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학점 인플레이션 여전 등
⊙ 학점 인플레이션 여전 일반대학 재학생의 74%는 B학점 이상을 받는 등 대학가의 학점 인플레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1일 전국 192개 4년제 일반대학의 '2010학년도 재학생 교과목별 성적평가 결과 및 졸업생 졸업평점평균'을 대학알리미에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4년제 일반대 190개교 재학생이 각 교과목에서 딴 학점은 A학점 37.8%, B학점 36.2%로 B학점 이상 학생비율은 7...
-
경제 기타
日 방사성 물질 바람타고 한반도로… 인체 영향 없다지만 그래도 혹시?
요오드·세슘 등 검출·이동경로 주목 한국에서도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물질이 연달아 검출되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인체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미미한 수치라 도처에서 나오는 불확실한 정보 때문에 생글 독자들은 전혀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편서풍대'에 속해 있어 안전하다던 한반도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는 점에서 방사성 물질의 이동 경로에 주목할 필요는 있다. ⊙ 제논에 이어 요오드 세슘 검출 ...
-
커버스토리
인구가 줄어들면 집값이 떨어진다?
주택 구입 주연령층 35~54세 인구감소세로 전환 "1인 가구 늘어 日 같은 버블 붕괴는 없을것"반론도 인구가 감소하면 주택시장도 큰 영향을 받는다. 주택 가격은 기본적으로 주택의 수요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주택 수요의 큰 변수인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 주택가격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주택 가격은 잠시 안정세를 보이는 기간도 있었지만 1960년대 이후 줄곧 오름세를 보여왔다. 특히 서울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물가상승률 몇 배씩...
-
커버스토리
인구 구조가 변하면 경제가 바뀐다
생산 가능인구 1%줄면 성장률 0.8%P 감소 고령사회 진입 땐 GDP 증가율 2%대로 추락 ⊙ 인구의 변화 인류 역사를 돌이켜 보면 불황이나 전쟁 등으로 경제 여건이 나빠졌을 때 출산율이 떨어지지만 반대로 경기가 호전되고 식량 사정이 개선될 때는 출산율이 높아지는 게 일반적이다. 또 전쟁과 같은 사태로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 전쟁이 끝난 후 종족 보존을 위해 출산을 늘리는 경향도 나타난다. 미국이나 일본 유럽은 2차 세계대전 이후,우...
-
경제 기타
日 대지진 쇼크로 原電시대 끝난다고?… 글쎄, 그럼 대안은 뭐 있나?
세계전력의 13.5%차지… 불신 커졌지만 포기 가능성은 낮아 "일본 원전 폭발 사고로 원전의 시대는 끝났다. " (제레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 "자연재해처럼 인간이 막을 수 없는 것이 물론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의 원전 건설 계획과 일정에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다.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를 계기로 글로벌 원전 산업이 기로에 섰다. 간 나오토 일본 총리...
-
경제 기타
'빌리 엘리어트'와 영국 광부 파업
빌리는 잉글랜드 북동부 더럼 카운티(County Durham) 에버링턴(Everington) 마을에 살고 있는 11살 소년이다. 빌리의 어머니는 이미 세상을 떠난 지 오래이며,아버지 재키 엘리어트와 형 토니가 빌리를 돌보고 있다. 광부인 아버지와 형은 현재 파업 중에 있다. 파업으로 임금을 받지 못하는 아버지는 어려운 형편에도 빌리에게 매일 50펜스씩을 주어 스포츠센터에서 권투를 배우게 한다. 하지만 빌리는 권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우...
-
경제 기타
(5) 지중해 문명의 상징 올리브
올리브 나무가 키운 아테네 문명 기름 수출해 부족한 식량수입 지중해 교역·경제 중심지로 성장 어느 날 신들의 모임에서 아테나 여신과 포세이돈 신은 서로 아티카 지방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고 있었다. 포세이돈은 '무거운 마차를 끌 수 있고 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잘생기고 힘센 말'이 깊은 바다에서 튀어나오도록 했다. 그러자 아테나는 신전의 바위 뒤에서 '밤에도 세상을 밝혀주고,상처를 낫게 해 주며,맛이 진하고 원기를 주는 귀한 음식을 ...
-
경제 기타
전·월세 상한제 시행해야 할까요.
찬 “ 집 없는 서민들 주거비 고통을 덜어줘야” 반 “전세난만 부추길 뿐 문제해결에 도움 안돼” 전셋값 급등세가 지속되자 전세나 월세 가격을 올릴 때 일정한 제한을 하자는 소위 '전 · 월세 상한제' 도입 필요성을 두고 찬반이 갈리고 있다. 전 · 월세 상한제는 원래 야당이 주장해왔다. 2009년부터 민주당에서 상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고 올초 당론으로 확정했다. 반면 여당인 한나라당은 시장경제 질서를 왜곡하는 가격통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