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고개드는 중화주의, 패권주의로 변질되나?
독선적 민족주의로 흐를 땐 국제 사회질서에 악영향 "중국은 지금도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발전도상국이다. " 후진타오 중국 주석이 지난해 일본을 방문했을 때 한 말이다. 후 주석은 중화주의(中華主義)에 대한 세계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애써 중국이 발전도상국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각은 매우 예민하다. 전 세계적으로 득세하고 있는 민족주의에 대해 중국도 예외일 수 없는 것이다. 이번 올림픽...
-
커버스토리
건국 60년…간난을 헤쳐나온 피와 땀의 역사
"우리가 새 국가를 건설하는 이 때에 가장 필요한 것은 이 정부를 국민들이 자기들을 위하여 자기들 손으로 세운 자기들의 정부임을 깊이 각오하는 것입니다. (중략) 가장 중대한 것은 국민의 충성심과 책임감과 굳센 결심입니다. 이것을 신뢰하는 우리로서는 어떤 어려운 일에도 주저하지 않고 장애를 극복해가며 이 정부가 끝까지 변함없이 민주주의에 모범적인 정부임을 세계에 표명되도록 매진할 것을 선언합니다. "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1948...
-
커버스토리
무질서속에 피어난 한송이 꽃처럼…"대한민국 건국은 기적과 같았다"
대한민국 건국은 우리의 정치체제로 민족의 앞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민족 스스로 헌법을 마련하고 민주공화국을 건설함으로써 구한말 이후 추진해왔던 한반도의 근대화 운동이 결실을 맺게 됐다. 제헌 헌법은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분명히 했으며 대한민국의 체제와 질서를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을 보장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 체제임을 확실하게 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고 반대하는 공산주의는 단호하게 배격했다. 백성이나 신민...
-
커버스토리
뭐! 가나와 필리핀이 우리보다 잘 살았다고?
'한강의 기적을 이룬 나라''아시아의 네 마리 용''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신생국 중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취한 유일한 나라'.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을 말할 때 붙는 수식어들이다. 대한민국은 1948년 건국 이후 60년 동안 세계인의 주목을 받으며 고속 성장의 길을 달려왔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기 소르망은 '백인이 아니면서 근대화 민주화에 성공한 국가는 일본과 한국뿐이며 특히 한국은 단기간에 압축 성장한 모범 국가'라고 치켜세우고...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건국 연설문에는…
다음은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1948년 8월15일 광화문에서 거행한 정부 수립 선포 및 축하식에서 행한 연설문이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개인자유에 대해 언급하면서 대한민국이 갈 방향을 분명히 제시했다. 연설문 전문을 싣는다. <편집자> 외국귀빈 제씨와 사랑하는 나의 동포 여러분! 8월15일 오늘에 거행하는 이 식은 우리의 해방을 기념하는 동시에 우리 민국이 새로 탄생한 것을 겸하는 것입니다. 이...
-
커버스토리
독도 넘보지마!
"독도는 일본의 한국 침략에 대한 최초의 희생지였다. 해방과 함께 독도는 다시 우리의 품 안에 안겼다. 독도는 한국 독립의 상징이다. 이 섬에 손을 대는 자는 모든 한국민의 저항을 각오하라! 독도는 단 몇 개의 바위 덩어리가 아니라 우리 겨레의 영예의 닻이다. 이것을 잃고서야 어찌 독립을 지킬 수 있겠는가! 일본이 독도 탈취를 꾀하는 것은 한국 재침략을 의미하는 것이다. " 변영태 대한민국 초대 외무장관이 1953년 휴전 직후 발표한 ...
-
커버스토리
韓·日합방 직전,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으로 일방 편입
독도는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땅이었으며 16~19세기에도 조선 땅이었음을 국내외 문헌들은 기록하고 있다. 조선 땅인 독도를 일본이 자기 땅으로 일방적으로 편입한 것은 한일합방 직전인 1905년이다. 당시 조선은 외교권이 없는 상황이어서 일본의 독도 편입을 알고도 어떻게 할 도리가 없었다. 말하자면 독도는 일본의 식민지배 과정에서 첫 희생이었던 것이다. 일본은 1905년 독도 편입 기록을 들어 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
-
커버스토리
이승만 대통령이 독도 지켰다…日 엉터리 주장에 '쐐기'
독도가 역사적 및 국제법적으로 한국의 고유영토라는 점과는 별개로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실이 있다. 그것은 독도문제의 전개 양상도 중·일 간 센카쿠문제나 러·일 간의 북방도서 문제처럼 한·일 간 관계 및 주변국의 전략적 이해가 얽혀 있다는 점이다. 일본이 사회교과서에 독도를 명기한 것도 독도를 국제적인 영토분쟁 지역으로 만들어 해결해보겠다는 의도가 숨어있다. 독도 문제를 국제적으로 이슈화해 국제사법재판소에서 영유권 다툼을 벌이겠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