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기타
-
교양 기타
(40) 조식의 '남명집(南冥集)'
정승 열명 낸 집보다 처사 한명 낸 집이 더 낫다 '처사(處士)'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요즘 일상생활에서는 '처사'란 말을 거의 쓰지 않지만 아직도 절에서는 남자 신도를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다.옛날 우리 조상들은 '정승 열을 낸 집보다 처사(處士) 한 명을 낸 집이 더 낫다'고 말하기도 했다.'처사'가 무엇이기에 막강한 권력을 상징했던 '정승' 열 명보다도 낫다고 한 것일까?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더불어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인 대표적 산림처사(山林處士), 남명 조식(南冥 曺植:1501~1572). 조식 선생은 살아서도, 그리고 죽어서도 자신을 다만 '처사'라고 불러달라고 했다고 한다.천왕봉이 보이는 지리산 자락에서 평생을 은거하며 늘 자신을 성찰하기 위해 성성자(惺惺子)라는 방울을 옷에 달고 때로는 과격하고 직선적인 언어로 중앙 조정을 발칵 뒤집어 놓기도 했던 남명 조식의 글을 따라가며 진정한 '처사'란 무엇인지 알아보자.1.몸과 마음에 새기다◆ 원문 읽기좌우명(座右銘):언행(言行)을 신의(信義)있게 하고 삼가며, 사악(邪惡)함을 막고 정성(精誠)을 보존하라. 산처럼 우뚝하고 못처럼 깊으면, 움 돋는 봄날처럼 빛나고 빛나리라.패검명(佩劍銘):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경'(敬)이요,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는 것은 '의'(義)다.혁대명(革帶銘):혀는 새는 것이요, 가죽은 묶는 것이니 살아 있는 용을 묶어서 깊은 곳에 감추어두라.▶해설=남명 조식 선생이 살았던 16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은 매우 암담했다.1519년의 기묘사화와 1545년의 을사사화를 겪으며 자신의 숙부 조언경과 많은 동료 선비들의 참혹한 희생을 지켜본 남명의 마음은 어땠을까? 만일 우리들이 그 시대를 살았다면 어떤 선택을
-
교양 기타
(39) 메리 W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
1818년 메리 W 셸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가 쓴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는 인간에게 불을 전해준 프로메테우스를 끌어들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인류의 미래를 바꾸고 싶은 과학자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야기다.물론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진정한 프로메테우스가 되지 못했다.밀턴의 『실낙원』과 성서의 '창세기'를 패러디해 실패한 과학문명을 경고한 원작의 메시지는 오늘날까지도 유효하다.프랑켄슈타인은 물질문명에 기댄 인간의 오만함을 상징하는 고유명사처럼 여겨지고 있다.이 책은 여류작가의 소설이다.그녀는 이 작품을 통해 오늘날 과학소설의 새로운 기원을 열기도 했다.작가 메리 셸리의 부모는 영국의 급진적인 사상가였다.특히 어머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권의 옹호』를 쓴 여권 운동가이자 자유 사상가였다.메리 셸리가 활동한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는 낭만주의의 열정과 산업혁명을 등에 업고 새로운 사상을 요구하던 시기였다.빅토리아 왕조의 기운이 무너지면서 바이런, 워즈워스, 그리고 메리 셸리의 남편인 퍼시 셸리 등의 시인이 활약했으며, 제인 오스틴의 소설이 유행했을 때였다.사람들은 프랑켄슈타인을 잘 알고 있다.그 모습을 묘사하라고 한다면 엄청나게 큰 거구, 여기저기 꿰맨 자국들, 일그러진 눈 등으로 그릴 것이다.그런데 프랑켄슈타인은 이 괴물을 만든 사람의 이름이다.청년 과학도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은 시체의 각 부위를 접합해 8피트(244cm)의 거구로 만든 다음 에너지 발생장치로 충격을 가해 인간을 닮은 생명체를 창조한다.그러나 이 순진한 창조자는 자신의 피조물이 워낙 추하고 무서워 실험실에서 도
-
교양 기타
(3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러시아 혁명 풍자…20세기 최고 정치 우화소설 조지 오웰(본명 에릭 아서 블레어, 1903~1950)의 『동물농장』은 러시아 혁명을 풍자한 소설이다. 실제 사건 및 인물들을 우화의 형식을 통해 신랄하게 풍자한 20세기 최고의 정치 우화소설이다.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우화소설의 무대는 농장이고, 여기에 나오는 일단의 농장 동물들은 러시아 혁명가들이나 정치 사상가들을 상징하고 있다.이 책 전반에 걸쳐 오웰의 문장 스타일은 단순, 명료, 분명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그는 극도로 절제된 말과 짧고 간단한 문장 구조를 통해 동물농장의 우화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원문 읽기"동무들, 동무들은 어젯밤 내가 꾼 꿈에 대해서 이미 들으셨을 것입니다.그러나 그 꿈 이야기는 나중에 하겠소. 우선 다른 얘기부터 할까 하오. 동무들, 나는 아무래도 여러분과 더 이상 같이 살 수 없을 것 같습니다.그래서 죽기 전에 내가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여러분들에게 전해주고 가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습니다.나는 지금 살고 있는 어떤 동물 못지않게 우리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오. 내가 오늘 동무들에게 말하려고 하는 것은 바로 이에 관한 것입니다.자, 동무들 우리의 삶을 한번 돌아봅시다.우리의 삶은 비참하고 고달프며 또한 짧습니다.우리는 태어나서 평생을 겨우 목숨 유지할 만큼의 먹이만 얻어먹고 일할 수 있는 자들은 마지막 힘이 다할 때까지 일을 강요당합니다.그러다 더 이상 쓸모가 없어지면 우리는 아주 지독하고 잔인하게 도살당합니다.영국에서는 어떤 동물이든지 태어난 지 한 해가 지난 후에 행복이나 여가라는 뜻을 아는 동물은 하나도 없습니다.영국의 모든 동물들은 자유가 없습
-
교양 기타
(37) 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은 현대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미셸 투르니에(1924~ )의 데뷔작이자 대표작이다.제목의 방드르디는 프랑스어로 금요일이란 의미인데,『로빈슨 크루소』의 프라이데이를 대신하는 인물이다.작가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내가 볼 때 1719년에 나온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는 극도로 충격적인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우선 그 소설에는 방드르디(프라이데이)가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어 있어요.그는 단순히 빈 그릇일 뿐이지요.진리는 오로지 로빈슨의 입에서만 나옵니다.그가 백인이고,서양인이고,영국인이고,기독교인이기 때문입니다.나의 의도는 방드르디가 중요한 역할을,아니 심지어 끝에 가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는 소설을 써보자는 데 있었어요."『로빈슨 크루소』를 처음으로 읽기 직전에 작가는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강의를 듣고 있었다.당시까지도 서구인은 서구 사회와 (열대 원주민 사회 등의) 비서구 사회 간의 구분이 곧 문명과 야만,합리성과 비합리의 우열 구분과 일치한다는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하지만 그러한 구분이 서구인들의 지배욕을 합리화하는 편견에 불과하다는 것이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이 투르니에에게 전하는 메시지였다.서구인들의 편견은 주체가 타자(자신과 다른 존재)와 맺는 관계의 근대적 양상을 기초로 한 것이었다.근대적 주체의 시선을 통해 볼 때,'다름'은 비합리적이고 야만적인 '열등함'이 된다.하지만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에서 '다름'은 '열등함'을 넘어 '새로움'을 표상하는 주인공으로 재탄생한다.『로빈슨 크루소』의 주인으로 다시 태어난 프라이데이,바로 방드르디
-
교양 기타
(36) 제임스 러브룩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지구는 살아있는가? ◆제임스 러브록(James Lovelock,1919~) 영국의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1994년 이후 옥스퍼드대 그린칼리지의 명예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가이아 이론은 1979년 『Gaia: A New Look at Life on Earth』 이란 책을 통해 주장한 새로운 가설이다.국내에선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로 번역되어 나왔다.가이아(Gaia)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대지의 여신’으로, 지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말이다.러브록이 말하는 가이아란 지구와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대기권, 토양, 대양까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범지구적 실체이다.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생물과 무생물이 상호 작용하는 생물체로 바라보면서 지구가 생물에 의해 조절되는 하나의 유기체임을 강조한다.이 이론은 하나의 가설에 지나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 현상 등 오늘날 지구 환경 문제와 관련되어 새롭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봄비가 그치고 쏟아지는 햇살이 눈부시다. 가볍게 부딪히는 산들바람이 상쾌하다. 일 년 내내 이런 날씨가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굳이 이런 이상적인 날씨가 아니라도 지구는 생물이 존재하기에 적합한 곳임은 분명하다. 수많은 별들 중에 유독 지구에서만 파랑과 녹색이 공존하는 복잡한 생명체의 장이 펼쳐진 신비한 현상에 대해 근대과학의 주류적 시각은 태양복사열 증가, 화산 폭발, 운석의 충돌, 대륙 이동 등 여러 지질학적 원인들에 의해 세월의 흐름과 함께 대기와 해양의 조성이 변화하고 또 기후가 바뀌었으며, 생물들은 그러한 주위 환경의 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점진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밟아 왔
-
교양 기타
(36) 리처드 도킨스 '눈먼 시계공'
인간이 우연히 생겨날수 있겠는가? 창조론 논박『이기적 유전자』의 저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진화생물학자 중의 한 명이다.도킨스가 특별한 이유는 그만의 탁월한 설명력에 있다.그의 『눈먼 시계공』은 인간의 머리 속에서 창조론을 몰아내는데 가장 강력한 무기로 간주되고 있다.지금까지 어느 무신론적 철학자도 창조론을 이보다 효과적으로 논박한 적이 없었다.또 어느 과학자도 도킨스만큼 훌륭하게 적들을 굴복시키지 못했다.이 책의 공격 목표인 '시계공 논증'은 너무나 우아하고 그럴듯한 논리이며, 많은 철학자들의 머리를 쥐어뜯게 만들었던 논증이다.도킨스도 그 점을 인정한다.그래서 그는 '시계공 논증'의 우아함을 독자들에게 충분히 맛보게 한 뒤에 그 논증의 허점을 조목조목 반박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반전의 쾌감을 느끼게 한다.◆원문 읽기신은 아직 죽지 않았다풀밭을 걸어가다 돌 하나가 발에 채였다고 상상해 보자. 그리고 그 돌이 어떻게 거기에 있게 되었는지 의문을 품었다고 가정해 보자. 그것은 원래 거기에 놓여 있었다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돌이 아니라 '시계'를 발견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어떻게 그것이 그 장소에 있게 되었는지 답해야 한다면, 앞에서 했던 것 같은 대답,즉 잘은 모르지만 그 시계는 원래 거기에 있었다는 대답은 거의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시계와 같은 사물이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고 믿기는 너무나 어렵기 때문이다.시계와 같은 복잡한 사물이 존재하기 위해선 제작자가 있어야 한다.그는 의도적으로 그것을 만들었다.그는 시계의 제작법을 알고 있으며 그것의 용도에 맞게 설계했다.시계 속에
-
교양 기타
(35)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수량화 혁명'
근대 과학문명이 왜 유럽에서 발전하게 됐을까?10세기까지만 해도 유럽은 이슬람이나 중국에 비해 문명의 발전이 한참이나 뒤떨어진 지역이었다.하지만 16세기에 이를 즈음 유럽인들은 다른 문명에 앞서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근대화를 이뤄나갔다.이후 유럽 제국주의는 탁월한 항해술과 우수한 무기를 바탕으로 다른 대륙을 정복했고, 20세기 초까지 식민지 지배를 계속하였다.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 수 있었을까? 근대 과학문명의 발전이 굳이 유럽에서 일어나게 된 배경은 무엇이었을까?『수량화 혁명』(The Measure of Reality)의 저자 알프레드 W. 크로스비(1931~ )는 중세 후반과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유럽인들의 특정한 사고방식에서 답을 찾는다.20세기 미국 역사학자인 크로스비는 유럽인들의 새로운 사고방식을 '수량화'와 '시각화'라는 두 가지 특징으로 이야기한다.1250년 이후 200~300년 동안 유럽인들의 사고방식은 큰 변화를 겪는다.세계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근본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인다.실재(reality)를 설명하는 세계관이 질적인(qualitative) 모델에서 양적인(quantitative) 모델로 바뀐다.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대변되는 고대의 철학적 사고방식과 중세 교회의 성스러운 상징체계는 사라지기 시작한다.유럽인들은 수학과 계측을 연결시켜서 숫자를 통해 인지 기능한 실재를 이해하려고 한다.세상의 모든 사물과 에너지, 실천과 인식을 균질한 단위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셀 수 있는 수량으로 시각화한다.양적인 개념으로 모든 것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사고방식은 모든 영역에서 유럽인의 머릿속에 서서히 자리잡아간다.기계시계의 발명으로 인한 시간의 측정, 위도
-
교양 기타
(34) 에이브러엄 H. 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나눠 설명… 인본주의 심리학 효시 ◆에이브러엄 H.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1908~1970) 1908년 미국 뉴욕에서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7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로서,이른바 ‘욕구 위계설’(욕구 5단계설)로 유명하다.그의 욕구 이론은 지난 반세기 동안 인문학,사회학,경영이론 등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주요 저서로 『존재의 심리학』을 비롯,『심리적으로 건강한 경영』,『과학에 관한 심리학』,『종교,가치,절정경험』,『인간 본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 등이 있고 100여 편이 넘는 논문도 썼다.매슬로의 심리학은 스키너를 위시한 행동주의적 접근과 프로이트에 의해 뿌리 내린 정신분석학적 접근으로부터 구별된다는 점에서 제3의 심리학으로 불린다.행동주의 심리학은 환경의 자극에 의한 인간의 수동적 행위에 주목한다.이에 반해 매슬로는 주체적이며 능동적인 ‘자기실현 욕구’를 인간에 고유한 자연적 욕구로 강조하였다.매슬로의 심리학이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으로 불리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존재의 심리학』에서 매슬로는 자기실현 욕구가 인간의 삶에서 지니는 의미를 해부하고 있다.따라서 이 책은 심리학 저술이면서 동시에 인간 본성과 그 존재론적 지위를 탐구한 철학적 저술로도 읽힌다 매슬로의 이론적 독창성은 그의 욕구 위계설에서 드러난다.그림에서 보듯 매슬로는 인간에게 몇 가지 자연적인 욕구가 있다고 주장한다.이들 욕구 중에서 더 본능적이며 강력한 욕구일수록 피라미드의 아래쪽에 위치한다.그 중 결핍 욕구(Deficit Needs, D-Needs, 혹은 기본 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