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도마위에 오른 'KAIST식 교육'···“수업방식 바꿔야” vs “개혁 지속” 팽팽
징벌적등록금·'영어강의논란' ···'서남표 리더십' 기로에··· '과학 수재'들이 다니는 KAIST가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올 들어 학생 4명과 교수 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학사운영과 학생관리 방식이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숨진 학생과 교수의 사연이 저마다 달라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한 학교에서 이처럼 연달아 비극이 벌어진 것은 유례를 찾기 힘들어 많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한쪽에서는 서남표 KAIST 총장의...
-
경제 기타
"성장보다는물가잡기가 먼저"…유럽·아시아 국가들 줄줄이 금리인상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 심각…“성장 발목 잡는다” 우려도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각국이 금리 인상에 나섰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 예금이자와 대출이자가 오른다. 사람들은 소비보다는 저축을 선호하게 된다. 결국 시장에 풀리는 돈이 줄어들고 이는 제품,서비스 등 재화에 대한 수요 감소를 초래한다. 각국이 금리를 인상한 것은 경제 성장보다는 물가 안정에 무게를 두겠다는 뜻이다. 최근 석유 곡물 비철금속 등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
-
경제 기타
시장경제 시스템을 최초로 구축한 로마인들
오늘날과 같이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제도들이 있다.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전개하게 만들어준 가장 기초적인 원동력이 된 사유재산제도라든가,값싼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공급해 주는 회사를 손쉽게 설립할 수 있게 만들어준 주식회사제도 등이 그런 예시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일련의 제도들이 근현대에 와서야 도입된 것으로 알고 있으나,현재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많은 제도는 이미 로마인들이 도입...
-
경제 기타
고액권 발행 다시 생각해봐야 할까요.
찬 “ 범죄 · 불법자금으로 악용돼 지하 경제 창궐 ” 반 “ 화폐 단위가 범죄와 탈세 키우는 건 아니다 ” 전북 김제의 한 마늘 밭에서 불법 인터넷 도박 수익금이 5만원 짜리 뭉치로 무려 110억원이나 발견되는 일이 발생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최고액권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시중에 5만원권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돌고 있다. 누군가가 범죄나 불법 상속 등의 용도로 5만원권을 은닉하는 경우가 늘...
-
경제 기타
KAIST '차등등록금제' 없애야하나
생글 포커스관련 찬반토론 찬 '채찍'만 때리면 '당나귀'는 움직이지 않는다 최근 카이스트 자살문제가 뜨거운 감자다. 현재 이공계 지원자 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악영향을 끼쳤으며 차등 등록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왜 대한민국에서 공부 잘한다는 아이들이 모인 '카이스트'에 자살이 생겼을까. 차등 등록금제도란 성적에 따라 등록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겉으로 보면 등록금 때문이라도 열심히 공부하며 경쟁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는다고 생각...
-
경제 기타
(7) 아그리파와 로마의 상하수도
아우구스투스의 참모 '아그리파' 사재 털어 수로 보수…정치 안정 이끌어 로마는 하루아침에 지어진 것이 아니다. 100만명이 모여 사는 거대 도시 로마,유럽과 북아프리카의 광대한 지역을 포괄하는 제국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50m 높이의 3단 아치 구조를 한 프랑스 남부의 퐁뒤가르 수로교(水路橋)나 영국의 배스에 있는 로마목욕탕 같은 것들은 상하수도 기반시설이 제국 전체에 걸쳐 얼마나 잘 갖춰져 있었는지 보...
-
경제 기타
역외탈세 등
백기 든 조세 피난처… '은행 비밀주의'의 종언? 역외탈세 ☞ 흔히 세금은 '필요악(必要惡)'이라고한다. 오죽하면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자민 프랭클린이 "인간에겐 피할 수 없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죽음이고 다른 하나는 세금이다"라고 했을까. 세상에서 세금을 내고 싶어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세금을 내지 않으려는 심리는 종종 K씨처럼 탈세의 유혹을 받게 된다. K씨가 탈세에 사용한 수법은 세금의 천국으로 불리는...
-
커버스토리
公約의 딜레마··· 무조건 지켜야 한다?
민주주의는 오늘날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정치제도로 자리매김해 있다. 국민 개개인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선거권을 행사해 국가의 최고지도자와 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을 뽑는다. 투표를 통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중대한 결정에 참여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들은 입법-행정-사법의 3권 분립으로 최고 권력에 대한 견제 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완벽한 제도인 건 아니다. 고대 그리스의 직접 민주주의는 중우정치로 몰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