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동네 상권 잡아먹는 아귀라고?

    유통 혁신과 가격 경쟁으로 물가상승 막는 '파수꾼' 할인점 등 대형 유통점이 죄악시되는 세태다. 동네 상권을 잡아먹는 아귀로 그려지고 있다. 과연 그럴까? 우리가 1960~1970년대에 머물러 있고, 냉장고조차 갖기 어려운 가난한 국민, 가난한 나라라면 동네 수퍼나 재래시장이면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21세기. 동네 상권만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소비를 감당할 수 있을까? 싸고 좋은 물건을 찾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까? 토...

  • 경제 기타

    스위스가 2차 세계대전을 피할 수 있었던 이유는?

    스위스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영세중립국(永世中立國)을 유지하면서 전쟁의 피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영세중립국이란 다른 국가 간의 전쟁에 참여하지 않는 의무를 가진 국가를 말한다. 대신 다른 국가들도 영세중립국을 침공하지 않는다. 영세중립국은 영세중립국을 희망하는 국가와 다른 나라들의 조약을 통해서 성립한다. 스위스가 영세중립국으로 인정받은 것은 1815년부터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신성로마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스위스는 나폴레옹...

  • 경제 기타

    투혼의 아디다스 vs 승리의 나이키…명승부마다 그들도 뛰었다

    아디다스 - 나이키 지난 2월 열린 2012 호주오픈테니스 남자단식 결승전. 5시간53분의 혈전 끝에 노박 조코비치가 라파엘 나달을 물리치고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나달의 티셔츠에는 나이키 로고가 박혀 있었고 조코비치는 아디다스 신발을 신고 뛰었다. 스포츠계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를 꼽으라면 단연 아디다스와 나이키다. 독일에서 태어난 아디다스는 1980년대까지 유럽 시장을 휩쓸며 세계 스포츠 마케팅계의 제왕으로 군림했다. 반면 미국의 나이키는...

  • 경제 기타

    서울시 '쿨비즈'복장은 올바른 선택일까요

    찬 "편하게 입어 창의성 높이고 에너지도 절약" 반 "기본적 예의와 단정함은 갖추는 게 바람직" 날씨가 초여름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복장도 한결 가벼워지고 있다. 이맘때쯤이면 각 직장에서는 남성들의 경우 넥타이 착용을 하지 않는 소위 '노타이'를 권하는 경우도 많다. 일본에서는 2004년부터 여름철 가벼운 직장인의 옷차림을 가리키는 쿨비즈라는 용어를 사용해 오고 있다. 영어단어 쿨(cool)과 비즈니스(business)의 합성어로 간편하...

  • 교양 기타

    (48) 하인리히 뵐 '어느 어릿광대의 견해'

    수화기 너머 다른 세상에서 들려오는 광대의 독백… 하인리히 뵐의 『어느 어릿광대의 견해』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하인리히 뵐과 나의 첫 만남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야 할 것 같다. 대학에 다니며 시를 쓰던 문학청년 시절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관계로 나는 자주 헌책방을 드나들었다. 하인리히 뵐의 책을 처음 만난 것도 헌책방에서였다. 헌책방에서 우연히 발견하는 희귀한 책들의 설렘이란 어떤 다른 종류의 감응으로도 바꾸고 싶지 않을 정도로 경이에 가득...

  • 경제 기타

    서술형 평가, 이대로 괜찮은가? 등

    서술형 평가, 이대로 괜찮은가? “선생님! 이 답이 왜 틀렸죠?” 경기도에 있는 한 고등학교의 중간고사 다음 날 학생들 사이에서 이런 질문이 많이 나왔다. 서술형 문제에 대한 답안 평가에 대해 학생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서술형 평가는 서울시교육청에 이어 경기도 교육청도 도입했다. 중·고교에 서술형 평가를 의무화하면서 올해 최소 반영 비율을 25%에서 30%로 확대했다. 서술형 평가는 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 경제 기타

    세계경제 또 '돈 폭탄' ?…돈 찍어 위기 벗어날까

    세계경제 위기와 양적완화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7일 의회 청문회에 출석, 경제동향을 증언한다. 미국 실업률 상승, 유럽 재정위기와 관련한 그의 발언을 통해 향후 통화정책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Fed가 추가 경기부양 조치를 내놓을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는 80%에 달했다. 시장은 추가 부양조치로 3차 양적완화 를 꼽는다. - 6월4일...

  • 커버스토리

    '20-50 클럽' 진입…대한민국, 7대 강국으로

    폐허의 땅…. 광복 직후 대한민국의 슬픈 자화상이다. 그나마 폐허에서 움틔우던 희망은 동족상잔이란 비극 속에 다시 시들어갔다. 1950년대 '코리아'는 구원의 손길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지구촌 역사의 뒤편에 내팽개쳐진 존재였다. 그 폐허의 땅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고 시장경제가 꽃을 피우리라고 예견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한강의 기적…. 불과 반세기 만에 폐허는 번영의 땅으로 변했다. 세계 아홉 번째로 무역 1조달러 돌파라는 금자탑을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