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집에와서 TV부터 켜는 당신,혹시 TV 중독자?
지난 7일 저녁, TV를 켜니 프로그램 대신 파란색 화면만 보였다. 잠시 뒤에 단지 내 기계실에 이상이 생긴 듯하여 확인하러 갔더니 조금만 기다려 달라는 안내방송이 들려왔다. 하지만 얼마 후 단지 내에서만이 아니고 대전시 전체가 나오지 않는다며 조금만 더 기다려 달라는 안내방송이 흘러나왔다. 조금만 있으면 나온다는 소리에 거실을 아무 생각 없이 걸어다녔다. 결국 처음 TV를 튼 후 30분이 지나서 다시 프로그램들이 나온다는 안내방송이 나...
-
경제 기타
10대 '묻지마 로우킥 ···청소년들의 윤리의식은 어디 갔을까?
14세 여중생이 아무런 이유 없이 6살 남자아이를 걷어차 넘어뜨린 영상이 언론에 보도되어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 사건은 경기도 고양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지난 14일 언론에 보도된 뒤 '10대 로우킥'이라고 불리며 인터넷 포털 사이트 검색어 순위에 오르고 있다. CCTV에 여학생 두 명과 한 남자아이가 잡힌다. 그중 한 여학생이 계단 쪽으로 달려가던 아이를 갑자기 걷어찬다. 놀란 아이는 계단 위로 도망친다. 이를 보고 두 여학생...
-
경제 기타
새로워진 '기아 체험24시간' 더 분발해보아요!
국제구호개발기구 월드비전이 올해 '기아체험 24시간' 행사를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했다. 전체 참가자 1만여 명과 봉사자 1000여 명이 함께 한 이번 행사는 지난 13,14일 양일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치러졌다. 기아체험 행사는 1975년 호주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행사다. 30시간, 40시간 등 국가마다 시간은 다르지만 참가자들은 일정 시간 굶으면서 전 세계 기아들의 심정을 느껴본다. 국내에서는 1993년부터 '...
-
경제 기타
녹색성장을 기원하는 시민 만평전…“지구를 살립시다”
지난 12일과 13일, 이틀에 걸쳐 G20 서울 정상회의가 성공리에 진행되었다. 그간 세계 경제의 주된 화두였던 환율 문제에 대한 국제공조와 금융안전망 구축 등에 대해 쉽지 않은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새로운 세계 경제 질서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각 나라의 정상들이 모이고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은 G20 서울 정상회의 기간에 맞춰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선 '지구를 살립시다(Save The Earth)'라는 주제로 시민 만평전이...
-
커버스토리
테샛, 국가공인 1호 경제이해력 시험으로 '진화'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경제이해력검증시험 테샛(TESAT · Test of Economic Sense And Thinking)이 국가공인을 취득했다. 경제이해력을 평가하는 분야에서 1호 국가공인 시험이 탄생한 것이다. 이번 국가공인으로 테샛은 오는 21일 시행되는 9회 시험부터 국가공인 성적표를 발급하게 된다. 9회 테샛은 홈페이지(www.tesat.or.kr)에서 15일(서울 수도권,춘천,제주는 18일)까지 접수 받는다. 테샛은 국민 ...
-
경제 기타
연세대, 내년부터 점수 불문 '창의 인재' 전형 도입
내신· 수능 완전 배제 ··· 1시간 자유면접만으로 뽑아 연세대(총장 김한중)가 2012학년도 입시부터 내신과 수능 성적을 완전히 배제하고 장시간 면접에 기초한 창의성 평가로만 신입생을 뽑는 전형을 도입한다. 연세대는 내년부터 1시간 동안 교수와 입학사정관 면접으로 30명을 선발하는 '창의 인재' 전형을 신설한다고 10일 밝혔다. 연세대는 애초 면접 중심의 입학사정관제 전형에도 내신 등의 조건을 걸었으며,이처럼 점수 자체를 배제한 전형은 ...
-
경제 기타
'G20 신흥 11 國' 성장률 6.8% 등
⊙ 'G20 신흥 11 國' 성장률 6.8% 향후 10년간 G20 내 신흥 11개국의 연 평균 성장률이 선진국에 비해 3배 이상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0일 '신흥경제권의 지속성장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내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브라질 등 G20 내 11개 신흥국의 연 평균 성장률은 6.8%에 이를 것"이라며 "이는 G20 내 유럽연합(EU)을 제외한 8개 선진국의 연 평균 성장률 전망...
-
경제 기타
“인재대국 되려면 모든 학생들에게 '생각기술' 가르쳐라”
'스마트경제' 용어 만든 월터 더즈코 토론토대 교수 / 인터뷰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월터 더즈코 교수는 몇 차례 '히트'를 친 미래학자다. '스마트 이코노미'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1990년대 중반이었다. 이후 스마트폰,스마트홈 등 스마트를 붙인 각종 용어들이 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그의 블로그 카테고리 중 88개는 스마트 디자인,스마트칩,스마트 우주기술 등 '스마트' 개념을 활용한 것이다. 2005년에는 글로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