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난해한 함수 관계, 국어 능력 신장을 위해 넘어야 할 산!
기업 입장에서 한계비용은 상품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 추가로 드는 비용이며, 한계수입은 상품을 한 단위 더 생산해 판매할 때 추가로 얻는 수입이다. 완전경쟁시장에 있는 기업이라면 상품의 시장 가격 그 자체가 한계수입이 된다. <중략> 기업이나 소비자는 시장에서 결정된 상품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며 이 가격이 기업의 한계수입이 된다. 상품을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져 시장 수요가 증가해 상품 가격이 오른다면, 한계수입도 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鳴驚人(일명경인)
▶ 한자풀이 一 : 한 일 鳴 : 울 명 驚 : 놀랄 경 人 : 사람 인 새가 한 번 울면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시작하면 큰일을 함을 비유 - <사기(史記)>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위왕(威王)은 30세가 채 안 된 젊은 나이에 즉위했다. 그는 국사를 팽개친 채 매일 주연을 벌였으며, 밤을 새우는 일 또한 잦았다. 조정에 나갈 즈음에야 겨우 잠자리에 들기도 했지만, 신하들은 서슬 퍼런 왕을 어쩌지 못했다. 이렇게 3년...
-
학습 길잡이 기타
팔색조 처럼 다양한 의미 지닌 단어 'home'
My name is Remi. Until I was eight years of age, I had lived with my mother. Mother used to take my feet between her hands and warm them, while she sang to me. If a storm came on while I was out looking after our cow, she would run down the lane to m...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仁者樂山(인자요산)
▶ 한자풀이 仁 : 어질 인 者 : 놈 자 樂 : 좋아할 요, 즐길 락 山 : 뫼 산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이는 물을 좋아한다와 함께 쓰임 - <논어> 공자의 가르침의 핵심은 인(仁)과 예(禮)다. 인은 마음에 품어야 하는 따뜻한 심성이다. 공자 사상을 이어받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이다. 인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이른바 성선설의 바탕이기도 하다.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전세(傳貰)'와 '전세(專貰)'
도무지 멈출 줄을 모르는 ‘전셋값’ 오름세는 서민의 삶을 힘들게 하지만, 우리네 말글살이에도 곤혹스러움을 안겨준다. ‘값’은 본래 물건을 사고팔 때 치르는 대가를 말한다. 1957년 완간된 <조선말 큰사전>(한글학회) 때까지만 해도 그랬다. 지금은 ‘값’의 용법이 10여 가지는 된다. 의미가 더해지면서 말의 쓰임새가 확대됐다는 뜻이다. 전셋값과 전셋돈은 달라&helli...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전셋값'을 어찌할까요
연초부터 쌀값, 기름값 등 생활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는 소식이다.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5억6702만원으로, 새 임대차법 시행 직전인 지난해 7월 말에 비해 1억원 가까이 올랐다. ‘전셋값 상승’은 지난 한 해 수시로 입에 오르내리며 서민 가계에 주름을 깊이 지게 했다. ‘값’은 원래 돌려받지 못하는 돈 그런데 ‘전셋값’이란 말은 잘 ...
-
학습 길잡이 기타
shoot는 '쏘다' '새싹'…단어 의미, 문장으로 배워야
Once there was a tree and she loved a little boy. And every day the boy would come and he would gather her leaves and make them into crowns and play king of the forest. He would climb up her trunk and swing from her branches and eat apples. And they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양반들이 어부(漁父)가 된 이유는?
석양(夕陽)이 비꼈으니 그만하고 돌아가자 돛 내려라 돛 내려라(이하, 후렴구 생략) 버들이며 물가의 꽃은 굽이굽이 새롭구나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이하, 후렴구 생략) 삼공(三公)을 부러워하랴 만사(萬事)를 생각하랴 <춘(春) 6> 궂은 비 멎어 가고 시냇물이 맑아 온다 낚싯대 둘러메니 깊은 흥(興)을 못 금(禁)하겠다 연강(煙江) 첩장(疊)*은 뉘라서 그려낸고 <하(夏) 1> 물외(物外)에 조 일이 어부 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