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자동차 산업은 국가 경쟁력의 상징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존폐 기로에 선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빅3 자동차 회사를 구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미국 내 1위, 세계에서 일본 도요타에 이어 2위 업체인 GM의 회생 프로젝트는 오바마 당선인의 최우선 과제다.

오바마 당선인은 얼마 전 "자동차는 미국 산업의 중추로 업계 지원은 빠를수록 좋다"고 언급하며 레임덕에 빠진 부시 행정부를 강하게 압박했다.

미국 의회가 승인한 250억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안을 신속히 집행하라는 메시지다.

오바마 당선인 측은 한발 나아가 낮은 금리로 250억달러를 추가 융자해 달라는 자동차 회사들의 요구에도 적극 응할 태세다.

강력한 구조조정 없는 자금 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비판이 쏟아지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빅3 살리기'에 매진하는 모습이다.

독일 도이체방크가 "GM이 파산을 면한다고 해도 앞날은 파산과 다름없는 상태일 것"이라고 지적했지만 오바마는 선거기간 중에도 자동차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한국이 수십만대의 차를 미국에 수출하면서 미국이 한국에 파는 것은 고작 5000대도 안 된다"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재협상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오바마 정부가 들어서면 미국 자동차 회사를 살리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회사들에 대한 미국의 통상 압력 수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졌다.

오바마 당선인은 왜 '미국의 빅3 자동차업체'를 살리는 데 전력투구할까?

해답은 간단하다.

바로 자동차산업이 가진 엄청난 경제적 파급력 때문이다.

자동차산업은 연관 산업 분야가 전자 철강 등 다른 어떤 산업보다 광범위한 데다 고용인력도 대단히 많다.

GM 등 빅3의 직접 고용 인원은 25만명 정도다. 부품 협력업체를 포함하면 400만명에 달한다.

이런 상황에서 GM이 파산하면 시차를 두고 300만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지난 10월 24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실업률이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6.5%로 치솟았다.

일부에서는 전미자동차노조(UAW)의 전폭적 지지를 받았던 오마바가 '파산을 막아 달라'는 노조의 요구를 외면하지 못해 빅3 구제에 나선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고 고용인구가 많아 간단치 않은 면이 있다.

한마디로 자동차산업은 국가 경제적으로 남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기계산업의 최고봉으로 수많은 연관 산업을 이끌며 실물경제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빅3의 몰락은 곧 미국 제조업의 종말로 해석될 수도 있다.

김수언 한국경제신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