely time 정말이지 오랫동안 당신이 그리웠어요. And time goes by so slowly 너무나 외로운 긴 시간이었어요. and time can do so much 시간은 너무도 안 가더군요. are you still mine? 당신은 아직도 날 사랑하나요? I need y...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문일지십 (聞一知十)
▶ 한자풀이 聞: 들을 문 一: 한 일 知: 알 지 十: 열 십 세계 4대 성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자는 인(仁)을 강조한 유가(儒家)의 창시자다. 그의 유가적 사상은 특히 동양적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 주역, 시(詩) 등에도 두루 조예가 깊었다. 제자가 3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자들의 재주도 각자 달랐다. 누구는 학문에 뛰어나고, 누구는 언변이 좋았고, 누구는 장사에 밝았다. 자공(子貢)은 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