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사형제 반대 "사형은 국가에 의한 또 하나의 살인행위"

    사형제, 필요악인가 사법살인인가 “법은 살인을 방지하는 데 존재가치가 있어야 하는데 오히려 법이 살인을 허락하고 있다. 어떻게 모든 가치의 최고인 생명을 빼앗을 권능을 국가에 양도했다고 할 수 있는가. 국가는 개개인의 욕망을 조용히 누그러뜨리는 조절자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국가에서 사형과 같은 쓸모없는 잔혹성이 어떻게 뿌리내릴 수 있겠는가.” -체사레 베카리아,'범죄와 형벌' 중에서 근대 형법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체사레 베카리아(Ce...

  • 커버스토리

    드라마·K팝을 넘어…이젠 '교육韓流'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했다는 뜻으로, 인간 성장에 환경의 중요함을 일컫는 말이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적 뒷받침이 있었기에 위대한 사상가 맹자의 탄생이 가능했음을 함의한다.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치맛바람'은 다소 부정적 어감을 풍기지만 부모들의 교육열이 한국의 산업화를 촉진하고 민주주의를 앞당긴 근원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세계 최강국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수차례나 '한국의 ...

  • 커버스토리

    "삼성·현대차 가고 싶어 왔어요"…외국 유학생 '코리안 드림'

    한국을 찾는 유학생들이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한마디로 교육의 질(質)이다. 한국의 높은 교육열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국내 학생들이 항상 최상위권을 차지하게 했고, 산업발전시대의 이공계 육성과 공업화 정책은 정보기술(IT) 강국 도약의 밑거름이 됐다. 변변한 부존자원도 없는 가난한 나라가 전쟁의 폐허에서 일어나 세계 일곱번째로 '20-50클럽'(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인구 5000만명)에 가입한 것은 교육시스템 덕이라는 것이 ...

  • 커버스토리

    인재찾아 3만리…혼돈과 수정의 대입 역사

    한국의 교육제도는 대학입시 제도에 따라 혼돈과 시행착오, 수정과 보완을 반복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선 공교육 정상화와 인재 양성을 위한 몸부림이었다는 목소리와 국가가 대학입시에 지나치게 개입한 비극이라는 지적이 공존한다. 우리나라 대입제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45년 해방 이후 16차례나 입시제도가 바뀌었을 정도다. #대학 100% 자율시대 1945년부터 1953년까지 입시는 대학이 알아서 문제를 출제하고 시행하고 학생을 선발...

  • 커버스토리

    악플 춤추는 온라인…표현의 자유 어디까지?

    인터넷은 21세기 최대의 혁명이다. 경제의 효율성은 놀랄 만큼 향상되고, 인류가 살아가는 방식 자체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제품의 생산과 유통, 창의적 아이디어, 인류의 소통…. 그 어느 곳에도 인터넷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곳은 없다. 하지만 빛이 강하면 그림자도 짙은 것이 세상의 이치다. 디지털 디바이드(디지털시대 계층 간 정보불균형), 모바일 디바이드(스마트폰 사용여부로 인한 정보격차)는 인터넷 시대의 그림자를 상징하는 우울한 용어들이다....

  • 커버스토리

    "목숨도 짓밟는 '얼굴없는 폭력'…인권보호 시급"

    인터넷 실명제 찬성 인터넷의 온라인 공간은 '소통의 광장'이다. 한번도 만나지 않은 사람들과도 격의 없이 대화를 나누고 때론 일정 부분의 사생활 정보까지도 공유한다. 하지만 인터넷의 익명성은 언제든 '악의의 글'로 온라인 공간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인권이 치명적으로 훼손되고, 때론 사생활이 무참히 폭로된다. 일부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주장하지만 그로 인한 '사이버 인권침해'는 어떻게 막을지엔 속시원한 해답을 내놓지 못한다...

  • 커버스토리

    "표현의 자유 침해…과잉금지 원칙도 무시"

    인터넷 실명제 반대 …악플 춤추는 온라인 인터넷 본인확인제(인터넷 실명제)가 폐기돼야 할 이유는 많다. 우선 헌법이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 또 개인정보를 공개하든 안하든 그것은 '정보의 자기결정권'에 해당해 국가가 강제할 수 없다. 비실명(익명성)으로 인한 비방·모독 등으로 피해가 발생해도 기존의 민법(손해배상 등)과 형법으로도 처벌할 수 있다. 특히 2007년 실명제가 도입된 이후 명예훼손, 모욕, 비방 건수가 도입 전보다 줄었다...

  • 커버스토리

    특허의 두 얼굴…기술촉진 vs 진입장벽

    '졸면 죽는다.' 정보기술(IT)업계에 유행처럼 떠도는 말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첨단기술 시대에 조금만 방심하고 한눈 팔면 낙오한다는 경고다. 남보다 앞서는 신기술이나 노하우가 없으면 기업은 물론 국가도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신기술이나 노하우는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자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주요 제품들은 기술 개발 회사를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켰을 뿐 아니라 인류 삶의 질도 크게 높였다. 새로운 기술이나...