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世代간엔 넘을 수 없는 '벽'이 있나
역사는 과연 진보하는가. '이야기'에 불과하던 역사가 근대에 들어와서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면서 역사학자들이 끊임없이 제기한 물음이다. 역사의 진보는 다음 세대에 보다 나은 삶과 행복을 가져다 주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역사는 항상 기성 세대와 신진 세대의 갈등으로 점철돼 왔으며 그 과정 속에서 세대 간 안녕과 복지를 찾으려는 세대 이기주의가 득세했다. 그 결과는 혁명이나 집단 광기, 참혹한 전쟁을 낳았다. 세대(世代·Generat...
-
커버스토리
되짚어 보는 세대론, 나는 무슨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라는 명칭은 포스트 386세대 혹은 X세대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이들은 성장기에 민주화를 경험하고,이념의 몰락을 지켜본 세대다. 이들은 급격한 세계화와 정보화의 물결을 성인이 되는 동안 계속 학습하고 기존의 제도에 순응해 가는 과도기를 겪은 세대다. 삶의 모든 가치들이 일시에 뒤집히는 경험을 했던 386세대보다 사회변화에 익숙하고,절약 대신 소비가,근면보다는 여가활용이,겸양보다는 자기표현이,무조건적 인내 대신 정당한 분노...
-
커버스토리
세대는 불평등하다?
시대따라 세대간 경제적 격차 커 갈등 빚기도 사회학자들은 행복한 세대와 불행한 세대가 따로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30년대 대공황과 1940년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자란 이른바 스윙(Swing) 세대가 대표적인 불행한 세대이다. 우리나라도 일제 치하와 6·25 전쟁을 겪은 70세 이상 노인들은 행복한 세대로 보기 어렵다. 또 10년 전 IMF금융위기 당시 대학을 다니거나 졸업한 세대도 불행한 세대로 간주된다. 그러나 3...
-
커버스토리
노벨상, 우리에겐 '그림의 떡'인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3명 전원 일본인,화학상 수상자에서도 일본인 1명'이라는 소식이 날아들었다. 올해 각 분야 노벨상 소식은 우리에게 또다시 좌절감을 안겼다. 지금까지 한국인이 받은 노벨상은 2000년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민주화 발전과 대북관계 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한 것이 유일하다. 노벨 평화상은 그나마도 정치적으로 결정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삼성이 소니를 따라잡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의 산업 기술은 놀라운 성공을 거두...
-
커버스토리
금융위기 예견한 '크루그먼' 올해 노벨 경제학상 받았다
'무역패턴과 경제활동' 연구 업적…실물 경제에 맞춘 이론 개발 크루그먼은 고전이론보다 현실적인 경제상황에 맞춰 자기의 이론을 개발한 학자로 유명하다. 그는 선진국의 무역 패턴에 주목하면서 19세기 이후 국제 무역학이론에서 고전처럼 여겨온 리카아도의 비교우위설 이론을 배제했다. 비교우위설은 각 국가들이 다른 국가에 비해 비교적 잘 만들어내는 생산품에 주력해 다른 나라에 수출한다는 게 훨씬 낫다는 이론이었다. 프랑스는 와인, 중국은 쌀과 같...
-
커버스토리
'노벨상 강국' 미·일 우리와 뭐가 다른가
기본 다지기와 다양성을 중시하는 문화 뿌리 내려 아이 소질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진로지도 사라져야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 부자가 된 노벨은 1895년 11월 유언장에서 '인류복지에 가장 구체적으로 공헌한 이들에게 주도록' 그의 유산을 스웨덴의 왕립과학아카데미에 기부했다. 아카데미는 그 후 노벨재단을 설립하고 1901년부터 매년 12월10일(노벨 사망일) 노벨상을 수여했다. 창설 이후 1940년대까지 수상자는 대부분 독일 영국에서 배출됐다....
-
커버스토리
사이버 테러 '악플' 이대로 둬야 하나
'최진실 법' 20년 가까이 톱스타로 기억되던 탤런트의 이름이 어느날 우리에게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그녀의 자살과 그 비극적 죽음의 직접적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이는 인터넷 '악플(인터넷 상에서 특정인물을 비방하는 답글)' 때문이다. 그녀는 자살하던 지난 2일 새벽까지도 인터넷 악플에 따른 마음의 고통을 호소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고인의 죽음에 대한 기사에 다시 '저 세상에서는 xx놀이하지 마라'는 등의 악플이 달려 여론에 기...
-
커버스토리
인터넷 모욕죄 표현의 자유 구속?
"타인의 인격 짓밟는 인터넷 악성 댓글은 익명의 살인과 다름없다" '최진실 법'에 찬성하든 반대하든 인격에 상처를 주고 사람을 파멸로 내모는 인터넷 환경을 어떻게든 정 화해야 한다는 대전제에는 모두 동의한다. 문제는 법률을 통한 통제의 수위다. 반대하는 측에서는 정부가 자의적인 기준을 통해 인터넷 상의 의견을 처벌해 궁극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제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찬성 측에서는'백약이 무효'인 상황에서 관련 입법이 꼭 필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