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한국 GDP, 2018년 日 따라잡는다 등
⊙한국 GDP, 2018년 日 따라잡는다 '삶의 풍요로움'을 나타내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 구매력 평가 기준)에서 아시아 신흥개발국들이 일본을 맹추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6일 전했다. 대만은 올해 약 3만3800달러로 일본을 제칠 전망이다. 한국은 최근 10년 사이 약 80%가량 증가,일본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 엔고 등으로 인해 명목기준 1인당 GDP는 일본이 아직 높지만 아시아 주요국들은 생산성이 높은 제조...
-
경제 기타
대학 구조조정 급물살…'무늬만 대학' 솎아내나
정부 학자금 대출제한 대상 30개 부실대학 명단 첫 공개 부실대학들이 구조조정 한파에 떨고 있다. 교육당국이 구조조정을 위한 칼을 빼들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갈수록 학생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등록금으로 근근이 버텨온 '한계 대학'들이 벼랑끝까지 내몰리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최근 공개한 부실대학의 실상은 충격적이다. '대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교육여건이 엉망이었다. 교과부는 이번 기회에 해묵은 과제인 부실 대학...
-
커버스토리
제멋대로 법을 만드는 것도 법치주의를 해친다
물질만능·연고주의, 법 의식 약화시키는 독버섯 현대판 음서 논란을 불러일으킨 외교통상부 고위 관료 자녀의 특혜성 취업은 우리 사회에 법치의식이 얼마나 뒤떨어져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왜 우리에겐 지도층이건 일반 시민이건 법치의식이나 윤리의식이 부족한 것일까. 그건 우리 국민들이 타고날 때부터 공공의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법이나 윤리를 지키지 않아도 되는,한걸음 나아가 법을 지키면 오히려 손해를 보면 사회적 시스템 때문이다. ...
-
커버스토리
'경쟁'은 사람들을 노력하게 만드는 원동력
시장 경제에서 허용될 수 있는 공정한 경쟁은 무엇일까. 이에대해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경쟁당국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은 '시장의 힘이 자유롭게 작동해 총경제후생(total economic welfare)을 최대화 하도록 희소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정되게 만드는과정'을 경쟁이라고 정의한다. 경쟁의 결과로 단하나의 기업만 살아남더라도 시장의 힘이 자유롭게 작동한 결과라면 제대로 된 경쟁이라는 것이다. 반면 EU는'경쟁자 없 는경쟁...
-
경제 기타
햇살 드는 스웨덴 경제… "과거 경제위기에서 교훈 얻었다"
1990년대 과감한 재정 개혁…제조업 경쟁력 키워 빠른 경기 회복 유럽 각국이 경기 침체와 재정적자라는 두 가지 악재로 허덕이지만 스웨덴에는 딴 나라 얘기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 국가들이 겪는 공통된 악재가 없다. 경기 침체와 재정적자를 모두 잡았기 때문이다. 스웨덴은 경기 침체에서 빠르게 회복하고 있으며 오히려 경기 과열 우려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에 돌입한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9일 "스웨덴이 튼튼한 재...
-
과학 기타
우리 몸속 세포의 움직임을 훤히 들여다보는 '사이토믹스'
공초점 현미경 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세포의 변화 분석 인체는 약 100조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다. 각 세포는 약 30억개의 염기쌍을 갖고 있으며, 수만 개 유전자에서 유래한 단백질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활성화되거나 억제되면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세포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면 인간은 건강하게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단백질의 활성도나 상호작용에 문제가 생기면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 구성 단백질의 기능 연구는 인...
-
경제 기타
(21) 과점 시장
과점시장은 소수의 공급자만이 존재하는 시장이다. 휴대폰,설탕,소주,인터넷통신망,껌,주유소…. 앞에서 열거한 재화들의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열거한 제품들이 거래되는 시장 환경이 과점시장이라는 점이다. 독점과 완전경쟁을 양극단에 두고 시장의 형태를 분류하자면,지난 시간에 논의한 독점적 경쟁시장은 완전경쟁에 가깝지만 독점의 성격을 다소 갖고 있는 시장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과점시장은 독점에 가깝지만 경쟁의 성격을 다소 갖고 있는 시...
-
경제 기타
북한에 쌀 지원하는 것이 옳을까요.
찬 "인도적 차원과 남북관계 해빙 위해서도 필요" 반 "북한측 사과없이 무작정 쌀을 보내선 안돼" 북한이 남북 간 적십자 채널을 통해 쌀과 중장비,시멘트를 지원해줄 것을 요청해 옴에 따라 북한에 쌀을 지원하는 문제가 본격 논의되고 있다. 천안함 사태 이후 대치 상태를 지속해 온 남북은 북한이 최근 큰 수해를 입은 것을 계기로 조금씩 대화모드에 접근하고 있다. 우리 측은 지난달 26일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대북 수해 지원을 제의한 데 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