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경쟁국은 온실가스 감축 미루는데···우리도 속도조절을”
일본은 대지진 여파로 Co2 감축 목표포기 일본이 3 · 11 대지진 여파로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25% 줄인다는 목표를 포기하자 우리나라도 2015년부터 전면 도입하기로 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서 온 일본이 궤도를 수정한 데다 유럽연합(EU)이 흔들리고 미국과 중국 등은 여전히 소극적인 마당에 한국이 앞서 나갈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
경제 기타
주5일 수업 전면실시안 마련 등
◎ 주5일 수업 전면실시안 마련 교육과학기술부가 현재 격주로 시행되는 주5일 수업을 전면 확대하는 방안을 올 상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교과부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6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교섭 · 협의 내용에 대한 조인식을 갖고 주5일 수업 확대 방안 등 47개 사항이 담긴 합의서에 서명했다. 교과부는 이 자리에서 주5일 수업 전면 실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육적 · 사회적 기반 구축 및 국민 공감대 형성 등을 감안해 ...
-
경제 기타
기름값 인하 정부 압박에 백기든 정유사··· 시장원리 무시한거 아냐?
SK에너지·GS칼텍스 등 ℓ당 100원씩 내리기로 지난 3일 국내 정유업계 1위인 SK에너지는 전격적으로 7일부터 전국 모든 SK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을 ℓ당 100원씩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한 금액 중 SK가 ℓ당 100원을 카드사에 대신 지급하고,카드사는 소비자에게 이를 뺀 금액만큼 청구하는 방식이었다. 다음날 GS칼텍스는 관련 시스템이 갖춰지는 대로 할인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에...
-
커버스토리
지키지도 못할 ' 空約 ' 너무 많아요!
수십조원 들어가는 대형 국책사업 공약후유증 매니페스토 운동 등 참여로 감시의 눈 부릅떠야 "공약은 유권자에게 한 약속이므로 반드시 지켜야 한다" "현실성이 없는 공약이라면 뒤늦게라도 포기해야 한다. " 선거 공약의 이행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이렇게 둘로 나뉘는 경향이 있다. 전자는 유권자들이 공약을 믿고 투표한 만큼 공약대로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는 논리를 담고 있다. 반면 후자는 공약은 공약일 뿐 선거 후 사업타당성이 없다면 철회하는 ...
-
커버스토리
민주주의 한계 드러내는 투표의 역설
" 인간의 행동이 늘 합리적인 건 아니다" ◎ 콩도르세의 '투표의 역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폴리스에서 유래된 민주주의(Democracy)는 그리스어 데모스(Demos · 시민)와 크라티아(Kratia · 권력 또는 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Democratia,시민에 의한 지배)가 그 어원이다. 왕이나 귀족이 아닌 시민이 주권자가 돼 스스로를 통치한다는 뜻이다. 철학자인 칼 포퍼는 "민주주의는 피를 흘리지 않고 선거를 통해 정부...
-
경제 기타
브라질·홍콩·싱가포르 '新 트로이카'로 헤지펀드 몰린다
자산규모10억弗이상 '큰손' 헤지펀드 1년새 2배로늘어 글로벌 헤지펀드 산업의 중심지가 이동 중이다. 과거 미국과 유럽에서 최근 아시아와 중남미로 중심추가 움직이고 있는 것. 홍콩,싱가포르,브라질 상파울루는 헤지펀드 매니저들로 북적거린다. 고성장과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시장을 찾는 헤지펀드의 특성에 따른 행보다. 신흥국에 부호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자금력이 있는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모아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새로운 거점을 찾아 ...
-
경제 기타
'재스민'과 오일쇼크
재스민(jasmine)은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원산지는 히말라야이며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페르시아어로 '신의 선물'을 뜻하는 재스민은 방향성이 뛰어나 향신료의 원료가 되는 작물이다. 이러한 재스민의 진한 향기가 북아프리카를 넘어 중동을 뒤덮고 있다. '재스민 혁명'으로 명명된 시민혁명이 24년간 장기 집권해온 튀니지의 벤 알리 정권을 무너뜨린 데 이어 40년간의 철권통치로 악명 높던 이집트의 무바...
-
경제 기타
(6) 경제적 가치의 상징 소금
中·유럽,염세로 손쉽게 국고 늘려 정부·민중 갈등,혁명으로 번지기도 소금은 생명이다. 소금을 섭취하지 않으면 체액의 평형이 깨지는데,물을 마시지 못할 때보다 더 위험하다. 이런 과학적 설명 이전에 사람이나 짐승이나 소금이 생명에 직결된다는 사실은 본능적으로 잘 알고 있다. 소금이 떨어졌을 때 바로 죽음의 위기에 직면하는 사람들은 유목민이다. 사막을 건너는 유목민들은 물만큼이나 소금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길을 떠나야 한다. 그들은 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