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 바람직한 어휘 학습법 개요 (2)

    지난 호에 이어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8가지 방법의 나머지 부분을 소개한다. 3.Stems and Affixes 어근을 통한 어휘 학습은 해롤드 레빈(Harold Levine)이 쓴 'Vocabulary 22000' 이후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이 방법은 어휘의 기원이나 변천 등을 분석하여 과학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뛰어나다. 예를 들어 책에서 'embellishment'라는 단어를 발견했다고 하자. 쉽...

  • 경제를 알기위해 '실험실'에 들어가 보자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처한 현실은 과거로부터의 연속선 상에서 어떤 과정의 반복과 진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서는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먼저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또한 무엇인가 교훈을 얻어 미래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경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오늘 우리가 처한 경제적 현실을 제대로 파악해야 올바른 방향으로 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 경제현실을 제대로...

  • 소천-입적-선종

    '어윤배 전 숭실대 총장이 소천받았다.'(2002년 10월28일) '덕명 스님이 입적했다.'(2003년 12월3일) '교황께서 선종했다.'(2005년 4월3일) '소천 입적 열반 선종….' 모두 죽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 외에도 '사망 별세 타계 서거 운명 비명 붕어 승하' 등 우리말에는 죽음을 나타내는 말이 많다. 고유어로는 '죽다'에서부터 '숨지다,돌아가시다,세상을 뜨다,숨을 거두다' 등 다양하게 표현된다. 뜻은 모두 한가지지만 각각...

  • 1. 바람직한 어휘 학습법 개요 (1)

    영어를 강의하는 필자가 사람들을 만날 때 가장 많이 접하는 질문은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나요?"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막연하게 "가능한 한 영어를 많이 접할 기회를 갖고,많이 읽고,많이 들어보라"는 식으로 답변하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본다. 질문을 한 당사자는 나름대로 매우 절박한 상태에서 전문가의 조언을 얻고자 한 것이고,나는 전문가에 걸맞은 구체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시해 줄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

  • '와사등' 이란 말 아세요

    낭만,독일,와사등,아관파천,보불전쟁,영란은행….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취음어(取音語)다. 이들 중 안 써도 될 말은? 와사등과 영란은행이다. 아관파천(俄館播遷)은 개화기 러시아와 일본의 각축 속에 고종과 세자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 거처한 비극적 사건을 말한다. 여기서 '아관'은 '아라사공관'을 뜻한다. 아라사(俄羅斯)는 러시아를 가리키는 말로,줄여서 아국(俄國)이라고도 했다. 또 이를 로서아(露西亞)라고도 했다. 이런 표...

  • 기업 인수해 놓고 보니 '빈껍데기'

    현실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어떻게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미시경제학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는 정보경제학이다. 앞에서 우리는 역선택이라든가 도덕적 해이 등의 문제가 정보의 불균형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현상임을 배웠다.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경매도 정보의 불완전성 때문에 가능한,정보경제학의 중요한 연구대상 분야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경매는 경매대상이 되는 물건의 가치가 골동품이나 그림과 ...

  • 대학별 논술고사 '키 포인트'

    [ 경희대학교 ] 논술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논술 가이드 라인의 적용을 받아 영문 제시문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제시문의 길이도 지난해에 비해 다소 짧아졌으며 개수도 2개에서 5개로 늘었다.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서양인의 다양한 시각과 현재 우리 모습을 비교 분석하고,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인 상'을 제시하도록 문제를 출제했다. 우리 사회의 문제를 다루되 시의성 짙은 제재를 선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

  • 2006 대학 정시모집 논술고사 특징 무엇인가

    지난 3일 이화여대 논술고사를 시작으로 각 대학에서 정시모집 논술고사를 실시하고 있다. 물론 아직 많은 대학의 논술고사가 남아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논술고사를 치른 대학의 논술문제를 통해 대략적인 출제 경향을 파악해 보려는 시도는 앞으로 논술고사를 치러야 하는 학생들이나,2007 논술고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경희대 고려대 부산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인문) 문제를 중심으로 올해 정시 논술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